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 초기 지도자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lassics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5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사진출처= [[https://joongang.joins.com/ 중앙일보]]
 
|사진출처= [[https://joongang.joins.com/ 중앙일보]]
 
|대표명칭=  
 
|대표명칭=  
|영문명칭=
+
|영문명칭=  
|한자=
+
|한자= 天主敎
 
|주소=
 
|주소=
 
|소장처=  
 
|소장처=  
10번째 줄: 10번째 줄:
 
|지정일=  
 
|지정일=  
 
|해제일=
 
|해제일=
|분류=  
+
|분류= 신해박해 / 신유박해
 
|소유자=
 
|소유자=
 
|관리자=  
 
|관리자=  
|시대=
+
|시대= 1700s
 
|제작시기=
 
|제작시기=
 
|수량/면적=  
 
|수량/면적=  
21번째 줄: 21번째 줄:
 
}}
 
}}
  
===내용===
+
=='''내용'''==
한국 천주교를 이끌었던 초기 지도자들
+
* 한국 천주교를 이끌었던 초기 지도자들
  
 
조선 후기에 한국 천주교회 창설을 주도한 3대 인물은 한국 천주교회 창설의 선구자인 이벽 (세례자 요한, 1754-1786), 한국 최초의 영세자 이승훈(베드로, 1756-1801), 그리고 가성직제도 (假聖職制度) 때 주교로 임명된 권일신(프란치스코 사베리오, 1751-1792)이다. 그리고 명도회 초기 회장인 정약종 (아우구스티노, 1760-1801)・최필공 (토마스 1745-1801)・홍교만 (프란치스코 사베리오, 1738-1801)・이조정랑을 지낸 홍낙민 (루가, 1751-1801)・천주교회 총회장 최창현 (요한, 1754-1801)・ '내포의 사도' 이재창 (존자가 루도비코, 1759-1801)도 천주교회를 이끌었던 대표적인 인물이다. 이 가운데 이벽은 1785년 (정조9,乙巳)  을사추조적발사건 (乙巳秋曹摘發事件)이 일어난 직후에 세상을 떠났고,  윤지충과 권상연이 윤지충의 모친상 때 신주를 불사르고 가톨릭식 제례를 지낸 일로 발생했던 진산사건 (1791) 직후에 권일신은 죽었다. 그리고 이승훈, 정약종, 최필공, 홍교만, 홍낙민, 최창현은 신유옥사가 일어난 직후인 1801년 (순조1,辛酉) 2월 26일 (양력 4월 8일)에 서울 서소문 밖에서 참수되었고, 이존창은 1801년 2월 27일에 공주로 호송되어 참수되었다. 이들 외에 천주교 초창기에 전교에 공헌한 인물로 '호남의 사도'유항검 (아우구스티노, 1756-1801) ・ 윤유일 (바오로, 1760-1795) ・지황(사바, ? -1795) 등과 청음 김상헌의 후손으로 당색이 노론이었던 김건순 (요사팟, 1776-1801)과 김백순 (세례명미상, ?-1801)도 순교하였다. 이들도 모두 다산과 교유가 있었을 것이라 짐작되지만 교유의 자취가 기록에 남아 있지 않다.
 
조선 후기에 한국 천주교회 창설을 주도한 3대 인물은 한국 천주교회 창설의 선구자인 이벽 (세례자 요한, 1754-1786), 한국 최초의 영세자 이승훈(베드로, 1756-1801), 그리고 가성직제도 (假聖職制度) 때 주교로 임명된 권일신(프란치스코 사베리오, 1751-1792)이다. 그리고 명도회 초기 회장인 정약종 (아우구스티노, 1760-1801)・최필공 (토마스 1745-1801)・홍교만 (프란치스코 사베리오, 1738-1801)・이조정랑을 지낸 홍낙민 (루가, 1751-1801)・천주교회 총회장 최창현 (요한, 1754-1801)・ '내포의 사도' 이재창 (존자가 루도비코, 1759-1801)도 천주교회를 이끌었던 대표적인 인물이다. 이 가운데 이벽은 1785년 (정조9,乙巳)  을사추조적발사건 (乙巳秋曹摘發事件)이 일어난 직후에 세상을 떠났고,  윤지충과 권상연이 윤지충의 모친상 때 신주를 불사르고 가톨릭식 제례를 지낸 일로 발생했던 진산사건 (1791) 직후에 권일신은 죽었다. 그리고 이승훈, 정약종, 최필공, 홍교만, 홍낙민, 최창현은 신유옥사가 일어난 직후인 1801년 (순조1,辛酉) 2월 26일 (양력 4월 8일)에 서울 서소문 밖에서 참수되었고, 이존창은 1801년 2월 27일에 공주로 호송되어 참수되었다. 이들 외에 천주교 초창기에 전교에 공헌한 인물로 '호남의 사도'유항검 (아우구스티노, 1756-1801) ・ 윤유일 (바오로, 1760-1795) ・지황(사바, ? -1795) 등과 청음 김상헌의 후손으로 당색이 노론이었던 김건순 (요사팟, 1776-1801)과 김백순 (세례명미상, ?-1801)도 순교하였다. 이들도 모두 다산과 교유가 있었을 것이라 짐작되지만 교유의 자취가 기록에 남아 있지 않다.
  
