"분류:헤르미온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개요) |
(→ 개인위키페이지)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개요== | + | ==<div style="background-color:#CEF2F2; margin: 0; border: 3px solid #aee1e1; padding: 3px; border-radius:100px;"> 개요== |
− | [[독립운동사의 근간, 교육구국운동(敎育救國運動)]]에서 주로 '''민족설립 교육기관'''관련 내용을 담당하였다. 전체 | + | [[독립운동사의 근간, 교육구국운동(敎育救國運動)]]에서 주로 '''민족설립 교육기관'''관련 내용을 담당하였다. 전체 위키 페이지에서는 전반적인 민족설립 교육기관의 흐름 및 배경에 대해 조사, 정리하였다.<br/> |
+ | 구체적으로는 민족사학을 정의하고, 민족사학의 정신 및 설립 목적을 두 시기로 나누어 파악하였다. 이후 민족사학의 발전 배경을 당시 신문 등에 기고된 글을 통해 설명하였다. 민족사학의 발전 과정은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민족독립운동사 국권수호운동Ⅱ Ⅳ. 국권수호를 위한 사회·문화운동 6. 사립학교의 구국운동 3) 민립학교 설립의 주체(https://db.history.go.kr/modern/level.do?levelId=hdsr_002_0010_0060_0030)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각의 학교에 대해 추가적인 조사를 하여 연대기의 형태로 정리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민족설립 교육 기관의 설립 목적 및 양상을 1905년 을사늑약을 기준으로,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계승 현황을 표로 정리하여 1900년대 초까지 설립된 민족설립 교육기관이 어떤 형태로 오늘날까지 계승되어 오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또 그 계승 과정의 어려움을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과정에서 고등교육기관으로서 오늘날까지 계승되고 있는 보성전문학교와 명신여학교를 세부적으로 조사한 이유 등을 당시 신문 기사를 인용하여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 ||
− | == | + | ==<div style="background-color:#CEF2F2; margin: 0; border: 3px solid #aee1e1; padding: 3px; border-radius:100px;"> 개인 위키 페이지== |
− | ==틀== | + | '''1. [[보성전문학교(普成專門學校)]]'''<br/> |
− | ==인물정보== | + | 민족설립교육기관의 계승 현황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고등교육기관으로 오늘날까지 계승된 두 학교가 보성전문학교와 명신여학교임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에 의미를 두어 보성전문학교를 조사하게 되었다. 개별 위키 페이지에서는 보성전문학교의 기본정보, 설립 배경, 주요 연혁 및 관련 독립운동가 등과 관련하여 조사, 정리를 진행하였다.<br/> |
+ | '''2. [[이용익李容翊]]'''<br/> | ||
+ | 보성전문학교는 1905년 이전 개화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던 다른 민족설립 교육기관과는 달리, 개화뿐만아니라 교육구국의 목적으로도 설립되었다. 이는 1905년 을사늑약 이후 교육구국을 위한 민족설립 교육기관의 출발점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나아가, 중등교육기관은 설립되었지만, 정식 고등교육기관이 부재했던 상황에서 세워진 첫 정식 전문학교라는 점에서도 그 가치가 크다. 이 점에서 설립자 이용익이 어떤 과정에서 이러한 선구안을 가지게 되었는지 파악하여 보성전문학교의 설립 맥락과 연결야 할 필요성을 느껴 개인 위키 페이지로 작성하였다. <br/> | ||
+ | '''3. [[명신여학교(明新女學校)]]'''<br/> | ||
+ | 민족설립교육기관의 계승 현황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고등교육기관으로 오늘날까지 계승된 두 학교가 보성전문학교와 명신여학교임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에 의미를 두어 명신여학교를 조사하게 되었다. 개별 위키 페이지에서는 보성전문학교의 기본정보, 설립 배경, 주요 연혁 및 관련 독립운동, 독립운동가 등과 관련하여 조사, 정리를 진행하였다.<br/> | ||
+ | '''4. [[숙명여고보 제1차 맹휴 사건]]'''<br/> | ||
+ | 명신여학교 관련 독립운동가에 대해 조사하던 중 숙명여고보 제1차 맹휴 사건에 대해 알게 되었다. 숙명여고보 제1차 맹휴 사건은 큰 사회적 파장을 일으킨 만큼 1919년 3.1운동 이후 발생한 학생 항일 운동 중에서도 큰 의미를 지닌다. 해당 사건을 조사함으로써 명신여학교의 여성 인재 양성이 어떻게 교육 구국으로 이어지는지 파악할 수 있으므로 개인 위키 페이지로 작성하였다. | ||
+ | |||
+ | ==<div style="background-color:#CEF2F2; margin: 0; border: 3px solid #aee1e1; padding: 3px; border-radius:100px;"> 틀== | ||
+ | [[틀:교육구국운동인물]], [[틀:교육구국운동기관]], [[틀:Blockquote]] <br/> | ||
+ | 총 세 가지 틀을 작성하였다. 작성 목적은 통일성과 편리성이었다. 위키 페이지의 주제가 다양한 인물과 기관을 다루는 만큼 틀을 이용하여 형식을 통일하여 정보를 정리한다면 독자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여 교육구국운동인물 틀과, 교육구국운동기관 틀을 작성하였다. 또, 당시 신문 기사 등을 인용함으로써 설명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Blockquote 틀을 작성하였다. | ||
