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조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_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대표명칭 = 덕수궁 석조전
 
|대표명칭 = 덕수궁 석조전
|지정 = 사적 124
+
|지정 = 사적<ref>덕수궁이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어 석조전은 등록문화재에서 지정 해제되었음</ref>
|지정일 =  
+
|지정일 = 1963년 1월 18일
|지정명칭 =  
+
|지정명칭 = 덕수궁 석조전
|한자명칭 =  
+
|한자명칭 = 德壽宮 石造殿
|영문명칭 =  
+
|영문명칭 = Seokjojeon Hall
|분류 =  
+
|설계자 = 존 레지날드 하딩
 +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궁궐
 
|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정동 5-1)
 
|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정동 5-1)
 
|사진 = 석조전전경.jpeg
 
|사진 = 석조전전경.jpeg
|웹사이트 = https://royal.khs.go.kr/ROYAL/contents/R104030000.do?schBdcode=dsg&pageType=story&bdProgramCode=storyCtg6
 
 
}}
 
}}
  
18번째 줄: 18번째 줄:
 
=='''연혁'''==
 
=='''연혁'''==
 
{|class="wikitable"
 
{|class="wikitable"
! style="width:60px;"|연도 || style="width:370px;"|내용
+
! style="width:60px;"|연도 || style="width:180px;"|내용
 
|-
 
|-
| style="text-align:center"|1593 || 임진왜란 후 월산대군 사저를 정릉동 행궁으로 삼음
+
| style="text-align:center"|1897 || 경운궁 내 지형 측량
 
|-
 
|-
| style="text-align:center"|1611 || 광해군 때 경운궁으로 승격
+
| style="text-align:center"|1903 || 기초공사 시작
 
|-
 
|-
| style="text-align:center"|1896 || 아관파천
+
| style="text-align:center"|1902 || 공사 중단
 
|-
 
|-
| style="text-align:center"|1897 || 고종의 환궁과 대한제국 선포
+
| style="text-align:center"|1903 || 구조공사 시작
 
|-
 
|-
| style="text-align:center"|1904 || 경운궁 대화재
+
| style="text-align:center"|1907 || 내부공사 시작
 
|-
 
|-
| style="text-align:center"|1905 || 중명전에서 을사늑약 체결
+
| style="text-align:center"|1910 || 완공
 
|-
 
|-
| style="text-align:center"|1906 || 주요 전각 복원공사
+
| style="text-align:center"|1922 || 이진<ref>영친왕의 장남</ref> 사망
 
|-
 
|-
| style="text-align:center"|1907 || 고종 강제퇴위와 덕수궁 개칭
+
| style="text-align:center"|1933 || 경운궁 공원화
 
|-
 
|-
| style="text-align:center"|1910 || 석조전 준공
+
| style="text-align:center"|1938 || 석조전 서관<ref>현 국립현대미술관</ref>  개관
 
|-
 
|-
| style="text-align:center"|1919 || 고종 승하
+
| style="text-align:center"|1946 || 미소공동위원회 개최
|-
 
| style="text-align:center"|2007 || 덕수궁 복원공사 시작
 
|-
 
| style="text-align:center"|2023 || 고종의 길 완공
 
|-
 
| style="text-align:center"|2023 || 돈덕전 복원
 
 
|}
 
|}
  
 
=='''특징'''==
 
=='''특징'''==
 +
영국인 건축기사 하딩이 외부 설계를 맡아 1900년부터 10년에 걸쳐 공사를 진행했다. 내부 설계는 영국인 로벨이 맡아 2년에 걸쳐 공사가 진행되었다. <br/>
 +
정면 54m, 너비 31m에 지하 1층, 지상 2층으로 구성된 외견상 3층의 석조건물로 자재는 창의문 근처 돌산의 화강암을 활용했다. <br/>
 +
그리스 신전 건축에 기초한 신고전주의 건축 양식으로 엄격한 비례와 균형, 대칭의 질서와 조화가 추구되었다.
  