===미디어 자료===
+
The three leading figures behind the creation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Yi Byeok (John the Baptist, 1754-1786), Korea's first baptized Catholic Lee Seung-hoon (Peter, 1756-1801), and Gwon Il-sin (Francis Xavier, 1751-1792), who was appointed bishop by the patriarchal system. Additionally, Jeong Yak-jong (Augustino, 1760-1801), who served as first president of the Myeongdohoe organization, Choi Pil-gong (Thomas, 1745-1801), Hong Gyo-man (Francis Xavier, 1738-1801), Hong Nak-min (Luke, 1751-1801), Choi Chang-hyun (John, 1754-1801), who served as president of the Catholic Church, and Lee Jae-chang (Ludovicus 1759-1801), also known as the Apostle of Naepo, were also representative figures. Among these figures, Yi Byeok died shortly after the Eulsachujojeokbal Incident in 1785 (the 9th year of King Jeongjo’s reign), and Kwon Il-shin died after the Jinsan Incident (1791), which occurred when Yoon Ji-chung burned Shinju (the tablet of the dead), and held Catholic rituals during his mother’s death with Kwon Sang-yeon. Lee Seung-hoon, Jeong Yak-jong, Choi Pil-gong, Hong Gyo-man, Hong Nak-min, and Choi Chang-hyun were beheaded outside Seosomun, Seoul on February 26, 1801 (April 8 based on the solar calendar, the 1st year of King Sunjo’s reign,) shortly after the Sinyuoksa, and Lee John-chang was also beheaded after being escorted to Gongju on February 27, 1801. Furthermore, Yu Hang-gum (Augustino, 1756-1801), also known as the Apostle of Honam, Yun Yu-il (Paul, 1760-1795), Ji Hwang (Sabas, ?-1801) were also known martyrs of the early days of Catholicism along with Kim Geon-soon (Yosapat, 1776-1801) and Kim Baek-soon (?-1801), who were descendants of Kim Sang-heon (pen name: Cheongum) and politically affiliated with the Noron faction. Although it is generally assumed that all of them had exchanges with Jeong Yak-yong (pen name: Dasan), but there are no traces of exchanges on the record., no traces of them were officially recorded.
 +
 
 +
 
 +
 
 +
 
 +
* 한국 최초의 순교자 윤지충과 권상연, 호남의 사도 유항검 등이 처형된 곳 ([http://paxkorea.kr/bbs/view.php?id=1001&no=189 교구별 성지])
 +
  [[파일:Poongnam_1.jpeg|430px]]  [[파일:Poongnam 2.jpeg|500px]]
 +
* ‘하느님의 종’ 권일신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http://www.clak.or.kr/ver2/pyungshindo/webzine61ho.php?ptype=view&idx=8611&page=1&code=pyshdo61 한국천주교 평신도사도직단체협의회])
 +
  [[파일:20181219132108 lmdpwxcq.png|800px]]
 +
 
 +
=='''미디어 자료'''==
 
* 윤지충 바오로, 권상연 야고보 (가톨릭 역사관)
 
* 윤지충 바오로, 권상연 야고보 (가톨릭 역사관)
 
<html>
 
<html>
32번째 줄: 42번째 줄:
 
</html>
 
</html>
  
===지식 관계망===
+
 
 +
=='''지식 관계망'''==
 
[[천주교_초기_지도자들.lst]]
 
[[천주교_초기_지도자들.lst]]
 
