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무관학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_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4번째 줄: 4번째 줄:
 
<div style="text-align:center"><font color="green">신흥무관학교</font></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 color="green">신흥무관학교</font></div>
  
<html><iframe src="https://www.google.com/maps/d/embed?mid=1IQ4UYgo9ivME7yPZijCf9INobcODE2Y&ehbc=2E312F" width="640" height="480"></iframe></html>
+
<div style="text-align:center"> <html><iframe src="https://www.google.com/maps/d/embed?mid=1IQ4UYgo9ivME7yPZijCf9INobcODE2Y&ehbc=2E312F" width="640" height="480"></iframe></html> </div>
 +
 
  
 
==신흥강습소==
 
==신흥강습소==

2023년 12월 9일 (토) 10:33 판

신흥무관학교.jpg
신흥무관학교


신흥강습소

신흥강습소.jpg
신흥강습소가 있던 곳에 지어진 건물

신민회는 1909년 만주에 독립군기지를 건설하기로 하고 이동녕·이회영·장유순 등을 기지 건설지 답사를 위해 만주에 파견하였다.

1910년 7월 이들은 남만주 유하현 삼원보 추가가에 우선 정착하였다. 그 뒤 토착민의 배척이 심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많이 받았으나, 1911년 봄 한인자치기관인 경학사를 조직하였다.

그리고 국내에서 모여드는 청년들에게 구국이념과 항일정신을 고취시켜 조국광복의 중견간부로 양성시킬 목적으로 신흥강습소를 설치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신흥무관학교의 전신이었다.

소장 이동녕, 교관 김창환·남상복·이장녕·이세영 등에 의해 운영되어, 1911년 4월 제1기 졸업생 변영태·성준용·김련 등 유수한 애국 청년 40여 명을 배출하였다.

이동녕.jpg
소장 이동녕
변영태.jpg
졸업생 변영태

삼원보는 교통이 번잡하고 국제적 이목을 받기 쉬운 곳이라 판단하고, 인적이 드문 벽지로 옮기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이 모아짐에 따라 통화현 제6구 합니하로 옮기게 되었다.

강습소의 본관 건물을 세우기 위해서는 광활한 토지를 매수해야 하는 등 막대한 경비와 인력이 필요했다. 이에 이석영 소유의 전답을 매각한 돈으로 경비를 충당했고, 아울러 선생과 학생들의 노동력이 합쳐져 마침내 신흥강습소를 준공할 수 있었다.

본관이 낙성된 뒤, 1913년 신흥중학교로 개칭하고 중학반과 군사반을 두었다가 중학반은 폐지하여 지방중학에 인계하고 군사반만 전력하였다.

신흥무관학교로 발전

각지 애국 청장년들이 모여들면서 전부 수용할 수 없게 되자, 1919년 유하현 제3구 고산자가로 이전함과 동시에 신흥중학교를 점진적으로 폐교하고 신흥무관학교를 설립하였다.

신흥무관학교의 설립 이후의 행보가 순탄치만은 않았다. 학교가 설립된 다음해부터 2년간 지속된 대흉작, 지방색에 의한 윤치국 학생 피살 사건, 마적에 의한 중견간부 윤기섭 등 납치 사건 등이 연이어 발생하였다.

이에 실망한 이시영은 봉천으로, 이동녕은 러시아령으로 가는 바람에 권위 있는 독립투사 양성기관이자 명실상부한 독립운동의 요람이었던 신흥무관학교는 막대한 타격을 입게 되었다.

그러나 절망 속에서도 윤기섭·김창환·여준 등의 굴하지 않는 기백과 인종으로 각 촌락을 전전하면서 구걸을 하여 학생들의 굶주림을 달래며 학교의 명맥을 유지해 나갔다.

3·1운동 이후 수많은 우국지사들이 해외로 망명하였는데, 이들은 특히 만주에서 무력항일투쟁을 벌려나갔다. 이때 일본 육군사관학교 출신 육군 중위 지청천, 윈난 사관학교 출신 이범석 등 유수한 무관들이 들어오면서 입학을 지원하는 학생들이 날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오래 지속되지 못하고 일제의 가중되는 탄압과 잇단 사고 등으로 1920년 가을 폐교되고 말았다. 폐교된 그 날 지청천은 사관생도 300명을 인솔하고 백두산지역 안도현 삼림지대로 들어가 홍범도의 부대와 연합하였다. 김좌진부대의 뒤를 따라 밀산에 도착하여 대한독립군단 결성에 참가하였다.

기능과 역할

하사관반 3개월, 특별훈련반 1개월, 장교반 6개월과정 등 3개 과정을 두었고, 폐교될 때까지 2,100여 명의 독립군을 배출하였는데, 이들이 청산리전투의 대첩과 친일 주구배 주살 등 독립전선 각 분야에서 주역으로 활동하였다.

신흥무관학교는 기본적으로 무관학교였으므로 군사교육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였다. 이 때 사용된 병서들은 윤기섭이 일본군의 병서와 중국군의 병서를 바탕으로 우리에게 맞게 새롭게 만든 것들이었다. 한편 신흥무관학교에서는 군사교육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민족정신 함양에도 노력하였는데 그것은 투철한 민족의식을 가진 인재양성이 일제를 물리칠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의 하나라고 인식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흥무관학교에서는 그 방편으로 우리나라의 국어, 국사, 지리교육을 강조하였다.

졸업생들의 활동지역을 보면 주로 만주와 중국본토 등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학교가 만주에 위치하고 있었으므로 졸업생들은 대부분 만주에서 활동하였는데 그들이 활동했던 대표적인 무장독립운동단체로서는 서로군정서와 북로군정서를 들 수 있다. 그 밖에 신흥무관학교 출신들은 만주지역의 대한통의부, 정의부, 신민부, 국민부 등 주요 주무장독립운동단체에서 활동하였다. 중국 본토 지역에서 활동했던 단체로서 주목되는 조직으로는 의열단과 임시정부 산하의 광복군을 들 수 있다. 이처럼 신흥무관학교 출신들은 학교가 폐교된 이후에도 만주와 중국본토의 여러 독립운동단체에서 각각 활발히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