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개발계획"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_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경제개발계획이란?'''==
 
=='''경제개발계획이란?'''==
''국민 경제를 일정한 방향으로 이끌어 가기 위하여 일정 기간을 단위로 하여 짠 계획. 1959년 3월 부흥부 산하의 산업 개발 위원회에서 작성한 ‘경제 개발 3개년 계획안’이 정부가 마련한 경제 개발 계획의 시초이다.
+
국민 경제를 일정한 방향으로 이끌어 가기 위하여 일정 기간을 단위로 하여 짠 계획. 1959년 3월 부흥부 산하의 산업 개발 위원회에서 작성한 ‘경제 개발 3개년 계획안’이 정부가 마련한 경제 개발 계획의 시초이다.<ref>[https://ko.dict.naver.com/#/entry/koko/94b0c93a5d2049c69c43f9eaef447640 우리말샘]</ref>
  
{{글상자
+
=='''도입'''==
|text=글상자 안에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어요.
+
1953년 3월에 발표되었던 국제연합한국부흥단(UNKRA)의 ‘한국경제재건계획(네이산보고서)’이 있었지만, 경제개발계획으로는 공식 채택되지 않았다. 이후  1959년 3월 부흥부 산하에 있던 산업개발위원회에서 작성된 <span style="background:#F2EFFB">경제개발3개년계획안(1960∼1962)</span>이 정부가 마련한 경제개발계획의 시초가 되었다.
}}
 
  
=='''도입'''==
 
 
=='''진행'''==
 
=='''진행'''==
 
==='''1962년~1966년'''===
 
==='''1962년~1966년'''===
 +
이 기간에는 사회적, 경제적인 악순환을 끊고 <span style="background:#F2EFFB">자립적 경제를 하기 위한 토대</span>를 쌓는 것을 목표로 했다. 경제 성장을 위한 기본 방향을  ① 전력과 같은 에너지 공급원의 확보, ② 농업 생산력 증, ③ 기초산업의 확보와 사회간접자본의 충족, ④ 유휴자원 활용, ⑤ 수출증대를 중심으로 하는 국제수지의 개선, ⑥ 기술의 발달에 중점을 두고 추진하였다.
 +
 +
성과로는 이 기간의 연평균성장률이 7.8%로 원래의 계획을 넘었으며, 광공업 부문이 성장하였다는 점이 있다.
 +
 
==='''1967년~1971년'''===
 
==='''1967년~1971년'''===
 +
이 기간에는 <span style="background:#F2EFFB">근대적인 산업구조를 설립하고 자립적인 경제를 촉진</span>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 경제 성장을 위한 기본 방향을 ① 식량의 자급, ② 철강, 기계 및 화학공업에 중점을 둔 공업구조의 고도화, ③ 수출증진과 수입대체에 의한 국제수지의 개선, ④ 고용증대와 인구팽창 억제, ⑤ 국민소득의 향상, ⑥ 기술수준과 생산성제고에 중점을 두고 추진하였다.
 +
 +
성과로는 이 기간부터 본격적인 공업화가 시작되었으며, 연평균경제성장률이 9.7%였다는 점이 있다.
 +
 
==='''1972년~1976년'''===
 
==='''1972년~1976년'''===
 +
이 기간에는 <span style="background:#F2EFFB">산업구조를 고도화시키면서 균형적인 성장</span>을 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경제 성장을 위한 기본 방향은 ① 산업구조의 고도화, ② 국제수지의 개선, ③ 주요 곡식의 자급, ④ 지역개발의 균형에 치중함을 통해 성장과 안정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에 중점을 두고 추진하였다.
 +
 +
성과로는 5년만에 7배의 수출증가를 이루었으며, 중화학공업이 성장했고, 자본재의 대외의존도가 낮아졌다는 점이 있다.1
 +
 
==='''1977년~1981년'''===
 
==='''1977년~1981년'''===
 +
이 기간에는 사회의 문제에 대한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하면서 <span style="background:#F2EFFB">자력성장구조의 실현, 사회개발을 통한 형평의 증진, 기술혁신과 능률의 향상</span>에 목표를 두었다. 경제 성장을 위한 기본 방향은 ① 중화학공업을 중심으로 한 공업화 전략, ② 사회간접자본의 지속적인 확보, ③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능률향상과 기술개발에 중점을 두고 추진하였다.
 +
 +
하지만 1980년 경제개발계획을 시작 이후 최대의 경제적 시련을 겪었으며, 모든 부문이 계획을 달성하지 못하여 경제난국이 발생하였다.
 +
 
==='''1982년~1986년'''===
 
==='''1982년~1986년'''===
 +
이 기간에는 전과 다르게 <span style="background:#F2EFFB">국민의 복지 향상</span>에 목표를 둠으로써 명칭이 ‘경제사회발전계획'으로 바뀌었다. 경제 성장을 위한 기본 방향은  ① 물가안정을 위한 기반 구축, ② 국제수지 개선, ③ 생산성의 향상, ④ 사회발전 촉진, ⑤ 합리적인 제도 발전에 중점을 두고 추진하였다.
 +
 
