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삼양동금동관음보살입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파일:서울삼양동금동관음보살입상.jpg|섬네일|오른쪽]] | ||
+ | |||
=정의= | =정의= | ||
국보 제 127호<ref>1968년 국보로 지정되었다.</ref>로, 삼국시대에 제작된 [[관세음보살]]상이다. | 국보 제 127호<ref>1968년 국보로 지정되었다.</ref>로, 삼국시대에 제작된 [[관세음보살]]상이다. | ||
=조성= | =조성= | ||
− | 조성 시기는 7세기 초로 | + | 조성 시기는 7세기 초 삼국시대로 추정된다. 살이 올라 통통해진 얼굴과 신체, U자형으로 늘어진 이중의 천의, 끝이 누그러진 군의 자락 등은 조성 시기를 7세기 초로 추정하게 한다. 그러나 삼국시대 당시 서울은 그 소유국가가 자주 변동되었던 중부 지방의 중심지이자 요충지였기 때문에 제작 국가를 확정짓기 어렵다. 조성 시기가 7세기 초로 추정되기 때문에<ref>6세기 중엽, 신라 진흥왕 15년(554)에 서울 지방은 신라의 영토로 확정되었다.</ref>, 신라의 불상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인 듯하나, 불상 제작 양식을 통해 백제의 것으로 보기도 하는 등 의견이 분분하다. 불상은 구리로 주조하여 금으로 도금하였다<ref>일명 금동</ref>. 높이는 약 20cm에 달한다. |
=발견= | =발견= | ||
− | 1967년 서울시 도봉구 삼양동에서 발견되었다. 당시 삼양동의 국유지에 천막을 치고 살던 주민 박용출씨가 발견자이다. 그는 1967년 1월 집 뒤의 산비탈이 무너져 온 식구가 깔려죽는 꿈을 꾸었다. 때문에 1월 28일, 천막집 뒤쪽에 하수도를 깊이 파던 중 흙 속에서 금동보살을 발견했다. 불상의 발견을 신고받은 문화재 관리 당국은 박용출씨에게 120만원의 보상금을 지급했다.<ref>매장문화재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제17조와 21조 등)과 | + | 1967년 서울시 도봉구 삼양동에서 발견되었다. 당시 삼양동의 국유지에 천막을 치고 살던 주민 박용출씨가 발견자이다. 그는 1967년 1월 집 뒤의 산비탈이 무너져 온 식구가 깔려죽는 꿈을 꾸었다. 때문에 1월 28일, 천막집 뒤쪽에 하수도를 깊이 파던 중 흙 속에서 금동보살을 발견했다. 불상의 발견을 신고받은 문화재 관리 당국은 박용출씨에게 120만원의 보상금을 지급했다.<ref> [https://www.law.go.kr/%EB%B2%95%EB%A0%B9/%EB%A7%A4%EC%9E%A5%EB%AC%B8%ED%99%94%EC%9E%AC%EB%B3%B4%ED%98%B8%EB%B0%8F%EC%A1%B0%EC%82%AC%EC%97%90%EA%B4%80%ED%95%9C%EB%B2%95%EB%A5%A0 '매장문화재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제17조와 21조 등)과 [https://www.law.go.kr/%EB%B2%95%EB%A0%B9/%EC%9C%A0%EC%8B%A4%EB%AC%BC%EB%B2%95 '유실물법'](제13조) 등은 ‘발견 유물은 신고는 7일 이내에 신고해야 하며, 발견자와 신고자, 토지 및 건물소유자에게 보상금을 균등하게 지급한다’고 규정</ref>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
=설명= | =설명= | ||
+ | 서울 삼양동 금동관음보살입상은 단판복련자 위에 똑바로 선 자세를 취하고 있다. | ||
+ | </br> </br> | ||