===건축 특징===
+
===외부===
 
+
르네상스의 러스티케이션을 연상시키는 기단 위에 중앙 페디먼트를 중심으로 좌우에 대칭적으로 기둥을 줄지어 세운 것은 전형적인 신고전주의 건축의 특징이다.<br/><br/>
- 영국인 하딩이 설계를 맡아 1900년부터 10년에 걸쳐 공사 진행<br/>
+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style="float:left">
- 정면 54m, 너비 31m<br/>
+
파일:석조전현관.jpg|현관
- 외견상 3층 석조건물(지하 1층, 지상 2층)<br/>
+
파일:석조전주두.jpg|이오니아식 주두
- 그리스 신전 건축에 기초한 신고전주의 건축 양식<br/>
+
</gallery>
→ 엄격한 비례와 균형, 대칭의 질서와 조화 추구<br/><br/>
+
<br/><br/><br/><br/><br/><br/><br/><br/><br/><br/><br/><br/>
 
 
===양식===
 
르네상스의 러스티케이션을 연상시키는 기단 위에 중앙 페디먼트를 중심으로 좌우에 대칭적으로 기둥을 줄지어 세운 것은 전형적인 신고전주의 건축의 특징이다.
 
**현관
 
[[파일:석조전현관.jpg|200px|]]
 
**이오니아식 주두
 
[[파일:석조전주두.jpg|200px|]]
 
 
- 전면 중앙부 돌출, 페디먼트에는 대한제국을 상징하는 오얏꽃 무늬<br/>
 
- 전면 중앙부 돌출, 페디먼트에는 대한제국을 상징하는 오얏꽃 무늬<br/>
 
- 정면 현관부에는 둥근 기둥을 사용했고 좌우 회랑 부분에는 사각 기둥을 사용해 변화를 줌<br/>
 
- 정면 현관부에는 둥근 기둥을 사용했고 좌우 회랑 부분에는 사각 기둥을 사용해 변화를 줌<br/>
  
 +
===내부===
 +
1층은 방문자들을 위한 공간, 2층은 황실 가족들의 공간으로 이용됐다.<br/>
 +
2009년 시작된 문화재청의 석조전 복원 사업 이후 대한제국 역사관으로 이용되고 있다. 황실 생활상을 재현한 재현실에는 덕수궁 완공 당시의 가구를 배치했다.
 +
 +
=='''참고문헌'''==
 +
"덕수궁," 국가유산포털, 2024년 6월 11일 접속,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region=1&searchCondition=%EB%8D%95%EC%88%98%EA%B6%81&searchCondition2=&ccbaKdcd=13&ccbaAsno=01240000&ccbaCtcd=11&ccbaCpno=1331101240000&ccbaCndt=&ccbaLcto=&stCcbaAsdt=&endCcbaAsdt=&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pageNo=1_1_1_1&p=multiSch&sortType=&sortOrd=&sngl=Y&s_kdcdArr=00&s_ctcdArr=00&ccbaPcd1Arr=99&ccbaGcodeArr=00
  
 +
https://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jsessionid=x9skSWnobjTXb9CQoVlpkKpPEW9leacRTfeACUAvNSd8Tnoa49K5jHH7C2NqS4ax.cha-was01_servlet_engine1?newsItemId=155698942&sectionId=b_sec_1&pageIndex=309&pageUnit=10&strWhere=&strValue=&sdate=&edate=&category=&mn=NS_01_02#:~:text=%EA%B7%B8%EB%9F%AC%EB%82%98%206%E2%80%A425%20%EC%A0%84%EC%9F%81,%ED%95%98%EC%97%AC%20%EC%84%9D%EC%A1%B0%EC%A0%84%EC%9D%84%20%EB%B3%B5%EC%9B%90%ED%95%98%EC%98%80%EB%8B%A4.
  
