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문화유산 콘텐츠 편찬 계획(이효림)

classics
Editor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5월 27일 (목) 04:54 판 (네트워크 그래프)

이동: 둘러보기, 검색

주제

  • 안동 지역 내 광산 김씨 관련 문화유산 소개

노드리스트

문화유산

ID Class Label Description
안동_광산김씨_탁청정공파_종택 Heritage (국가민속문화재_제272호)_안동_광산김씨_탁청정공파_종택 조선시대의 학자인 김유(1491~1555, 호:탁청정) 가문의 종택이다.
탁청정 Heritage (국가민속문화재_제226호)_탁청정 안동 광산김씨 탁청정공파 종택에 딸린 정자이다.
후조당_종택 Heritage (국가민속문화재_제227호)_후조당_종택 안동 광산 김씨 예안파 종택에 딸린 별당으로, 김부필(1516∼1577, 호:후조당)이 지었다고 전하는 별당건물이다.
후조당_유물 Heritage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64호)_후조당_유물 광산 김씨 김부필(1577∼1644, 호: 후조당)이 나라에서 시호를 내릴 때 받은 교지와 「퇴계유묵」, 『향병일기』, 『전가보첩』 등 4종 6점이며, 숭원각에 보호 및 관리되고 있다.
광산김씨_재사_및_사당 Heritage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27호)_광산김씨_재사_및_사당 김효로(1445∼1534)와 증손자 김해(1555∼1592)를 모시고 있는 사당과 후조당에 부속된 재사(제사지내는 집)이다.
침락정 Heritage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40호)_침락정 김광계(1580∼1646)가 현종 13년(1672)에 세운 누정으로, 일명 운암정사라고도 한다.
광산김씨_예안파_종가_전적 Heritage (보물_제1019호)_광산김씨_예안파_종가_전적 광삼김씨 예안파 종가 문중에는 전적 약 3천여권이 보관되어 있으며, 그 중 서첩을 포함한 13종 61점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전적에는『서전(書傳)』, 『송조명신언행록』, 『 매월당집』, 『점필재집』,『역대명감』,『주자대전』,『징비록』,『근사록』,『주자실기』,『논어집주』 등이 있다. 서첩에는 「퇴계선생유묵」(이황이 직접 손으로 쓴 김효로의 묘비명),「퇴계선생서법」, 「별시첩(別時帖)」등이 있다.
광산김씨_예안파_종가_고문서 Heritage (보물_제1018호)_광산김씨_예안파_종가_고문서 광산 김씨 예안파 종가의 21대 6백년간에 걸쳐 전해내려오는 고문서들로 1,000여점이 보관되어 있으며, 이 중 교지 등 7종 429점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수운잡방 Heritage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435호)_수운잡방(需雲雜方) 안동김씨 설월당 종가가 소장하다가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요리책이며, 상편은 김유가, 하편은 김령이 집필한 것으로 추정된다.
설월당_종택_소장_전적_및_고문서 Heritage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320호)_설월당_종택_소장_전적_및_고문서 설월당 김부륜 종가에 전해지는 전적 및 고문서로서 전적은 『설월당유고』, 『계암일록』 등 2종 9책이고, 고문서는 김부륜·김령 부자와 관련된 교지, 유지, 분재기, 호구단자, 제문 등으로 177매이다.
향병일기 Heritage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483호)_향병일기(鄕兵日記) 선조 26년(1592)~선조 27년(1593) 약 1년 남짓한 기간 동안 안동과 그 주변 지역에서 활약한 김해의 의병부대 활동을 사실적으로 기록한 필사본 일지이다. (저자나 필자는 알 수 없음)
안동_유일재_종택 Heritage (경상북도_민속문화재_제113호)_안동_유일재_종택 광산 김씨 유일재공파의 종가로, 김언기(1520∼1588, 호:유일재)는 선조 때의 문신으로 안동지방의 교육에 크게 힘쓴 인물이다.
광산김씨_긍구당_고택 Heritage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316호)_광산김씨_긍구당_고택 원래 영천 이씨 참봉공파 종택이었는데 김언기(1520∼1588)가 재혼을 하면서 이 집에 살게 되었으며, 집 이름은 후손 김세환(1640∼1703)의 호를 따서 붙인 것이다.
안동_긍구당고댁_사당내_감실 Heritage (경상북도_민속문화재_제142호)_안동_긍구당고댁_사당내_감실 긍구당고택 사당 안에 모셔져 있는 위패감실(位牌龕室) 4점으로, 고조, 증조, 조부, 부친 등 4대의 감실이 독립적으로 완비되어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인물(광산김씨 관련)

