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부일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font color="#cc3333">기본정보</font>=== 200픽셀|위쪽|혼례용단령 {|class="wikitable" | 환수일자 || 2020.08.24 |- | 환수경로 ||...) |
(→기본정보)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font color="#cc3333">기본정보</font>=== | ===<font color="#cc3333">기본정보</font>=== | ||
− | [[파일: | + | [[파일: 앙부일구.jpg|200픽셀|위쪽|앙부일구]]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 환수일자 || 2020.08.24 | | 환수일자 || 2020.08.24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 | ---- | ||
+ | |||
===<font color="#cc3333">외관</font>=== | ===<font color="#cc3333">외관</font>=== | ||
2024년 11월 30일 (토) 23:40 판
기본정보
환수일자 | 2020.08.24 |
환수경로 | 경매 구입 (미국) |
제작시기 | 조선, 1713년 이후 |
형태 | 동합금에 은입사 |
현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조선시대 천문과학기술을 반영하여 창제한 해시계로, 숙련된 장인이 구사한 시각선과 계절선, 24절기의 정교한 은입사 기법, 다리의 구름과 용 문양 조각 등에서 예술성이 돋보입니다. 조선시대 과학문화유산은 실물 가치가 희소하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습니다.
외관
앙부일구는 지름 24.1㎝, 높이 11.7㎝, 무게 약 4.5㎏의 동합금 유물입니다. 1713년에 최초 측정한 기록이 있는 한양의 북극고도(위도)가 표시돼 있습니다.
의미와 상징성
앙부일구는 안쪽에 시각선(수직)과 절기선(수평)을 바둑판 모양으로 새기고, 북극을 가리키는 바늘을 꽂아, 이 바늘의 그림자가 가리키는 눈금에 따라 시간과 날짜를 알 수 있게 했습니다. 현대 시각 체계와 비교했을 때도 거의 오차가 나지 않습니다.
앙부일구는 일반 백성도 이용했던 조선의 공중 시계로, 세종대왕이 애민 정신으로 종묘와 혜정교(惠政橋·서울 종로)에 처음으로 설치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하늘을 우러러보는(仰) 가마솥(釜) 모양에 비치는 해그림자(日晷)로 때를 아는 시계’라는 뜻을 이름에 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