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북방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52번째 줄: | 52번째 줄: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background:white;" | ||
− | |+ <> | + | |+ <서북방언 두음법칙> |
! '''예시''' || '''서북방언''' | ! '''예시''' || '''서북방언''' | ||
|- | |- |
2023년 12월 6일 (수) 14:18 판
이북 방언
이북 방언에는 서북 방언과 동북 방언이 존재한다
사용 지역
서북 방언
서북 방언은 평안남북도 지역에서 쓰이는 방언이다. 서북 방언을 평안도 사투리 또는 관서 방언이라고 한다.
서북 방언은 황해도의 멸악 산맥 이북 지역과 안악, 은율, 송화, 신천 등 서북 해안 지역에서 사용이 된다.
- 평안북도 후창의 동부와 평안남도 양덕도 동북 방언의 흔적이 남아있다.
동북 방언
동북 방언은 함경남도의 영흥 이남 지역을 제외한 함남 정평 이북의 함경도 지역에서 쓰이는 방언이다. 동북 방언 흔히 함경도 방언으로도 불린다. 19세기에는 함경도 주민들이 러시아의 극동 지역으로 이주했기 때문에 중앙아시아 한국어와 관련이 있다.
동북 방언은 혜산시, 운흥군, 보천군, 삼수군, 신파군, 갑산군, 풍산군, 부전군과 같은 함경북도, 자강도, 후창군에서 사용이 된다.
방언 특징
서북방언의 특징
-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음
예시 | 서북방언 |
---|---|
질그릇 | 딜그릇 |
가지 말라 | 가디 말라 |
치다 | 티다 |
찌르다 | 띠르다 |
예시 | 서북방언 |
---|---|
좋은 소식을 우체부가 가지고 왔습니다 | 딜돟은 소식을 우테부레 가제와시요 |
아침마다 체조를 하지요 | 아츰마당 테조를 하디요 |
점심시간이에요? | 덤심시간이가? |
질그릿이 떨어져서 깨졌습니다 | 딜그릇이 떨어데서 깨데시요 |
- 독특한 두음법칙
두음법칙이란 'ㄹ', '니, 냐, 녀, 뇨, 뉴'로 단어가 시작되는 것을 꺼려하는 현상. 하지만 서북방언은 독특하게 'ㄹ'에 관한 두음법칙만을 사용하고 있다. 즉 ㄹ>ㄴ로 변화.
예시 | 서북방언 |
---|---|
노동 | 로동 |
이르다 | 니르다 |
일곱 | 닐굽 |
니론 | 리론 |
유래
사례
참고문헌
기타
매체속의방언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