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J2018 Preparing the Seed Grain"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lassics
이동: 둘러보기, 검색
(Korean Translation)
(Korean Translation)
28번째 줄: 28번째 줄:
 
아홉 가지 곡식의 씨앗을 거두는 데는 굳고 실한 것을 취하되 잡된 종자가 섞이지 않고 젖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원주|젖는다는[浥] 것은 축축하고 습하여 냄새까지 나는 상태를 말한다. 종자가 견실하지 않으면 다음 해 곡식의 이삭 또한 견실하지 않게 된다. 이른바 태내에서 이미 병을 얻게 되는 것이다. 종자가 섞이면 성숙시기가 서로 다르게 되고 씨앗이 습기를 머금으면 싹이 트지 않는다. 가령 싹이 나더라도 견실하지 않다.}}.
 
아홉 가지 곡식의 씨앗을 거두는 데는 굳고 실한 것을 취하되 잡된 종자가 섞이지 않고 젖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원주|젖는다는[浥] 것은 축축하고 습하여 냄새까지 나는 상태를 말한다. 종자가 견실하지 않으면 다음 해 곡식의 이삭 또한 견실하지 않게 된다. 이른바 태내에서 이미 병을 얻게 되는 것이다. 종자가 섞이면 성숙시기가 서로 다르게 되고 씨앗이 습기를 머금으면 싹이 트지 않는다. 가령 싹이 나더라도 견실하지 않다.}}.
 
(선택한 종자는 다시) 키로 까불어 쭉정이를 (바람에) 날려 버린 후 물에 담가 뜨는 것은 건져 버리고 (가라앉은 것만을 골라내어) 걸러내어 햇볕에 충분히 말린 다음에 습기가 하나도 없는 상태를 헤아린 후에 볏짚으로 엮은 그릇에 잘 저장하여 둔다. {{원주|蒿篅은 향명으로 공섬(空石)이다. 습기가 조금만 있어도 대부분 습기로 인하여 쉽게 변질된다.}}
 
(선택한 종자는 다시) 키로 까불어 쭉정이를 (바람에) 날려 버린 후 물에 담가 뜨는 것은 건져 버리고 (가라앉은 것만을 골라내어) 걸러내어 햇볕에 충분히 말린 다음에 습기가 하나도 없는 상태를 헤아린 후에 볏짚으로 엮은 그릇에 잘 저장하여 둔다. {{원주|蒿篅은 향명으로 공섬(空石)이다. 습기가 조금만 있어도 대부분 습기로 인하여 쉽게 변질된다.}}
다음 해에 작황이 좋을 것으로 예상되는 곡식 종자를 미리 알아내기 위해서 구곡의 씨앗 1 되(약 0.6 리터)씩 각각 베 주머니에 넣어 움집에 묻어 둔다.{{원주|사람들이 그 움집 위에 앉거나 눕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50 일이 지난 다음에 꺼내서 살폈을 때, 싹[息]이 가장 많이 난 것이 그 해에 적합한 종자이다. 토양의 성질은 지방에 따라 적합한 것이 다르므로 각 고을로 하여금 시험하여 (내년도 작황이 좋을 곡식을 미리 선택하여) 놓는다.
+
다음 해에 작황이 좋을 것으로 예상되는 곡식 종자를 미리 알아내기 위해서 구곡의 씨앗 1 되(약 0.6 리터)씩 각각 베 주머니에 넣어 움집에 묻어 둔다.{{원주|사람들이 그 움집 위에 앉거나 눕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50 일이 지난 다음에 꺼내서 살폈을 때, 싹[息]이 가장 많이 난 것이 그 해에 적합한 종자이다. 토양의 성질은 지방에 따라 적합한 것이 다르므로 각 고을로 하여금 시험하여 (내년도 작황이 좋을 곡식을 미리 선택하여) 놓는다.
○한 겨울 동안의 씨앗 관리는 옹기나 나무의 재질로 만든 구유 속에 씨앗을 넣어 땅 속에 잘 묻어서 (가장 추운 동지섣달에도) 얼지 않도록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동지 섣달이 되면 눈 녹은 물을 될 수 있으면 많이 모아, 점천(苫薦){{원주|향명은 비개이다}}를 두껍게 덮는다. {{원주| 옛 서책에서 언급하기를 눈은 오곡의 정기라고 기록되어 있다.}} 파종할 때가 되면 종자를 그 속에 담가 걸러냈다가 햇볕에 말리는데, 이 과정을 2 번 되풀이한다.
+
○한 겨울 동안의 씨앗 관리는 옹기나 나무의 재질로 만든 구유 속에 씨앗을 넣어 땅 속에 잘 묻어서 (가장 추운 동지섣달에도) 얼지 않도록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동지 섣달이 되면 눈 녹은 물을 될 수 있으면 많이 모아, 점천(苫薦){{원주|향명은 비개이다}}를 두껍게 덮는다. {{원주| 옛 서책에서 언급하기를 눈은 오곡의 정기라고 기록되어 있다.}}파종할 때가 되면 종자를 그 속에 담가 걸러냈다가 햇볕에 말리는데, 이 과정을 2 번 되풀이한다.
 
