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J2018 Cultivating Buckwheat"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lassics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NJ2018 TOC}} =='''Original Script'''== {|class="wikitable" style="width:70%" ! style="width:80%" | Text with Punctuation || style="width:20%" | Text Image || style="width:20%" | Te...)
 
(Korean Translation)
24번째 줄: 24번째 줄:
 
늦벼[晩稻]를 수경(水耕)할 때는 정월에 얼음이 녹을 때 간다. 거름[糞]을 넣거나 흙을 넣는 것은 올벼 재배법과 동일하다. {{원주|올해 흙을 넣었다면 내년에는 거름을 넣거나 잡초를 넣는 방식으로 교대한다.}}흙이 진흙투성이거나 푸석푸석하거나 찬물 기운[水冷]이 있다면 완전히 새 흙이나 사토(莎土)를 채워 넣는다. (토질이) 척박하다면 소똥, 말똥 및 가지에 달린 갈잎[杼葉] {{원주|향명(鄕名)으로는 가을초(加乙草)이다.}}을 깔아주는데, 인분(人糞), 누에똥잠사(蠶沙)도 좋다. {{원주|다만 많이 구하는 것이 어렵다.}}3월 상순에서 망종절(芒種節) 사이에 다시 간다. {{원주|대체로 망종절보다 늦게 갈고 파종하면 (수확이) 부실하다.}}종자 담그기, 파종하기, 종자 덮기, 물대기, 김매기 방법은 모두 올벼 재배법과 동일하다. {{원주|6월 보름 이전에 3번 김매는 것이 가장 좋다. 6월 이내에 3번 김매는 것이 그 다음이다. 여기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은 가장 나쁘다.}}
 
늦벼[晩稻]를 수경(水耕)할 때는 정월에 얼음이 녹을 때 간다. 거름[糞]을 넣거나 흙을 넣는 것은 올벼 재배법과 동일하다. {{원주|올해 흙을 넣었다면 내년에는 거름을 넣거나 잡초를 넣는 방식으로 교대한다.}}흙이 진흙투성이거나 푸석푸석하거나 찬물 기운[水冷]이 있다면 완전히 새 흙이나 사토(莎土)를 채워 넣는다. (토질이) 척박하다면 소똥, 말똥 및 가지에 달린 갈잎[杼葉] {{원주|향명(鄕名)으로는 가을초(加乙草)이다.}}을 깔아주는데, 인분(人糞), 누에똥잠사(蠶沙)도 좋다. {{원주|다만 많이 구하는 것이 어렵다.}}3월 상순에서 망종절(芒種節) 사이에 다시 간다. {{원주|대체로 망종절보다 늦게 갈고 파종하면 (수확이) 부실하다.}}종자 담그기, 파종하기, 종자 덮기, 물대기, 김매기 방법은 모두 올벼 재배법과 동일하다. {{원주|6월 보름 이전에 3번 김매는 것이 가장 좋다. 6월 이내에 3번 김매는 것이 그 다음이다. 여기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은 가장 나쁘다.}}
 
-->
 
-->
 +
○교맥 재배법.{{원주|향명(鄕名)으로는 목맥(木麥)이다.}}:
 +
 +
○교맥(蕎麥)은 때에 맞추는 게 가장 좋다.{{원주|때를 놓치거나 서리를 만나면 수확하지 못한다.}}
 +
황무지[荒地]가 <교맥 재배에> 적당하다. 5월에 밭을 간 후 풀이 무성해지면 6월에 다시 갈며, 종자를 심을 때 또 다시 간다.
 +
 +
종자 1말을 기준으로 분회(糞灰) 1섬을 <섞는 게> 적당하다.{{원주|분회가 적다면 종자를 적시는 방법도 가능하다.}}밭이 척박하더라도 분회가 많으면 수확할 수 있다. 열매가 절반은 검고 절반은 흴 때 베어낸다. 뒤집어 세우면 모두 검어진다.
 +
 +
만약 산림(山林)으로 인해 비옥하고 흙이 두꺼운 땅이라면 화경(火耕)하여 종자를 뿌리는데, 수확이 보통 때의 두 배가 된다.
 +
 +
 +
○종자를 적시는 방법: 소똥․말똥을 태워 재로 만든다. 외양간 웅덩이에 모인 오줌을 나무구유[木槽]에 담고, 교맥 종자를 한나절 동안 <여기에> 담갔다가 걸러낸다. <이것을> 잿속에 던져서 재가 종자에 달라붙도록 만든다.
 +
 +
○유마(油麻).{{원주|본초(本草)에서는 백유마(白油麻)라고 하고, 중국사람들[唐人]은 지마(芝麻)라고 부르는데, 보통 사람들은 진임자(眞荏子)라고 부른다.}}수소자(水蘇子).{{원주|속칭 수임자(水荏子)이다.}}
  