머리 위의 보관(寶冠)은 삼각형의 삼면관(三面冠)이다. 중앙의 앙련좌(仰蓮座) 위에는 결가부좌(結跏趺坐)한 화불(化佛)이 새겨져 있다. 또한, 오른손은 허리 근처에서 입체적인 정병을 들고 있으며, 왼손은 위로 올려 엄지와 검지를 V자형으로 곧게 편 특징적인 모습이다. 이러한 보관의 화불과 [[계인]]은 [[관세음보살]]의 도상적(圖像的) 특징이다. | 머리 위의 보관(寶冠)은 삼각형의 삼면관(三面冠)이다. 중앙의 앙련좌(仰蓮座) 위에는 결가부좌(結跏趺坐)한 화불(化佛)이 새겨져 있다. 또한, 오른손은 허리 근처에서 입체적인 정병을 들고 있으며, 왼손은 위로 올려 엄지와 검지를 V자형으로 곧게 편 특징적인 모습이다. 이러한 보관의 화불과 [[계인]]은 [[관세음보살]]의 도상적(圖像的) 특징이다. | ||
</br> </br> | </br> </br> | ||
− | + | 얼굴은 살이 올라 통통한 둥근 얼굴이다. 지그시 감은 긴 눈은 부은 듯 융기되었다. 눈썹에서 이어진 콧날은 유난히 날카롭게 강조된 반면, 턱선은 거의 사라져 둥글게 표현되었고 입은 아주 작고 엷은 미소가 서려 있다. 귀는 평판적인 넓은 타원형이다. 양어깨 너머로 드리워진 수발<ref>垂髮: 뒤로 길게 늘어뜨린 머리</ref>은 나뭇잎 형태로 마무리되었고 그 끝에 얕은 꽃무늬가 표현되었다. | |
</br> </br> | </br> </br> | ||
− | + | 목의 삼도(三道)는 보이지 않는다. 상체는 어깨가 좁아 위축된 모습이며, 가슴을 앞으로 내밀어 통통한 타원형을 이루었다. 따라서 신체는 후굴(後屈)의 자세를 이루고 있다. 가슴에는 널찍한 꽃 모양의 목걸이를 걸쳤다. 상체에는 양어깨를 덮고 있는 숄형의 천의가 돌려져 있다. 가슴 사이로 비스듬히 걸친 내의(內衣) 자락이 보인다. 천의는 배와 무릎 근처에서 이중으로 걸쳐 U자형으로 늘어져 있다. 하체의 군의 자락은 몇 줄의 선으로 간략화되어 있다. 다시 말해, 군의를 두껍게 입혀서 다리의 윤곽이 뚜렷하지 않으며, 옷주름은 몇 가닥의 판상의문(板狀衣文)으로 단순화되어 있다. | |
</br> </br> | </br> </br> | ||
− | + | 불상의 뒷면은 편평한데, 뒷머리에는 두광배(頭光背)를 꽂았던 광배의 촉 자국이 뚜렷하게 보인다. 대좌는 고식(古式)의 단판복련좌(單瓣覆蓮座)이다. 대좌의 꽃잎은 끝과 판심(瓣心)이 뾰족해 보살상의 부드러운 모델링에 비하여 예리함이 강조되어 있다. | |
</br> | </br> | ||
24번째 줄: | 28번째 줄: |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6722]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6722] | ||
[https://www.khan.co.kr/culture/culture-general/article/202104190600001] | [https://www.khan.co.kr/culture/culture-general/article/202104190600001] | ||
+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ion=1&searchCondition=%ea%b8%88%eb%8f%99%ea%b4%80%ec%9d%8c%eb%b3%b4%ec%82%b4%ec%9e%85%ec%83%81&searchCondition2=&s_kdcdArr=&s_ctcdArr=&ccbaPcd1Arr=&ccbaKdcd=11&ccbaAsno=01270000&ccbaCtcd=11&ccbaCpno=1111101270000&ccbaCndt=&ccbaLcto=&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pageNo=1_1_1_0&sngl=Y] | ||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09340&cid=40942&categoryId=33375] | ||
+ | |||
+ | |||
+ | [[분류:불교유물]] | ||
+ | [[분류:에그타르트]] |
2023년 12월 7일 (목) 19:58 기준 최신판
정의
국보 제 127호[1]로, 삼국시대에 제작된 관세음보살상이다.