또는 나무구유[木槽]에 소․말을키우는 외양간의 지뇨(池尿)를 붓고, 여기에 종자를 담가 걸러냈다가 햇볕에 말리는데, 이 역시 3번은 되풀이해야 한다.
 
또는 나무구유[木槽]에 소․말을키우는 외양간의 지뇨(池尿)를 붓고, 여기에 종자를 담가 걸러냈다가 햇볕에 말리는데, 이 역시 3번은 되풀이해야 한다.
  

2018년 5월 27일 (일) 17:43 판

Nongsa jikseol
Table of Contents
  1. Preface
  2. Preparing the Seed Grain
  3. Plowing the Soil
  4. Cultivating Hemp
  5. Cultivating Rice
  6. Cultivating Proso and Foxtail Millet
  7. Cultivating Barnyard Grass
  8. Cultivating Soybeans, Red Beans, and Mung Beans
  9. Cultivating Barley and Wheat
  10. Cultivating Sesame
  11. Cultivating Buckwheat

Original Script

Text with Punctuation Text Image Text Image
○收九穀種, 取堅實不雜不浥者。 【浥, 鬱浥也. 種不實, 則明年穀穗亦不實, 所謂受病於胎也. 種雜, 則早晩不等; 種浥, 則不生, 雖生亦不實。】 簸揚去秕, 後沉水去浮者, 漉出曬乾, 以十分無濕氣爲度。 堅藏蒿篅。 【蒿篅, 鄕名空石. 小有濕氣, 多致鬱浥。】 欲知來歲所宜, 以九穀種各一升各盛布襄, 埋於土宇中。 【勿令人坐臥其上。】 後五十日, 發取量之, 息㝡多者, 其歲所宜也。 土氣隨地異宜, 宜令各村里試之。

○冬月, 以瓮或槽埋地中, 要令不凍。 至臘月, 多收雪汁盛貯, 苫薦【鄕名飛介】厚盖。 【古書曰: 雪五穀之精。】 至種時, 漬種其中, 漉出曬乾, 如此二度。 或用木槽, 盛牛馬廐池尿, 漬種其中, 漉出曬乾, 亦須三度。


03


04

Korean Translation

○농작물 씨앗 준비: 아홉 가지 곡식의 씨앗을 거두는 데는 굳고 실한 것을 취하되 잡된 종자가 섞이지 않고 젖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젖는다는[浥] 것은 축축하고 습하여 냄새까지 나는 상태를 말한다. 종자가 견실하지 않으면 다음 해 곡식의 이삭 또한 견실하지 않게 된다. 이른바 태내에서 이미 병을 얻게 되는 것이다. 종자가 섞이면 성숙시기가 서로 다르게 되고 씨앗이 습기를 머금으면 싹이 트지 않는다. 가령 싹이 나더라도 견실하지 않다. . (선택한 종자는 다시) 키로 까불어 쭉정이를 (바람에) 날려 버린 후 물에 담가 뜨는 것은 건져 버리고 (가라앉은 것만을 골라내어) 걸러내어 햇볕에 충분히 말린 다음에 습기가 하나도 없는 상태를 헤아린 후에 볏짚으로 엮은 그릇에 잘 저장하여 둔다. 蒿篅은 향명으로 공섬(空石)이다. 습기가 조금만 있어도 대부분 습기로 인하여 쉽게 변질된다.

다음 해에 작황이 좋을 것으로 예상되는 곡식 종자를 미리 알아내기 위해서 구곡의 씨앗 1 되(약 0.6 리터)씩 각각 베 주머니에 넣어 움집에 묻어 둔다.사람들이 그 움집 위에 앉거나 눕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50 일이 지난 다음에 꺼내서 살폈을 때, 싹[息]이 가장 많이 난 것이 그 해에 적합한 종자이다. 토양의 성질은 지방에 따라 적합한 것이 다르므로 각 고을로 하여금 시험하여 (내년도 작황이 좋을 곡식을 미리 선택하여) 놓는다. ○한 겨울 동안의 씨앗 관리는 옹기나 나무의 재질로 만든 구유 속에 씨앗을 넣어 땅 속에 잘 묻어서 (가장 추운 동지섣달에도) 얼지 않도록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동지 섣달이 되면 눈 녹은 물을 될 수 있으면 많이 모아, 점천(苫薦)향명은 비개이다 를 두껍게 덮는다. 옛 서책에서 언급하기를 눈은 오곡의 정기라고 기록되어 있다. 파종할 때가 되면 종자를 그 속에 담가 걸러냈다가 햇볕에 말리는데, 이 과정을 2 번 되풀이한다. 또는 나무구유[木槽]에 소․말을키우는 외양간의 지뇨(池尿)를 붓고, 여기에 종자를 담가 걸러냈다가 햇볕에 말리는데, 이 역시 3번은 되풀이해야 한다.

English Translation

Glossary

Footnote


Further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