{{NetworkGraph | title=천주교_초기_지도자들.lst | direction=UD}}
 
{{NetworkGraph | title=천주교_초기_지도자들.lst | direction=UD}}
  
===참고문헌===
+
 
 +
===중심요소===
 +
 
 +
{| class="wikitable"
 +
! ID !! Class !! Label
 +
|-
 +
| 안정복 || Actor || 안정복(安鼎福,_1712-1791)
 +
|-
 +
| 권일신 || Actor || 권일신(權日身,_?-1791)
 +
|-
 +
| 이승훈 || Actor || 이승훈(李承薰,_1756-1801)
 +
|-
 +
| 이병휴 || Actor || 이병휴(李秉休,_1710-1776)
 +
|-
 +
| 주문모 || Actor || 주문모(周文谟,_1752-1801)
 +
|-
 +
| 정약현 || Actor || 정약현(丁若鉉,_1751-1821)
 +
|-
 +
| 정학연 || Actor || 정학연(丁學淵,_1783-1859)
 +
|-
 +
| 정약종 || Actor || 정약종(丁若鍾,_1760년-1801)
 +
|-
 +
| 정명련 || Actor || 정명련(丁命連,_1773-1838)
 +
|-
 +
| 정약용 || Actor || 정약용(丁若鏞,_1762-1836)
 +
|-
 +
| 정하상 || Actor || 정하상(丁夏祥,_1795-1839)
 +
|-
 +
| 황사영 || Actor || 황사영(黃嗣永,_1775-1801)
 +
|-
 +
| 이익 || Actor || 이익(李瀷,_1681~1764)
 +
|-
 +
| 권철신 || Actor || 권철신(權哲身,_1736-1801)
 +
|-
 +
| 이가환 || Actor || 이가환(李家煥,_1742-1801)
 +
|-
 +
| 윤지충 || Actor || 윤지충(尹持忠,_1759-1791)
 +
|-
 +
| 권상연 || Actor || 권상연(權尙然,_1751-1791)
 +
|-
 +
| 정약전 || Actor || 정약전(丁若銓,_1758~1816)
 +
|-
 +
| 이벽 || Actor || 이벽(李蘗,_1754-1786)
 +
|}
 +
 
 +
=='''참고문헌'''==
 
[https://scc.sogang.ac.kr/history/history01_5_26.html 오규현, 「南人의 家系와 天主敎 受容 :初期 天主敎 관련 인물을 中心으로」, 서강대학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8.]
 
[https://scc.sogang.ac.kr/history/history01_5_26.html 오규현, 「南人의 家系와 天主敎 受容 :初期 天主敎 관련 인물을 中心으로」, 서강대학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8.]
  

2021년 6월 22일 (화) 19:50 기준 최신판


한자 天主敎
분류 신해박해 / 신유박해
시대 1700s



내용

  • 한국 천주교를 이끌었던 초기 지도자들

조선 후기에 한국 천주교회 창설을 주도한 3대 인물은 한국 천주교회 창설의 선구자인 이벽 (세례자 요한, 1754-1786), 한국 최초의 영세자 이승훈(베드로, 1756-1801), 그리고 가성직제도 (假聖職制度) 때 주교로 임명된 권일신(프란치스코 사베리오, 1751-1792)이다. 그리고 명도회 초기 회장인 정약종 (아우구스티노, 1760-1801)・최필공 (토마스 1745-1801)・홍교만 (프란치스코 사베리오, 1738-1801)・이조정랑을 지낸 홍낙민 (루가, 1751-1801)・천주교회 총회장 최창현 (요한, 1754-1801)・ '내포의 사도' 이재창 (존자가 루도비코, 1759-1801)도 천주교회를 이끌었던 대표적인 인물이다. 이 가운데 이벽은 1785년 (정조9,乙巳) 을사추조적발사건 (乙巳秋曹摘發事件)이 일어난 직후에 세상을 떠났고, 윤지충과 권상연이 윤지충의 모친상 때 신주를 불사르고 가톨릭식 제례를 지낸 일로 발생했던 진산사건 (1791) 직후에 권일신은 죽었다. 그리고 이승훈, 정약종, 최필공, 홍교만, 홍낙민, 최창현은 신유옥사가 일어난 직후인 1801년 (순조1,辛酉) 2월 26일 (양력 4월 8일)에 서울 서소문 밖에서 참수되었고, 이존창은 1801년 2월 27일에 공주로 호송되어 참수되었다. 이들 외에 천주교 초창기에 전교에 공헌한 인물로 '호남의 사도'유항검 (아우구스티노, 1756-1801) ・ 윤유일 (바오로, 1760-1795) ・지황(사바, ? -1795) 등과 청음 김상헌의 후손으로 당색이 노론이었던 김건순 (요사팟, 1776-1801)과 김백순 (세례명미상, ?-1801)도 순교하였다. 이들도 모두 다산과 교유가 있었을 것이라 짐작되지만 교유의 자취가 기록에 남아 있지 않다.

