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북방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_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이북 방언==
 
==이북 방언==
<span style="background:#CEECF5">'''이북 방언에는 서북 방언과 동북 방언이 존재한다'''</span>
+
<big> <span style="background:#CEECF5">이북 방언은 쉽게 말해 [[북한]]의 방언을 의미하며</span> 이북 방언에는 서북 방언과 동북 방언이 존재한다.</big>  
 
 
 
==사용 지역==  
 
==사용 지역==  
  
7번째 줄: 6번째 줄:
 
<br/> 서북 방언은 평안남북도 지역에서 쓰이는 방언이다. 서북방언을 평안도 사투리 또는 관서 방언이라고 한다.   
 
<br/> 서북 방언은 평안남북도 지역에서 쓰이는 방언이다. 서북방언을 평안도 사투리 또는 관서 방언이라고 한다.   
 
   서북 방언은 북한에서 쓰이며 평양시, 평안남도, 평안북도, 자강도 지역에서 사용이 된다. 쉽게 말해 북한의 서쪽 지역에서 사용이 된다.  
 
   서북 방언은 북한에서 쓰이며 평양시, 평안남도, 평안북도, 자강도 지역에서 사용이 된다. 쉽게 말해 북한의 서쪽 지역에서 사용이 된다.  
** 평안북도 후창의 동부와 평안남도 양덕도 동북 방언의 흔적이 남아있다.
+
** 평안북도 동부와 평안남도 양덕도 동북 방언의 흔적이 남아있다.
 +
 
 +
<html><iframe src="https://www.google.com/maps/embed?pb=!1m18!1m12!1m3!1d1265717.6165298047!2d125.33052451454851!3d39.33349593919144!2m3!1f0!2f0!3f0!3m2!1i1024!2i768!4f13.1!3m3!1m2!1s0x5fd43440310ba059%3A0xc6362705d200d03a!2z7KGw7ISg66-87KO87KO87J2Y7J2466-86rO17ZmU6rWtIO2PieyViCDrgqjrj4Q!5e0!3m2!1sko!2skr!4v1701879624611!5m2!1sko!2skr" width="600" height="450" style="border:0;" allowfullscreen="" loading="lazy" referrerpolicy="no-referrer-when-downgrade"></iframe></html>
 
   
 
   
 
<br/>
 
<br/>
 +
 
<span style="background:#CEECF5">'''동북 방언'''</span>
 
<span style="background:#CEECF5">'''동북 방언'''</span>
 
<br/> 동북 방언은 함경남도의 영흥 이남 지역을 제외한 함남 정평 이북의 함경도 지역에서 쓰이는 방언이다. 동북 방언은 흔히 함경도 방언으로도 불린다. 또한 보수적인 방언인데 지리적으로 중앙에서 멀리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사방이 고립되었기 때문이다.  
 
<br/> 동북 방언은 함경남도의 영흥 이남 지역을 제외한 함남 정평 이북의 함경도 지역에서 쓰이는 방언이다. 동북 방언은 흔히 함경도 방언으로도 불린다. 또한 보수적인 방언인데 지리적으로 중앙에서 멀리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사방이 고립되었기 때문이다.  
 
   동북 방언은 북한에서 쓰이며 함경북도, 함경남도, 량강도 등의 지역에서 쓰인다. 쉽게 말해 북한의 동쪽 지역에서 사용이 된다.   
 
   동북 방언은 북한에서 쓰이며 함경북도, 함경남도, 량강도 등의 지역에서 쓰인다. 쉽게 말해 북한의 동쪽 지역에서 사용이 된다.   
 +
 +
<html><iframe src="https://www.google.com/maps/embed?pb=!1m18!1m12!1m3!1d1523215.5438379808!2d128.3029326861043!3d41.78455936702325!2m3!1f0!2f0!3f0!3m2!1i1024!2i768!4f13.1!3m3!1m2!1s0x5fca9c0eafc70bed%3A0xfcbdf3c212b90043!2z7KGw7ISg66-87KO87KO87J2Y7J2466-86rO17ZmU6rWtIO2VqOqyvSDrtoHrj4Q!5e0!3m2!1sko!2skr!4v1701879709131!5m2!1sko!2skr" width="600" height="450" style="border:0;" allowfullscreen="" loading="lazy" referrerpolicy="no-referrer-when-downgrade"></iframe></html>
  
 
==서북방언 특징==
 
==서북방언 특징==
====<span style="background:#CEECF5">'''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음'''</span>====
+
====<span style="background:#CEECF5">'''[[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음'''</span>====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background:white;"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background:white;"
136번째 줄: 140번째 줄:
  
 
====<span style="background:#CEECF5">'''부정부사 '아니' '''</span>====  
 
====<span style="background:#CEECF5">'''부정부사 '아니' '''</span>====  
  부정부사 '아니'는 비음이 수반되게 '아이'로 발음해야 한다. 또한 '아니'와 '못'은 문장 내에서 특이한 위치를 가진다.  
+
부정부사 '아니'는 비음이 수반되게 '아이'로 발음해야 한다. 또한 '아니'와 '못'은 문장 내에서 특이한 위치를 가진다.  
  
