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 | |
| * 1연 | | * 1연 |
− | '까마득한 날'은 세상이 열리는 태초를 의미한다.<br/>
| + | <br/> |
− | '닭 우는 소리'는 청각 이미지를 구현한다.<br/>
| + | <br/> |
| | | |
| | | |
| * 2연 | | * 2연 |
− | '이곳'은 불가침의 숭고한 장소를 뜻한다. 즉, 작품의 제목이기도 한 '광야'를 말한다.
| + | |
| | | |
| | | |
| * 3연 | | * 3연 |
− | '부지런한 계절이 피어선 지고'는 시간의 흐름을 의미한다.
| + | |
| | | |
| | | |
| * 4연 | | * 4연 |
− | '눈'은 하얀 색, 즉 시각 이미지를 구현한다. 동시에 조국에게 닥친 어려움을 뜻하기도 한다.<br/> | + | '눈<br/> |
− | '매화 향기'에서 매화꽃은 혹독한 추위 속에서도 꽃을 피워내, 지조와 절개의 상징으로 활용된다. 또한 '매화 향기'는 후각 이미지를 구현하는 시어다.<br/>
| + | |
− | '가난한'에서 역경을 겪고 있는 민족의 정신을 강조한다.<br/>
| |
− |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는 일제에 대항하자는 굳은 의지가 표현되어 있다. 특히 '노래의 씨'라고 표현되어 있다는 점에서, 시를 통한 저항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고 볼 수 있다.<br/>
| |
| | | |
| | | |
2023년 11월 30일 (목) 13:01 판
개요
이육사 시인의 시 '광야'에 대한 서술이 이루어지는 페이지이다.
본문
매운 계절(季節)의 채찍에 갈겨
마침내 북방(北方)으로 휩쓸려 오다.
하늘도 그만 지쳐 끝난 고원(高原)
서릿발 칼날진 그 위에 서다.
어데다 무릎을 꿇어야 하나
한 발 재겨 디딜 곳조차 없다.
이러매 눈 감아 생각해 볼밖에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
주제
해설
'눈
배경
의의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