ID Class Label Description
광산김씨 Concept 광산김씨
영천이씨 Concept 영천이씨
광산김씨_안동 Concept 광산김씨_안동
광산김씨_안동_예안 Concept 광산김씨_안동_예안
설월당_종가 Concept 설월당_종가
광산김씨_안동_구담 Concept 광산김씨_안동_구담
김흥광 Actor 김흥광(金興光) 광산김씨의 시조
김무 Actor 김무(金務) 광산김씨 17세손, 안동 풍산 도양리 입향조
김효로 Actor 김효로(金孝盧,_1454~1534) 광산김씨 20세손 (증조부 김무), 안동 예안 오천리 입향조
김연 Actor 김연(金緣,_1487~1544) 광산김씨 21세손, 김효로 첫째 아들
김유 Actor 김유(金綏,_1481~1552) 광산김씨 21세손, 김효로 둘째 아들
김부필 Actor 김부필(金富弼,_1516~1577) 광산김씨 22세손, 김연의 첫째 아들
김부륜 Actor 김부륜(金富倫,_1531~1598) 광산김씨 22세손, 김유의 셋째 아들
김해 Actor 김해(金垓,_1555~1641) 광산김씨 23세손, 김연의 손자
김령 Actor 김령(金坽,_1579~1641) 광산김씨 23세손, 김부륜의 첫째 아들
김광계 Actor 김광계(金光繼,_1580~1646) 광산김씨 24세손, 김해의 첫째 아들
김염 Actor 김염(1612~1659) 광산김씨 25세손, 김광계의 첫째 아들
김선 Actor 김선(1615~1670) 광산김씨 25세손, 김해의 손자
김순의 Actor 김순의(金純義,_1645~1714) 광산김씨 26세손, 김염의 첫째 아들
김용석 Actor 김용석(金用石,_1453~?) 광산김씨 22세손, 안동 풍천 구담리 입향조
김언기 Actor 김언기(金彦璣,_1520~1588) 광산김씨 24세손, 김용석의 손자
김세환 Actor 김세환(金世煥,_1640~1703) 광산김씨 28세손, 김언기의 4세손

기타

ID Class Label Description
계암일록 Record 계암일록(溪巖日錄) 김령이 1603~1641년에 쓴 일기
매원일기 Record 매원일기(梅園日記) 김광계가 1603~1645년에 쓴 일기
정미일록 Record 정미일록(丁未日錄) 김령이 1607년에 쓴 일기
묵재일기 Record 묵재일기(默齋日記) 김염이 1636∼1640년에 쓴 일기
여온일기 Record 여온일기(汝溫日記) 김선이 1639∼1644년에 쓴 일기
과헌일기 Record 과헌일기(果軒日記) 김순의가 1662∼1714년에 쓴 일기
안동_탁청정_현판 Object 안동_탁청정_현판 한호가 쓴 안동 탁청정 현판
안동_후조당_현판 Object 안동_후조당_현판 이황이 쓴 안동 탁청정 현판
숭원각 Place 숭원각 후조당 유물과 광산 김씨 유물 (문집, 서책) 수백점을 보호 및 관리하고 있음
설월당 Place 설월당 김부륜이 학문과 후진양성을 위해 건립한 정자로, 후조당 종택 아래쪽에 있다.
한호 Actor 한호(韓濩,_1543~1605)
이황 Actor 이황(李滉,_1501~1570)
시도민속문화재 Concept 시도민속문화재
시도유형문화재 Concept 시도유형문화재
국가민속문화재 Concept 국가민속문화재
보물 Concept 보물
의병 Concept 의병
운암정사 Place 운암정사
한국국학진흥원 Place 한국국학진흥원

네트워크 그래프

안동 광산김씨 인물과 문화유산


안동 광산김씨 가계


안동 광산김씨 문화유산


참고사항

안동 광산김씨 인물

ID Class Label Description
김흥광 Actor 김흥광(金興光) 광산김씨의 시조
김무 Actor 김무(金務) 광산김씨 17세손, 안동 풍산 도양리 입향조
김효로 Actor 김효로(金孝盧,_1454~1534) 광산김씨 20세손 (증조부 김무), 안동 예안 오천리 입향조
김연 Actor 김연(金緣,_1487~1544) 광산김씨 21세손, 김효로 첫째 아들
김유 Actor 김유(金綏,_1481~1552) 광산김씨 21세손, 김효로 둘째 아들
김부필 Actor 김부필(金富弼,_1516~1577) 광산김씨 22세손, 김연의 첫째 아들
김부의 Actor 김부의(金富儀,_1525~1582) 광산김씨 22세손, 김연의 둘째 아들
김부인 Actor 김부인(金富仁,_1512~1584) 광산김씨 22세손, 김유의 첫째 아들
김부신 Actor 김부신(金富信) 광산김씨 22세손, 김유의 둘째 아들
김부륜 Actor 김부륜(金富倫,_1531~1598) 광산김씨 22세손, 김유의 셋째 아들
김해 Actor 김해(金垓,_1555~1641) 광산김씨 23세손, 김부의의 첫째 아들
김령 Actor 김령(金坽,_1579~1641) 광산김씨 23세손, 김부륜의 첫째 아들
김광계 Actor 김광계(金光繼,_1580~1646) 광산김씨 24세손, 김해의 첫째 아들
김광실 Actor 김광실(金光實) 광산김씨 24세손, 김해의 둘째 아들
김염 Actor 김염(1612~1659) 광산김씨 25세손, 김광계의 첫째 아들
김선 Actor 김선(1615~1670) 광산김씨 25세손, 김광실의 넷째 아들
김순의 Actor 김순의(金純義,_1645~1714) 광산김씨 26세손, 김염의 첫째 아들
김용석 Actor 김용석(金用石,_1453~?) 광산김씨 22세손, 안동 풍천 구담리 입향조
김주 Actor 김주(金籌) 광산김씨 23세손, 김용석의 넷째 아들
김언기 Actor 김언기(金彦璣,_1520~1588) 광산김씨 24세손, 김주의 둘째 아들
김득연 Actor 김득연(金得硏,_1555~1637) 광산김씨 25세손, 김언기의 첫째 아들
김득의 Actor 김득의(金得礒) 광산김씨 25세손, 김언기의 셋째 아들
김세환 Actor 김세환(金世煥,_1640~1703) 광산김씨 28세손, 김언기의 4세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