 
   나무하러 안 갔다 = 남 할라 아이 갔다  
 
   나무하러 안 갔다 = 남 할라 아이 갔다  
204번째 줄: 208번째 줄:
 
   <br/>어렵다 = 바쁘다  
 
   <br/>어렵다 = 바쁘다  
  
 +
<br/>
 +
==북한과 남한의 비슷한 사투리 지역==
 +
  함경북도 - 경상도 <br/>
 +
  황해도 - 충청도 <br/>
 +
  평양 - 서울
  
 +
==매체 속의 이북방언==
  
==사례==
+
===<span style="background:#CEECF5">북한의 지역별 사투리</span>===
**19세기에는 함경도 주민들이 러시아의 극동 지역으로 이주했기 때문에 중앙아시아 한국어와 관련이 있다. 러시아에서 한국어(북한 말투와 유사)를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음!  
+
<html><iframe width="470" height="280" src="https://www.youtube.com/embed/saNTJJKckXU" title="이게 진짜 북한 사투리! 북한 지역별 사투리 모음 zip #수다로통일_공동공부구역_JSA 매주 (화) 밤 10시 방송"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allowfullscreen></iframe></html>
 +
  '''~~둥''' -> 함경도에서 사용. 둥을 자주 사용함!
 +
  ex) 물건 있음 둥?
 +
 
 +
  '''~~시오''' -> 자강도에서 사용. 여우같은 느낌으로!
 +
  ex) 이랬시오, 저랬시오.
 +
 
 +
  '''~~쓰겨''' -> 황해도. 말이 느림!
 +
  ex) 뭐했쓰겨 
 +
<br/>
 +
 
 +
===<span style="background:#CEECF5">러시아에서 한국어를 사용!</span>===
 
<html><iframe width="470" height="280" src="https://www.youtube.com/embed/Mhp44Ol7yoA" title="[고려 아리랑: 천산의 디바] 뮤직예고편 vol.3 &#39;아리랑가무단&#39; 편"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allowfullscreen></iframe></html>
 
<html><iframe width="470" height="280" src="https://www.youtube.com/embed/Mhp44Ol7yoA" title="[고려 아리랑: 천산의 디바] 뮤직예고편 vol.3 &#39;아리랑가무단&#39; 편"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allowfullscreen></iframe></html>
 +
  19세기에는 함경도 주민들이 러시아의 극동 지역으로 이주했기 때문에 중앙아시아 한국어와 관련이 있다. 또한 북한 말투와 비슷한 걸 확인할 수 있다.
  
** 북한의 지역별 사투리
 
<html><iframe width="470" height="280" src="https://www.youtube.com/embed/saNTJJKckXU" title="이게 진짜 북한 사투리! 북한 지역별 사투리 모음 zip #수다로통일_공동공부구역_JSA 매주 (화) 밤 10시 방송"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allowfullscreen></iframe></html>
 
  
**북한말과 남한말 구분하기
+
<br/>
 +
===<span style="background:#CEECF5">북한말과 남한말 구분하기</span>===
 
<html><iframe width="470" height="280" src="https://www.youtube.com/embed/wpqir7SDiZ4" title="[엠빅X통일전망대] 어떤 게 서울말이고 어떤 게 북한 말인지 구분할 수 있겠음?"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allowfullscreen></iframe></html>
 
<html><iframe width="470" height="280" src="https://www.youtube.com/embed/wpqir7SDiZ4" title="[엠빅X통일전망대] 어떤 게 서울말이고 어떤 게 북한 말인지 구분할 수 있겠음?"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allowfullscreen></iframe></html>
+
 
 +
<br/>
 +
===<span style="background:#CEECF5">북한의 뉴스 근황</span>===
 +
<html><iframe width="470" height="280" src="https://www.youtube.com/embed/SeOtIp7KnOo" title="우리나라처럼 바뀐 북한 방송 근황 / 스브스뉴스"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allowfullscreen></iframe></html>
 +
 