==='''1987년~1991년'''===
 
==='''1987년~1991년'''===
 +
이 기간에는 <span style="background:#F2EFFB">시장경제의 원활한 운용을 돕고, 분배의 공평을 추진</span>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
 
==='''1992년~1996년'''===
 
==='''1992년~1996년'''===
 +
이 기간에는 <span style="background:#F2EFFB">조화로운 국제화 추진</span>을 목표로 두고 있다.
 +
 +
==참고문헌==
 +
참고 페이지: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kc/view.do?levelId=kc_i501600&code=kc_age_50
  
 
[[분류:산업화가 쏘아올린 작은 문학]]
 
[[분류:산업화가 쏘아올린 작은 문학]]
 
[[분류:농담곰]]
 
[[분류:농담곰]]

2023년 12월 2일 (토) 15:38 기준 최신판

경제개발계획이란?

국민 경제를 일정한 방향으로 이끌어 가기 위하여 일정 기간을 단위로 하여 짠 계획. 1959년 3월 부흥부 산하의 산업 개발 위원회에서 작성한 ‘경제 개발 3개년 계획안’이 정부가 마련한 경제 개발 계획의 시초이다.[1]

도입

1953년 3월에 발표되었던 국제연합한국부흥단(UNKRA)의 ‘한국경제재건계획(네이산보고서)’이 있었지만, 경제개발계획으로는 공식 채택되지 않았다. 이후 1959년 3월 부흥부 산하에 있던 산업개발위원회에서 작성된 경제개발3개년계획안(1960∼1962)이 정부가 마련한 경제개발계획의 시초가 되었다.

진행

1962년~1966년

이 기간에는 사회적, 경제적인 악순환을 끊고 자립적 경제를 하기 위한 토대를 쌓는 것을 목표로 했다. 경제 성장을 위한 기본 방향을 ① 전력과 같은 에너지 공급원의 확보, ② 농업 생산력 증, ③ 기초산업의 확보와 사회간접자본의 충족, ④ 유휴자원 활용, ⑤ 수출증대를 중심으로 하는 국제수지의 개선, ⑥ 기술의 발달에 중점을 두고 추진하였다.

성과로는 이 기간의 연평균성장률이 7.8%로 원래의 계획을 넘었으며, 광공업 부문이 성장하였다는 점이 있다.

1967년~1971년

이 기간에는 근대적인 산업구조를 설립하고 자립적인 경제를 촉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 경제 성장을 위한 기본 방향을 ① 식량의 자급, ② 철강, 기계 및 화학공업에 중점을 둔 공업구조의 고도화, ③ 수출증진과 수입대체에 의한 국제수지의 개선, ④ 고용증대와 인구팽창 억제, ⑤ 국민소득의 향상, ⑥ 기술수준과 생산성제고에 중점을 두고 추진하였다.

성과로는 이 기간부터 본격적인 공업화가 시작되었으며, 연평균경제성장률이 9.7%였다는 점이 있다.

1972년~1976년

이 기간에는 산업구조를 고도화시키면서 균형적인 성장을 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경제 성장을 위한 기본 방향은 ① 산업구조의 고도화, ② 국제수지의 개선, ③ 주요 곡식의 자급, ④ 지역개발의 균형에 치중함을 통해 성장과 안정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에 중점을 두고 추진하였다.

성과로는 5년만에 7배의 수출증가를 이루었으며, 중화학공업이 성장했고, 자본재의 대외의존도가 낮아졌다는 점이 있다.1

1977년~1981년

이 기간에는 사회의 문제에 대한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하면서 자력성장구조의 실현, 사회개발을 통한 형평의 증진, 기술혁신과 능률의 향상에 목표를 두었다. 경제 성장을 위한 기본 방향은 ① 중화학공업을 중심으로 한 공업화 전략, ② 사회간접자본의 지속적인 확보, ③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능률향상과 기술개발에 중점을 두고 추진하였다.

하지만 1980년 경제개발계획을 시작 이후 최대의 경제적 시련을 겪었으며, 모든 부문이 계획을 달성하지 못하여 경제난국이 발생하였다.

1982년~1986년

이 기간에는 전과 다르게 국민의 복지 향상에 목표를 둠으로써 명칭이 ‘경제사회발전계획'으로 바뀌었다. 경제 성장을 위한 기본 방향은 ① 물가안정을 위한 기반 구축, ② 국제수지 개선, ③ 생산성의 향상, ④ 사회발전 촉진, ⑤ 합리적인 제도 발전에 중점을 두고 추진하였다.

1987년~1991년

이 기간에는 시장경제의 원활한 운용을 돕고, 분배의 공평을 추진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1992년~1996년

이 기간에는 조화로운 국제화 추진을 목표로 두고 있다.

참고문헌

참고 페이지: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kc/view.do?levelId=kc_i501600&code=kc_age_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