The three leading figures behind the creation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Yi Byeok (John the Baptist, 1754-1786), Korea's first baptized Catholic Lee Seung-hoon (Peter, 1756-1801), and Gwon Il-sin (Francis Xavier, 1751-1792), who was appointed bishop by the patriarchal system. Additionally, Jeong Yak-jong (Augustino, 1760-1801), who served as first president of the Myeongdohoe organization, Choi Pil-gong (Thomas, 1745-1801), Hong Gyo-man (Francis Xavier, 1738-1801), Hong Nak-min (Luke, 1751-1801), Choi Chang-hyun (John, 1754-1801), who served as president of the Catholic Church, and Lee Jae-chang (Ludovicus 1759-1801), also known as the Apostle of Naepo, were also representative figures. Among these figures, Yi Byeok died shortly after the Eulsachujojeokbal Incident in 1785 (the 9th year of King Jeongjo’s reign), and Kwon Il-shin died after the Jinsan Incident (1791), which occurred when Yoon Ji-chung burned Shinju (the tablet of the dead), and held Catholic rituals during his mother’s death with Kwon Sang-yeon. Lee Seung-hoon, Jeong Yak-jong, Choi Pil-gong, Hong Gyo-man, Hong Nak-min, and Choi Chang-hyun were beheaded outside Seosomun, Seoul on February 26, 1801 (April 8 based on the solar calendar, the 1st year of King Sunjo’s reign,) shortly after the Sinyuoksa, and Lee John-chang was also beheaded after being escorted to Gongju on February 27, 1801. Furthermore, Yu Hang-gum (Augustino, 1756-1801), also known as the Apostle of Honam, Yun Yu-il (Paul, 1760-1795), Ji Hwang (Sabas, ?-1801) were also known martyrs of the early days of Catholicism along with Kim Geon-soon (Yosapat, 1776-1801) and Kim Baek-soon (?-1801), who were descendants of Kim Sang-heon (pen name: Cheongum) and politically affiliated with the Noron faction. Although it is generally assumed that all of them had exchanges with Jeong Yak-yong (pen name: Dasan), but there are no traces of exchanges on the record., no traces of them were officially recorded.



  • 한국 최초의 순교자 윤지충과 권상연, 호남의 사도 유항검 등이 처형된 곳 (교구별 성지)
 Poongnam 1.jpeg   Poongnam 2.jpeg
 20181219132108 lmdpwxcq.png

미디어 자료

  • 윤지충 바오로, 권상연 야고보 (가톨릭 역사관)


지식 관계망

천주교_초기_지도자들.lst


중심요소

ID Class Label
안정복 Actor 안정복(安鼎福,_1712-1791)
권일신 Actor 권일신(權日身,_?-1791)
이승훈 Actor 이승훈(李承薰,_1756-1801)
이병휴 Actor 이병휴(李秉休,_1710-1776)
주문모 Actor 주문모(周文谟,_1752-1801)
정약현 Actor 정약현(丁若鉉,_1751-1821)
정학연 Actor 정학연(丁學淵,_1783-1859)
정약종 Actor 정약종(丁若鍾,_1760년-1801)
정명련 Actor 정명련(丁命連,_1773-1838)
정약용 Actor 정약용(丁若鏞,_1762-1836)
정하상 Actor 정하상(丁夏祥,_1795-1839)
황사영 Actor 황사영(黃嗣永,_1775-1801)
이익 Actor 이익(李瀷,_1681~1764)
권철신 Actor 권철신(權哲身,_1736-1801)
이가환 Actor 이가환(李家煥,_1742-1801)
윤지충 Actor 윤지충(尹持忠,_1759-1791)
권상연 Actor 권상연(權尙然,_1751-1791)
정약전 Actor 정약전(丁若銓,_1758~1816)
이벽 Actor 이벽(李蘗,_1754-1786)

참고문헌

오규현, 「南人의 家系와 天主敎 受容 :初期 天主敎 관련 인물을 中心으로」, 서강대학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8.

여진천, 「한국 천주교 초기 평신도 지도자들의 신앙 특성」, 『교회사연구』 42, 2013.

차기진, 「초기 교회 시대 경기 북부 지역의 천주교 : 경기도 마재의 나주 정씨 가문을 중심으로」, 『교회사연구』 31, 2008.

김태영, 「鹿菴 權哲身의 천주교 수용과 그 성격」, 『역사와경계』 108, 2018.

김봉남, 「茶山과 天主敎 관련 人物들과의 관계 고찰」, 『대동한문학회지』 41,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