 +
<br/>
 +
===<span style="background:#CEECF5">드라마 속 북한 사투리</span>===
 +
<html><iframe width="470" height="280" src="https://www.youtube.com/embed/WCqywO3MZGU" title="[#사랑의불시착] 술 마시면서 끝말잇기 하다 약 올리는 표치수와 잔뜩 열 오른 윤세리 ㅋㅋ 세리에게 북한어는 쉽지 않음😭"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allowfullscreen></iframe></html>
 +
 
 +
 
 
==참고문헌==
 
==참고문헌==
[https://encykorea.aks.ac.kr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https://encykorea.aks.ac.kr 한국민족문화대백과]   
<br/> 윤예진, 박미혜. (2023). 함북 육진 방언의 ‘-아부라, -아부사라, -압사라’의 형성에 대하여. 국어국문학,(203), 65-98, 10.31889/kll.2023.06.203.65
+
*「함북 육진 방언의 ‘-아부라, -아부사라, -압사라’의 형성에 대하여」 (윤예진, 박미혜, 2023)
 +
 
 +
 
  
 
==기타==
 
==기타==

2023년 12월 19일 (화) 18:28 기준 최신판

이북 방언

이북 방언은 쉽게 말해 북한의 방언을 의미하며 이북 방언에는 서북 방언과 동북 방언이 존재한다.

사용 지역

서북 방언
서북 방언은 평안남북도 지역에서 쓰이는 방언이다. 서북방언을 평안도 사투리 또는 관서 방언이라고 한다.

  서북 방언은 북한에서 쓰이며 평양시, 평안남도, 평안북도, 자강도 지역에서 사용이 된다. 쉽게 말해 북한의 서쪽 지역에서 사용이 된다. 
    • 평안북도 동부와 평안남도 양덕도 동북 방언의 흔적이 남아있다.


동북 방언
동북 방언은 함경남도의 영흥 이남 지역을 제외한 함남 정평 이북의 함경도 지역에서 쓰이는 방언이다. 동북 방언은 흔히 함경도 방언으로도 불린다. 또한 보수적인 방언인데 지리적으로 중앙에서 멀리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사방이 고립되었기 때문이다.

 동북 방언은 북한에서 쓰이며 함경북도, 함경남도, 량강도 등의 지역에서 쓰인다. 쉽게 말해 북한의 동쪽 지역에서 사용이 된다.   

서북방언 특징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음

<구개음화 1>
예시 서북방언
질그릇 딜그릇
가지 말라 가디 말라
치다 티다
찌르다 띠르다
<구개음화 2>
예시 서북방언
좋은 소식을 우체부가 가지고 왔습니다 딜돟은 소식을 우테부레 가제와시요
아침마다 체조를 하지요 아츰마당 테조를 하디요
점심시간이에요? 덤심시간이가?
질그릿이 떨어져서 깨졌습니다 딜그릇이 떨어데서 깨데시요


독특한 두음법칙

 두음법칙이란 'ㄹ', '니, 냐, 녀, 뇨, 뉴'로 단어가 시작되는 것을 꺼려하는 현상. 하지만 서북방언은 독특하게 'ㄹ'에 관한 두음법칙만을 사용하고 있다. 즉 ㄹ>ㄴ로 변화. 
<두음법칙>
예시 서북방언
노동 로동
이르다 니르다
일곱 닐굽
니론 리론


'어'->'오'로 실현, '으' -> '우' 실현

재미로 보는 어휘

 큰물 = 난물 
 
점심 = 찬밥
지붕 마루 = 마루새
옷 = 우티
먼지 = 몽댕이
끈 = 끈타부
반찬 = 찔게/즐게
후추 = 고추


 할아버지 = 크나반/크나배 
 
할머니 = 클마니/클만
큰아버지 = 맏아뱀
큰어머니 = 맏어맴
사내 = 서나
여지 = 에미네
오라버니 = 오르바니
동생 = 적은아
장모님 = 가소마니


 소리치다, 떠들어대다 = 과:티다 
 
집중하다 = 옴:허다
예민하다, 약하다 = 재장바르다
시끄럽다 = 흐니허다
세차다, 활발하다 = 벌차다
순전히 그것만 있다 = 알쭌하다
부끄럽다, 미안하다 = 쑤왁허다
난처하다, 야릇하다 = 야싸하다