조성
조성 시기는 7세기 초 삼국시대로 추정된다. 살이 올라 통통해진 얼굴과 신체, U자형으로 늘어진 이중의 천의, 끝이 누그러진 군의 자락 등은 조성 시기를 7세기 초로 추정하게 한다. 그러나 삼국시대 당시 서울은 그 소유국가가 자주 변동되었던 중부 지방의 중심지이자 요충지였기 때문에 제작 국가를 확정짓기 어렵다. 조성 시기가 7세기 초로 추정되기 때문에[2], 신라의 불상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인 듯하나, 불상 제작 양식을 통해 백제의 것으로 보기도 하는 등 의견이 분분하다. 불상은 구리로 주조하여 금으로 도금하였다[3]. 높이는 약 20cm에 달한다.
발견
1967년 서울시 도봉구 삼양동에서 발견되었다. 당시 삼양동의 국유지에 천막을 치고 살던 주민 박용출씨가 발견자이다. 그는 1967년 1월 집 뒤의 산비탈이 무너져 온 식구가 깔려죽는 꿈을 꾸었다. 때문에 1월 28일, 천막집 뒤쪽에 하수도를 깊이 파던 중 흙 속에서 금동보살을 발견했다. 불상의 발견을 신고받은 문화재 관리 당국은 박용출씨에게 120만원의 보상금을 지급했다.[4]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설명
서울 삼양동 금동관음보살입상은 단판복련자 위에 똑바로 선 자세를 취하고 있다.
머리 위의 보관(寶冠)은 삼각형의 삼면관(三面冠)이다. 중앙의 앙련좌(仰蓮座) 위에는 결가부좌(結跏趺坐)한 화불(化佛)이 새겨져 있다. 또한, 오른손은 허리 근처에서 입체적인 정병을 들고 있으며, 왼손은 위로 올려 엄지와 검지를 V자형으로 곧게 편 특징적인 모습이다. 이러한 보관의 화불과 계인은 관세음보살의 도상적(圖像的) 특징이다.
얼굴은 살이 올라 통통한 둥근 얼굴이다. 지그시 감은 긴 눈은 부은 듯 융기되었다. 눈썹에서 이어진 콧날은 유난히 날카롭게 강조된 반면, 턱선은 거의 사라져 둥글게 표현되었고 입은 아주 작고 엷은 미소가 서려 있다. 귀는 평판적인 넓은 타원형이다. 양어깨 너머로 드리워진 수발[5]은 나뭇잎 형태로 마무리되었고 그 끝에 얕은 꽃무늬가 표현되었다.
목의 삼도(三道)는 보이지 않는다. 상체는 어깨가 좁아 위축된 모습이며, 가슴을 앞으로 내밀어 통통한 타원형을 이루었다. 따라서 신체는 후굴(後屈)의 자세를 이루고 있다. 가슴에는 널찍한 꽃 모양의 목걸이를 걸쳤다. 상체에는 양어깨를 덮고 있는 숄형의 천의가 돌려져 있다. 가슴 사이로 비스듬히 걸친 내의(內衣) 자락이 보인다. 천의는 배와 무릎 근처에서 이중으로 걸쳐 U자형으로 늘어져 있다. 하체의 군의 자락은 몇 줄의 선으로 간략화되어 있다. 다시 말해, 군의를 두껍게 입혀서 다리의 윤곽이 뚜렷하지 않으며, 옷주름은 몇 가닥의 판상의문(板狀衣文)으로 단순화되어 있다.
불상의 뒷면은 편평한데, 뒷머리에는 두광배(頭光背)를 꽂았던 광배의 촉 자국이 뚜렷하게 보인다. 대좌는 고식(古式)의 단판복련좌(單瓣覆蓮座)이다. 대좌의 꽃잎은 끝과 판심(瓣心)이 뾰족해 보살상의 부드러운 모델링에 비하여 예리함이 강조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