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Florenceismine (토론 | 기여) |
|||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1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개요'''== | =='''개요'''== | ||
− | '''이태준''' 선생은 대한민국의 의료인 출신 독립운동가이다. | + | '''이태준''' 선생은 대한민국의 의료인 출신 독립운동가이다. 세브란스의학교<ref>우리나라 최초로 설립된 근대적 의학교육기관</ref>를 졸업하고 의사가 되었으며 의료활동과 독립운동을 병행한 인물이다. 몽골에 가서 의료활동을 할 당시 얻은 별명으로는 '몽골의 슈바이처'가 있다. |
=='''정보'''== | =='''정보'''== | ||
*출생: 1883년 11월 21일, 경상도 함안도호부 평관면 평광리(現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명관리 평광마을) | *출생: 1883년 11월 21일, 경상도 함안도호부 평관면 평광리(現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명관리 평광마을) | ||
− | *사망: 1921년 2월<sub>(항년 38세)</sub>, 대몽골국 니슬렐 후레(現 몽골 울란바토르) | + | *사망: 1921년 2월<sub>(항년 38세)</sub>, 대몽골국 니슬렐 후레(現 몽골 울란바토르[https://www.google.com/search?q=%EB%AA%BD%EA%B3%A8%EC%9A%B8%EB%9E%80%EB%B0%94%ED%86%A0%EB%A5%B4&oq=%EB%AA%BD%EA%B3%A8%EC%9A%B8%EB%9E%80%EB%B0%94%ED%86%A0%EB%A5%B4&gs_lcrp=EgZjaHJvbWUqCggAEAAY4wIYgAQyCggAEAAY4wIYgAQyBwgBEC4YgATSAQkzNDEyajBqMTWoAgCwAgA&sourceid=chrome&ie=UTF-8]) |
*본관: 인천 이씨 | *본관: 인천 이씨 | ||
*자: 원일(元一) | *자: 원일(元一)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세브란스의학교=== | ===세브란스의학교=== | ||
[[파일:세브란스의과대학.jpg|300픽셀|섬네일|왼쪽|세브란스의과대학]] | [[파일:세브란스의과대학.jpg|300픽셀|섬네일|왼쪽|세브란스의과대학]] | ||
− | 1911년 세브란스의학교를 졸업하여 의사가 되었고 이때부터 안창호 | + | 1911년 세브란스의학교를 졸업하여 의사가 되었고 이때부터 안창호 선생<ref>일제강점기 때, 독립협회, 신민회, 공립협회, 흥사단, 임시정부 등에서 항일투쟁을 전개하였고, 신문 발행 및 학교 설립을 통해 민중운동을 전개한 교육자이지 독립운동가</ref>과 친분을 쌓아 독립운동에 투신하게 된다. |
===몽골=== | ===몽골=== | ||
1914년 몽골에 가서 의료활동과 독립운동을 병행했다. 몽골 마지막 칸 복드 칸의 주치의였다고 하며,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에 동의의국(同義醫局)을 세워 의료활동을 병행했다고 한다. 특히 당시 몽골인의 70%가 걸렸다던 성병 치료에 탁월했다고 한다. 그리고 1919년 당시 몽골 최고 훈장이었던 '에르데니인 오치르(ᠡᠷᠳᠡᠨᠢ ᠶᠢᠨ ᠸᠴᠢᠷ/Эрдэнийн Очир)'를 받았다고 한다. | 1914년 몽골에 가서 의료활동과 독립운동을 병행했다. 몽골 마지막 칸 복드 칸의 주치의였다고 하며,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에 동의의국(同義醫局)을 세워 의료활동을 병행했다고 한다. 특히 당시 몽골인의 70%가 걸렸다던 성병 치료에 탁월했다고 한다. 그리고 1919년 당시 몽골 최고 훈장이었던 '에르데니인 오치르(ᠡᠷᠳᠡᠨᠢ ᠶᠢᠨ ᠸᠴᠢᠷ/Эрдэнийн Очир)'를 받았다고 한다. | ||
===피살=== | ===피살=== | ||
− | 동시에 개신교 선교 활동과 의열단에 가입하고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자금 조달 등의 독립운동 중 당시 몽골의 지배자였던 | + | 동시에 개신교 선교 활동과 의열단에 가입하고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자금 조달 등의 독립운동 중 당시 몽골의 지배자였던 미친 남작이라 불린 로만 폰 운게른슈테른베르크의 사병들에게 붙잡혔고, 1921년 2월 2일 결국 피살됐다. |