동북 방언의 특징

성조가 강하다

 특정 지역에서는 고조, 저조, 상승조의 세 성조소를 가지고 있다. 중세 국어와 비교할 때 아래의 그래프와 같이 실현된다. 그 밖의 지역은 고조와 저조만을 가진다. 
<중세국어와 동북방언 성조 비교>
중세국어 예시 동북방언
거성 고조
평성 저조
상성 상승조


특이한 단모음화

 하향 이중모음 '의'는 'ㅣ'로 단모음화되거나 'ㅘ,ㅝ,ㅞ,ㅙ"는 자음 아래에서 'ㅏ,ㅓ,ㅐ,ㅔ'로 단모음화 된다. 
<동북방언 단모음화>
일반 사례 동북방언
의사 이사
의하다 이하다
관심하다 간심하다
유치원 유치언
꽹과리 깽가리
게짝


부정부사 '아니'

부정부사 '아니'는 비음이 수반되게 '아이'로 발음해야 한다. 또한 '아니'와 '못'은 문장 내에서 특이한 위치를 가진다.

 나무하러 안 갔다 = 남 할라 아이 갔다 
 
아직 안 먹어 봤어 = 아직 먹어 아이 보았소
술이 안 넘어가는데 = 술기도 넘어못가는데
구멍이 안 뚫어진다 = 궁기 뚧어 아이 진다
먹어보지 않았소 = 먹어 아~이 바:스
말을 알아듣지 못하오 = 말:알아 못 듣소


종결 어미

동북 방언은 상대 경어법이 3등급만 존재한다. 
<동북방언 종결어미>
분류 하대 평대 존대
서술 -음/슴 , -ㄴ다 -음/슴메 , -오/소 , -지비 -읍/습메다 , -우/수다 , -오/소다
의문 -니, -냐 -습/습메, -오/소, -지비. -습/습메다
명령 -으라이, -아/어라 -오/소 -읍/습소세, -읍/습소, -우/수다
청유 -자 -읍/습세, -기오, -지비 -읍/습세다, -지오다


독특한 단어

이 방언에 존재하는 어불다라는 동사는 여럿을 한데 모아서 합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주로 활용형 '어불어'로 사용되며 '같이' 또는 '함께'를 뜻한다. 이는 함경북도 지역 방언에 속한다. 우리가 쓰는 '더불어'와 비슷한 단어로 생각하면 된다

 일을 함께 하자 = 일으 어불어 하쟈 
 
물건을 함께 쓴다 = 어불어 쓴다
밤을 함께 나누어 먹어라 = 밥우 어불어 먹어라
함께 나누어 먹는 것입니까? = 어불어 먹는겜둥?


재미로 보는 어휘

삽 = 광차이
 
양배추 = 다두배채
썰매 = 빙고
    • 중국에서 차용한 단어들이다.
호주머니 = 거르망 
 
연필 = 가름다시
성냥 = 비지깨
    • 러시아에서 차용한 단어들이다.


고모, 이모 = 아재
 
큰아버지 = 아바니, 큰아배, 큰아바니
설마 = 간대르사
남기다 = 기티다
저녁 = 나조
씹다 = 널:다
우박 = 무리
허벅지 = 신다리
찾다 = 얻어보다
우습다 = 우뿌다
겨드랑 = 자개미
종아리 = 허튀


(수건 따위로) 닦다 = 슷다 
 
건드리다 = 드티우다
어지럽다 = 어립다
어렵다 = 바쁘다


북한과 남한의 비슷한 사투리 지역

 함경북도 - 경상도 
황해도 - 충청도
평양 - 서울

매체 속의 이북방언

북한의 지역별 사투리

 ~~둥 -> 함경도에서 사용. 둥을 자주 사용함! 
 ex) 물건 있음 둥? 
 ~~시오 -> 자강도에서 사용. 여우같은 느낌으로! 
 ex) 이랬시오, 저랬시오. 
 ~~쓰겨 -> 황해도. 말이 느림!
 ex) 뭐했쓰겨  


러시아에서 한국어를 사용!

 19세기에는 함경도 주민들이 러시아의 극동 지역으로 이주했기 때문에 중앙아시아 한국어와 관련이 있다. 또한 북한 말투와 비슷한 걸 확인할 수 있다. 



북한말과 남한말 구분하기


북한의 뉴스 근황


드라마 속 북한 사투리


참고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함북 육진 방언의 ‘-아부라, -아부사라, -압사라’의 형성에 대하여」 (윤예진, 박미혜, 2023)


기타

매체속의방언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