=='''참고문헌'''==
 
 
==각주==
 
==각주==
[[분류:지붕 없는 근대 박물관 정동으로의 건축 기행]][[분류:블글라]]
+
[[분류:지붕 없는 근대 박물관 정동으로의 건축 기행]][[분류:블글라]][[분류:크림슨]]

2024년 6월 22일 (토) 01:34 기준 최신판


개요

석조전은 대한제국의 대표적인 서양식 건물이다. 고종에 의해 황제국이 선포된 후 대한제국 황궁의 정전으로 만들어졌으며, 동양의 전통 궁궐과 달리 서양 주거 양식을 도입하여 내부에 접견실, 대식당, 침실, 서재 등을 갖추었다.


연혁

연도 내용
1897 경운궁 내 지형 측량
1903 기초공사 시작
1902 공사 중단
1903 구조공사 시작
1907 내부공사 시작
1910 완공
1922 이진[2] 사망
1933 경운궁 공원화
1938 석조전 서관[3] 개관
1946 미소공동위원회 개최

특징

영국인 건축기사 하딩이 외부 설계를 맡아 1900년부터 10년에 걸쳐 공사를 진행했다. 내부 설계는 영국인 로벨이 맡아 2년에 걸쳐 공사가 진행되었다.
정면 54m, 너비 31m에 지하 1층, 지상 2층으로 구성된 외견상 3층의 석조건물로 자재는 창의문 근처 돌산의 화강암을 활용했다.
그리스 신전 건축에 기초한 신고전주의 건축 양식으로 엄격한 비례와 균형, 대칭의 질서와 조화가 추구되었다.

외부

르네상스의 러스티케이션을 연상시키는 기단 위에 중앙 페디먼트를 중심으로 좌우에 대칭적으로 기둥을 줄지어 세운 것은 전형적인 신고전주의 건축의 특징이다.













- 전면 중앙부 돌출, 페디먼트에는 대한제국을 상징하는 오얏꽃 무늬
- 정면 현관부에는 둥근 기둥을 사용했고 좌우 회랑 부분에는 사각 기둥을 사용해 변화를 줌

내부

1층은 방문자들을 위한 공간, 2층은 황실 가족들의 공간으로 이용됐다.
2009년 시작된 문화재청의 석조전 복원 사업 이후 대한제국 역사관으로 이용되고 있다. 황실 생활상을 재현한 재현실에는 덕수궁 완공 당시의 가구를 배치했다.

참고문헌

"덕수궁," 국가유산포털, 2024년 6월 11일 접속,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region=1&searchCondition=%EB%8D%95%EC%88%98%EA%B6%81&searchCondition2=&ccbaKdcd=13&ccbaAsno=01240000&ccbaCtcd=11&ccbaCpno=1331101240000&ccbaCndt=&ccbaLcto=&stCcbaAsdt=&endCcbaAsdt=&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pageNo=1_1_1_1&p=multiSch&sortType=&sortOrd=&sngl=Y&s_kdcdArr=00&s_ctcdArr=00&ccbaPcd1Arr=99&ccbaGcodeArr=00

https://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jsessionid=x9skSWnobjTXb9CQoVlpkKpPEW9leacRTfeACUAvNSd8Tnoa49K5jHH7C2NqS4ax.cha-was01_servlet_engine1?newsItemId=155698942&sectionId=b_sec_1&pageIndex=309&pageUnit=10&strWhere=&strValue=&sdate=&edate=&category=&mn=NS_01_02#:~:text=%EA%B7%B8%EB%9F%AC%EB%82%98%206%E2%80%A425%20%EC%A0%84%EC%9F%81,%ED%95%98%EC%97%AC%20%EC%84%9D%EC%A1%B0%EC%A0%84%EC%9D%84%20%EB%B3%B5%EC%9B%90%ED%95%98%EC%98%80%EB%8B%A4.

각주

  1. 덕수궁이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어 석조전은 등록문화재에서 지정 해제되었음
  2. 영친왕의 장남
  3. 현 국립현대미술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