+ | |||
+ | ==<div style="background-color:#CEF2F2; margin: 0; border: 3px solid #aee1e1; padding: 3px; border-radius:100px;"> 인물정보== | ||
+ | 독자가 궁금증이 생길 볼 수 있도록 교육구국운동인물 틀을 활용하여 인물에 대한 간략한 정보를 정리하였다. 이러한 인물에 대한 간략한 정보가 전체적인 맥락 이해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하여 작성하게 되었다. |
2024년 12월 22일 (일) 06:39 기준 최신판
목차
개요
독립운동사의 근간, 교육구국운동(敎育救國運動)에서 주로 민족설립 교육기관관련 내용을 담당하였다. 전체 위키 페이지에서는 전반적인 민족설립 교육기관의 흐름 및 배경에 대해 조사, 정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민족사학을 정의하고, 민족사학의 정신 및 설립 목적을 두 시기로 나누어 파악하였다. 이후 민족사학의 발전 배경을 당시 신문 등에 기고된 글을 통해 설명하였다. 민족사학의 발전 과정은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민족독립운동사 국권수호운동Ⅱ Ⅳ. 국권수호를 위한 사회·문화운동 6. 사립학교의 구국운동 3) 민립학교 설립의 주체(https://db.history.go.kr/modern/level.do?levelId=hdsr_002_0010_0060_0030)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각의 학교에 대해 추가적인 조사를 하여 연대기의 형태로 정리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민족설립 교육 기관의 설립 목적 및 양상을 1905년 을사늑약을 기준으로,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계승 현황을 표로 정리하여 1900년대 초까지 설립된 민족설립 교육기관이 어떤 형태로 오늘날까지 계승되어 오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또 그 계승 과정의 어려움을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과정에서 고등교육기관으로서 오늘날까지 계승되고 있는 보성전문학교와 명신여학교를 세부적으로 조사한 이유 등을 당시 신문 기사를 인용하여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개인 위키 페이지
1. 보성전문학교(普成專門學校)
민족설립교육기관의 계승 현황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고등교육기관으로 오늘날까지 계승된 두 학교가 보성전문학교와 명신여학교임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에 의미를 두어 보성전문학교를 조사하게 되었다. 개별 위키 페이지에서는 보성전문학교의 기본정보, 설립 배경, 주요 연혁 및 관련 독립운동가 등과 관련하여 조사, 정리를 진행하였다.
2. 이용익李容翊
보성전문학교는 1905년 이전 개화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던 다른 민족설립 교육기관과는 달리, 개화뿐만아니라 교육구국의 목적으로도 설립되었다. 이는 1905년 을사늑약 이후 교육구국을 위한 민족설립 교육기관의 출발점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나아가, 중등교육기관은 설립되었지만, 정식 고등교육기관이 부재했던 상황에서 세워진 첫 정식 전문학교라는 점에서도 그 가치가 크다. 이 점에서 설립자 이용익이 어떤 과정에서 이러한 선구안을 가지게 되었는지 파악하여 보성전문학교의 설립 맥락과 연결야 할 필요성을 느껴 개인 위키 페이지로 작성하였다.
3. 명신여학교(明新女學校)
민족설립교육기관의 계승 현황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고등교육기관으로 오늘날까지 계승된 두 학교가 보성전문학교와 명신여학교임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에 의미를 두어 명신여학교를 조사하게 되었다. 개별 위키 페이지에서는 보성전문학교의 기본정보, 설립 배경, 주요 연혁 및 관련 독립운동, 독립운동가 등과 관련하여 조사, 정리를 진행하였다.
4. 숙명여고보 제1차 맹휴 사건
명신여학교 관련 독립운동가에 대해 조사하던 중 숙명여고보 제1차 맹휴 사건에 대해 알게 되었다. 숙명여고보 제1차 맹휴 사건은 큰 사회적 파장을 일으킨 만큼 1919년 3.1운동 이후 발생한 학생 항일 운동 중에서도 큰 의미를 지닌다. 해당 사건을 조사함으로써 명신여학교의 여성 인재 양성이 어떻게 교육 구국으로 이어지는지 파악할 수 있으므로 개인 위키 페이지로 작성하였다.
틀
틀:교육구국운동인물, 틀:교육구국운동기관, 틀:Blockquote
총 세 가지 틀을 작성하였다. 작성 목적은 통일성과 편리성이었다. 위키 페이지의 주제가 다양한 인물과 기관을 다루는 만큼 틀을 이용하여 형식을 통일하여 정보를 정리한다면 독자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여 교육구국운동인물 틀과, 교육구국운동기관 틀을 작성하였다. 또, 당시 신문 기사 등을 인용함으로써 설명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Blockquote 틀을 작성하였다.
인물정보
독자가 궁금증이 생길 볼 수 있도록 교육구국운동인물 틀을 활용하여 인물에 대한 간략한 정보를 정리하였다. 이러한 인물에 대한 간략한 정보가 전체적인 맥락 이해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하여 작성하게 되었다.
"헤르미온느" 분류에 속하는 문서
다음은 이 분류에 속하는 문서 16개 가운데 16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