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백꽃」"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_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평가)
(기여)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8번째 줄: 28번째 줄:
  
 
='''해설'''=
 
='''해설'''=
 +
* <span style="background:#FFB6C1">구수한 '''[[강원도 방언]]'''과 아름다운 순 한국어 단어를 사용하여 향토성이 부각된다.</span>
 
* 인물들이 약간 모자라는 듯한 소년소녀층으로 제시되어 있으며 인물들의 행동양식, 어법, 문체 등이 해학적이고 골계적인 점에서 김유정 문학의 일반적인 특색을 잘 드러내고 있다.
 
* 인물들이 약간 모자라는 듯한 소년소녀층으로 제시되어 있으며 인물들의 행동양식, 어법, 문체 등이 해학적이고 골계적인 점에서 김유정 문학의 일반적인 특색을 잘 드러내고 있다.
 
* 여러 번의 닭싸움을 거쳐 두 사람의 점진적인 화해 관계 및 심리적인 대립 과정을 서정적으로 그려나가고 있는 점에서, 김유정의 다른 작품에 비해 비극적 요소를 내재하지 않은 희극이라는 특성을 지닌다.
 
* 여러 번의 닭싸움을 거쳐 두 사람의 점진적인 화해 관계 및 심리적인 대립 과정을 서정적으로 그려나가고 있는 점에서, 김유정의 다른 작품에 비해 비극적 요소를 내재하지 않은 희극이라는 특성을 지닌다.
37번째 줄: 38번째 줄:
 
'''[[문학]]'''으로 돌아가기 </br>
 
'''[[문학]]'''으로 돌아가기 </br>
 
==참고문헌==
 
==참고문헌==
 +
* 관련사이트
 +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6498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https://namu.wiki/w/%EB%8F%99%EB%B0%B1%EA%BD%83(%EC%86%8C%EC%84%A4)#toc 동백꽃]
 +
 
==기여==
 
==기여==
* [[선잠]] : 자료조사 및 페이지 작성
+
[[분류: 매체속의방언]]
 +
[[분류: 선잠]]

2023년 12월 5일 (화) 16:23 기준 최신판

개요

1936년 『조광(朝光)』에 발표되었고, 1938년 단편집 『동백꽃』에 수록되었다. 향토색 짙은 농촌의 배경 속에서 인생의 봄을 맞이하여 성장하는 충동적인 사춘기 소년, 소녀의 애정을 해학적으로 그린 김유정의 대표작이다.

내용

등장인물

구분 인물
주인공 - 소작농의 아들.
- 자꾸만 '나'를 괴롭히는 점순이를 미워한다.
- 원문 기준으로는 이름이 나오지 않으나, 교과서나 학습만화 등 파생 버전에서는 '만식', '갑돌', '순돌' 등 향토적 이름이 붙기도 한다.
점순이 - 마름의 딸.
- '나'를 좋아해 일부러 시비를 걸거나 잔소리를 늘어놓기도 한다. - 「봄봄」에서의 점순이보다 적극적인 모습을 보인다.

줄거리

 작품의 주인공이면서 서술자인 ‘나’는 순박하다 못해 어수룩한 소년이다. 이에 비해 점순은 활달하고 말괄량이 같은 소녀로서, 소년의 아버지가 소작을 든 마름의 딸이다. 소년에게 관심을 둔 점순은 구운 감자를 주며 접근하지만, 뜻을 알아차리지 못한 소년은 그것을 거절한다. 무안을 당한 점순은 자기 집 수탉과 소년의 집 수탉을 싸움 붙이면서 여러 차례 소년의 약을 올린다. 점순네 닭이 힘이 세어 소년의 집 닭이 늘 지게 되자, 화가 난 소년은 닭에게 고추장까지 먹이지만 별 효과가 없다. 어느 날 점순은 호드기를 불며 닭싸움을 붙이고 소년이 산에서 내려오기를 기다린다. 화가 난 소년이 작대기로 점순네 닭을 때려 죽였으나, 마름집 위세를 생각하고 당황하여 울어버린다. 이때 점순은 소년에게 자기 말을 들으면 일러바치지 않겠다고 약속하고, 둘은 부둥켜안은 채 한창 흐드러지게 핀 동백꽃 속으로 폭 파묻힌다.

주요 대사

고놈의 계집애가 요새로 들어서 왜 나를 못 먹겠다고 고렇게 아르릉거리는지 모른다.


"얘! 너 혼자만 일하니?"


"느 집엔 이거 없지? 너 봄 감자가 맛있단다."


"얘! 너 느 아버지가 고자라지?"


뭣에 떠다밀렸는지 나의 어깨를 짚은 채 그대로 퍽 쓰러진다. 그 바람에 나의 몸뚱이도 겹쳐서 쓰러지며, 한창 피어 퍼드러진 노란 동백꽃 속으로 폭 파묻혀 버렸다. 알싸한, 그리고 향긋한 그 냄새에 나는 땅이 꺼지는 듯이 온 정신이 고만 아찔하였다.

해설

  • 구수한 강원도 방언과 아름다운 순 한국어 단어를 사용하여 향토성이 부각된다.
  • 인물들이 약간 모자라는 듯한 소년소녀층으로 제시되어 있으며 인물들의 행동양식, 어법, 문체 등이 해학적이고 골계적인 점에서 김유정 문학의 일반적인 특색을 잘 드러내고 있다.
  • 여러 번의 닭싸움을 거쳐 두 사람의 점진적인 화해 관계 및 심리적인 대립 과정을 서정적으로 그려나가고 있는 점에서, 김유정의 다른 작품에 비해 비극적 요소를 내재하지 않은 희극이라는 특성을 지닌다.
  • 골계미는 우리 문학의 전통적 맥락에서 볼 때 중세와 근세로 이어지는 평민문학의 미적 특질과 연결된다. 그러면서도 삶의 실제적 문제를 객관화하여 다루었다는 점에서 사실주의문학의 한 위치를 차지한다.
  • 이 작품도 김유정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처럼 바보들의 이야기를 웃음거리로 다루었다는 부정적인 평가와, 계층의 어긋남을 객관적으로 문제 삼은 웃음의 문학이라는 긍정적 평가로 나누어진다.

기타

매체속의방언으로 돌아가기
문학으로 돌아가기

참고문헌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