 
=='''English Translation'''==
 
=='''English Translation'''==

2018년 5월 27일 (일) 22:45 판

Nongsa jikseol
Table of Contents
  1. Preface
  2. Preparing the Seed Grain
  3. Plowing the Soil
  4. Cultivating Hemp
  5. Cultivating Rice
  6. Cultivating Proso and Foxtail Millet
  7. Cultivating Barnyard Grass
  8. Cultivating Soybeans, Red Beans, and Mung Beans
  9. Cultivating Barley and Wheat
  10. Cultivating Sesame
  11. Cultivating Buckwheat

Original Script

Text with Punctuation Text Image Text Image
○種蕎麥【鄕名木麥】:
蕎麥趂時爲良。【失時遇霜不收。】
立秋在六月, 則節前三日內, 立秋在七月, 則節後三日內, 乃其時也。
宜荒地。 五月耕之。 得草爛, 六月又耕。 下種時, 又耕之。
種子一斗, 糞灰一石爲度。 【灰小, 則漬種亦可。】 田雖塉薄, 多糞灰, 則可收。
其實半黑半白, 刈之。倒竪, 則皆黑。 其早霜處, 宜早耕, 不必待立秋前後也。
若山林肥厚之地, 火耕撒種, 所收倍常。
○漬種法: 燒牛馬糞爲灰, 以廐池尿盛貯木槽中, 漬蕎麥種半日, 漉出。投灰中, 令灰粘着種子。
油麻。 【本草白油麻, 唐人稱芝麻, 俗所爲眞荏子。】 水蘇子。【俗稱水荏子】


19


20

Korean Translation

○교맥 재배법.향명(鄕名)으로는 목맥(木麥)이다.

○교맥(蕎麥)은 때에 맞추는 게 가장 좋다.때를 놓치거나 서리를 만나면 수확하지 못한다.

황무지[荒地]가 <교맥 재배에> 적당하다. 5월에 밭을 간 후 풀이 무성해지면 6월에 다시 갈며, 종자를 심을 때 또 다시 간다.

종자 1말을 기준으로 분회(糞灰) 1섬을 <섞는 게> 적당하다.분회가 적다면 종자를 적시는 방법도 가능하다. 밭이 척박하더라도 분회가 많으면 수확할 수 있다. 열매가 절반은 검고 절반은 흴 때 베어낸다. 뒤집어 세우면 모두 검어진다.

만약 산림(山林)으로 인해 비옥하고 흙이 두꺼운 땅이라면 화경(火耕)하여 종자를 뿌리는데, 수확이 보통 때의 두 배가 된다.


○종자를 적시는 방법: 소똥․말똥을 태워 재로 만든다. 외양간 웅덩이에 모인 오줌을 나무구유[木槽]에 담고, 교맥 종자를 한나절 동안 <여기에> 담갔다가 걸러낸다. <이것을> 잿속에 던져서 재가 종자에 달라붙도록 만든다.

○유마(油麻).본초(本草)에서는 백유마(白油麻)라고 하고, 중국사람들[唐人]은 지마(芝麻)라고 부르는데, 보통 사람들은 진임자(眞荏子)라고 부른다. 수소자(水蘇子).속칭 수임자(水荏子)이다.


English Translation

Glossary

Footnote


Further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