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_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3번째 줄: 33번째 줄:
  
 
==해설==
 
==해설==
의지적이고 남성적인, 강인하고 비장한 어조가 사용되었다.
+
[[의지적]]이고 남성적인, 강인하고 비장한 어조가 사용되었다.
1, 2, 3연은 과거, 4연은 현재, 5연은 미래를 이야기하 구성이다.  
+
1, 2, 3연은 과거, 4연은 현재, 5연은 미래를 이야기하는 구성이다.  
 +
 
  
 
* 1연
 
* 1연
'까마득한 날'세상이 열리는 태초를 의미한다.<br/>
+
'까마득한 날'과 '하늘이 처음 열리고'는 세상이 시작되는 태초를 의미한다. 동시에 작품에 전반적인 웅장한 분위기를 더한다.<br/>
 
'닭 우는 소리'는 청각 이미지를 구현한다.<br/>
 
'닭 우는 소리'는 청각 이미지를 구현한다.<br/>
  
53번째 줄: 54번째 줄:
 
* 4연
 
* 4연
 
'눈'은 하얀 색, 즉 시각 이미지를 구현한다. 동시에 조국에게 닥친 어려움을 뜻하기도 한다.<br/>
 
'눈'은 하얀 색, 즉 시각 이미지를 구현한다. 동시에 조국에게 닥친 어려움을 뜻하기도 한다.<br/>
'매화 향기'에서 매화꽃은 혹독한 추위 속에서도 꽃을 피워내, 지조와 절개의 상징으로 활용된다. 또한 '매화 향기'는 후각 이미지를 구현하는 시어다.<br/>
+
'매화 향기'에서 매화꽃은 혹독한 추위 속에서도 꽃을 피워내, 선비의 지조와 절개의 상징으로 활용된다. 또한 '매화 향기'는 후각 이미지를 구현하는 시어다.<br/>
 
'가난한'에서 역경을 겪고 있는 민족의 정신을 강조한다.<br/>
 
'가난한'에서 역경을 겪고 있는 민족의 정신을 강조한다.<br/>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는 일제에 대항하자는 굳은 의지가 표현되어 있다. 특히 '노래의 씨'라고 표현되어 있다는 점에서, 시를 통한 저항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고 볼 수 있다.<br/>
+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는 일제에 대항하자는 굳은 의지가 표현되어 있다. 특히 '노래의 씨'라고 표현되어 있다는 점에서, 시를 통한 저항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고 볼 수 있다.
 +
'씨를 뿌리는' 주체가 '내', 즉 화자이다. 여기서 자기희생에 대한 의지가 드러나는데, 이는 이육사 시인의 [[선비정신]]과 연결된다. <br/>
  
  
 
* 5연
 
* 5연
'천고의 뒤에'는 시간의 흐름을 뜻한다.<br/>
+
'천고의 뒤에'는 시간의 흐름을 뜻한다. 이 표현을 근거로, [[이육사]] 시인이 민족의 독립이 쉽게 혹은 가까운 시일 내에 오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라고 해석하는 경우도 있다.<br/>
'초인'은 위기에 빠진 조국을 구원할 미래 후세대의 인재로 해석된다.<br/>
+
'초인'은 위기에 빠진 조국을 구원할 미래 후세대의 인재, 구세주로 해석된다.<br/>
 
'광야'는 이육사 시인의 고향 안동군으로 해석되는 경우도 있다.<br/>
 
'광야'는 이육사 시인의 고향 안동군으로 해석되는 경우도 있다.<br/>
 +
5연은 전반적으로 화자의 예언자적인 면모가 드러나며, 대한독립에 대한 시인의 바람과 열의가 담겨있다.
  
  
67번째 줄: 70번째 줄:
 
민족사적인 측면에서 암울했던,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배경의 작품이다.<br/>
 
민족사적인 측면에서 암울했던,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배경의 작품이다.<br/>
 
이육사 생전에 친분이 있었던 박훈산이 조선일보에 기고한 글에 의하면, 해당 작품은 시인이 서울서 피검되어 북경으로 압송 도중 찻간에서 구상되었다고 한다.<ref>박민영. (2016). 절망에 저항하는 이육사의 시 -시 『절정(絶頂)』 『광야(曠野)』 『꽃』을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49(0), 29-49.</ref>
 
이육사 생전에 친분이 있었던 박훈산이 조선일보에 기고한 글에 의하면, 해당 작품은 시인이 서울서 피검되어 북경으로 압송 도중 찻간에서 구상되었다고 한다.<ref>박민영. (2016). 절망에 저항하는 이육사의 시 -시 『절정(絶頂)』 『광야(曠野)』 『꽃』을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49(0), 29-49.</ref>
 +
  
 
==의의==
 
==의의==
민족정신을 일깨우고, 시를 통한 정치적 참여를 보여준 작품이다.
+
민족정신을 일깨우고, 시를 통한 정치적 참여를 보여준 작품이다. 비극을 극복할 수 있는, 원시적이고 본질적인 생명력을 강조하는 시로 평가된다. [[선비정신]] 특유의 고절(孤絶)의 미가 강하게 드러나는 작품이다.
비극을 극복할 수 있는, 원시적이고 본질적인 생명력을 강조하는 시로 평가된다.
 