=='''기타'''== | =='''기타'''==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이태준 기념관=== | ===이태준 기념관=== | ||
− | [[파일:몽골.jpg|300픽셀|섬네일| | + | [[파일:몽골.jpg|300픽셀|섬네일|왼쪽|이태준 선생 기념공원]] |
+ | |||
+ | |||
+ | |||
+ | |||
+ | |||
+ | |||
+ | |||
함안군은 이태준 선생의 헌신을 기리기 위해 이태준 선생 기념관을 세웠다. [https://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1363527] | 함안군은 이태준 선생의 헌신을 기리기 위해 이태준 선생 기념관을 세웠다. [https://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1363527] | ||
− | =='''다큐멘터리''' | + | =='''다큐멘터리'''== |
임시정부 100주년 특집으로 이태준 선생의 다큐멘터리가 제작되었다. | 임시정부 100주년 특집으로 이태준 선생의 다큐멘터리가 제작되었다. | ||
<html> | <html> | ||
<iframe width="1257" height="707" src="https://www.youtube.com/embed/FCru2zp0OoA" title="임시정부 100주년 특집 다큐멘터리 '이태준' [ MBC경남 특선다큐 ]"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1257" height="707" src="https://www.youtube.com/embed/FCru2zp0OoA" title="임시정부 100주년 특집 다큐멘터리 '이태준' [ MBC경남 특선다큐 ]"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allowfullscreen></iframe> | ||
</html> | </html> | ||
+ | |||
+ | =='''각주'''== | ||
+ | [[분류:독립운동고연전]][[분류:근대역사인물]][[분류:호두]] |
2023년 12월 10일 (일) 23:49 기준 최신판
개요
이태준 선생은 대한민국의 의료인 출신 독립운동가이다. 세브란스의학교[1]를 졸업하고 의사가 되었으며 의료활동과 독립운동을 병행한 인물이다. 몽골에 가서 의료활동을 할 당시 얻은 별명으로는 '몽골의 슈바이처'가 있다.
정보
- 출생: 1883년 11월 21일, 경상도 함안도호부 평관면 평광리(現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명관리 평광마을)
- 사망: 1921년 2월(항년 38세), 대몽골국 니슬렐 후레(現 몽골 울란바토르[1])
- 본관: 인천 이씨
- 자: 원일(元一)
- 호: 대암(大岩)
- 학력: 세브란스의학 (졸업)
- 종교: 그리스도교 (개신교)
생애
세브란스의학교
1911년 세브란스의학교를 졸업하여 의사가 되었고 이때부터 안창호 선생[2]과 친분을 쌓아 독립운동에 투신하게 된다.
몽골
1914년 몽골에 가서 의료활동과 독립운동을 병행했다. 몽골 마지막 칸 복드 칸의 주치의였다고 하며,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에 동의의국(同義醫局)을 세워 의료활동을 병행했다고 한다. 특히 당시 몽골인의 70%가 걸렸다던 성병 치료에 탁월했다고 한다. 그리고 1919년 당시 몽골 최고 훈장이었던 '에르데니인 오치르(ᠡᠷᠳᠡᠨᠢ ᠶᠢᠨ ᠸᠴᠢᠷ/Эрдэнийн Очир)'를 받았다고 한다.
피살
동시에 개신교 선교 활동과 의열단에 가입하고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자금 조달 등의 독립운동 중 당시 몽골의 지배자였던 미친 남작이라 불린 로만 폰 운게른슈테른베르크의 사병들에게 붙잡혔고, 1921년 2월 2일 결국 피살됐다.
기타
몽골의 슈바이처
몽골 한인사회가 '몽골의 슈바이처'로 불렸던 독립운동가 이태준 선생을 기리기 위해 대암장학회를 발족했다. [2]
이태준 기념관
함안군은 이태준 선생의 헌신을 기리기 위해 이태준 선생 기념관을 세웠다. [3]
다큐멘터리
임시정부 100주년 특집으로 이태준 선생의 다큐멘터리가 제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