고절(孤絶)의 미가 드러나는 작품이다.
 
 
 
  
==영향==
 
  
  
[[분류:폼폼푸딩🍮]]
+
[[분류:폼폼푸딩🍮]][[분류:이육사]] [[분류:이육사의 세계를 알아보조]] [[분류:콘텐츠 분야 7분반]] [[분류:민족문학]]

2023년 12월 7일 (목) 18:40 기준 최신판

개요

이육사 시인의 시 '광야'에 대한 서술이 이루어지는 페이지이다. 해당 작품은 시인의 생전에 활자화되지 못했다. 유고로 남아 전해지다가, 1945년 '자유신문'에 발표되었고 1946년 '육사시집'에 수록되었다.


.


본문

까마득한 날에 하늘이 처음 열리고 어데 닭 우는 소리 들렸으랴

모든 산맥들이 바다를 연모해 휘달릴 때도 차마 이곳을 범하던 못하였으리라

끊임없는 광음을 부지런한 계절이 피어선 지고 큰 강물이 비로소 길을 열었다

지금 눈 내리고 매화 향기 홀로 아득하니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

다시 천고의 뒤에 백마 타고 오는 초인이 있어 이 광야에서 목놓아 부르게 하리라


주제

조국 광복을 향한 의지, 새 역사 창조의 신념.


해설

의지적이고 남성적인, 강인하고 비장한 어조가 사용되었다. 1, 2, 3연은 과거, 4연은 현재, 5연은 미래를 이야기하는 구성이다.


  • 1연

'까마득한 날'과 '하늘이 처음 열리고'는 세상이 시작되는 태초를 의미한다. 동시에 작품에 전반적인 웅장한 분위기를 더한다.
'닭 우는 소리'는 청각 이미지를 구현한다.


  • 2연

'휘달릴 때도'에서 역동성을 강조한다. '이곳'은 불가침의 신성하고 숭고한 장소를 뜻한다. 즉, 작품의 제목이기도 한 '광야'를 말한다.


  • 3연

'부지런한 계절이 피어선 지고'는 시간의 흐름을 의미한다. '큰 강물이 비로소 길을 열었다'는 문명의 시작을 뜻한다.


  • 4연

'눈'은 하얀 색, 즉 시각 이미지를 구현한다. 동시에 조국에게 닥친 어려움을 뜻하기도 한다.
'매화 향기'에서 매화꽃은 혹독한 추위 속에서도 꽃을 피워내, 선비의 지조와 절개의 상징으로 활용된다. 또한 '매화 향기'는 후각 이미지를 구현하는 시어다.
'가난한'에서 역경을 겪고 있는 민족의 정신을 강조한다.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는 일제에 대항하자는 굳은 의지가 표현되어 있다. 특히 '노래의 씨'라고 표현되어 있다는 점에서, 시를 통한 저항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고 볼 수 있다. '씨를 뿌리는' 주체가 '내', 즉 화자이다. 여기서 자기희생에 대한 의지가 드러나는데, 이는 이육사 시인의 선비정신과 연결된다.


  • 5연

'천고의 뒤에'는 시간의 흐름을 뜻한다. 이 표현을 근거로, 이육사 시인이 민족의 독립이 쉽게 혹은 가까운 시일 내에 오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라고 해석하는 경우도 있다.
'초인'은 위기에 빠진 조국을 구원할 미래 후세대의 인재, 구세주로 해석된다.
'광야'는 이육사 시인의 고향 안동군으로 해석되는 경우도 있다.
5연은 전반적으로 화자의 예언자적인 면모가 드러나며, 대한독립에 대한 시인의 바람과 열의가 담겨있다.


배경

민족사적인 측면에서 암울했던,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배경의 작품이다.
이육사 생전에 친분이 있었던 박훈산이 조선일보에 기고한 글에 의하면, 해당 작품은 시인이 서울서 피검되어 북경으로 압송 도중 찻간에서 구상되었다고 한다.[1]


의의

민족정신을 일깨우고, 시를 통한 정치적 참여를 보여준 작품이다. 비극을 극복할 수 있는, 원시적이고 본질적인 생명력을 강조하는 시로 평가된다. 선비정신 특유의 고절(孤絶)의 미가 강하게 드러나는 작품이다.

  1. 박민영. (2016). 절망에 저항하는 이육사의 시 -시 『절정(絶頂)』 『광야(曠野)』 『꽃』을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49(0), 2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