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요

cefia
cefia>Ksnet님의 2016년 8월 21일 (일) 12:24 판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해외한국학지원(한국문화강좌))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전통민요 소개

민요(民謠)란? 민요(民謠)란 무엇인가에 대하여 속요(俗謠)와 비교함으로서 그 성격을 뚜렷이 알 수 있습니다. 속요는 시대적으로 최근에 가깝고, 세련되어 있지만 이와 반대로 민요는 시대적으로 비교적 오래된 것이고, 작곡자를 알 수 없으 며, 덜 세련되어 있습니다.

민요란 예술음악의 대칭으로서 민중들의 입에서 입으로 거쳐 내려온 전통적인 소박한 노래입니다. 이러한 노래들은 거의가 농업(濃業), 어업(漁業) 등의 노동과 관계가 있어 형식적으로 볼 때에 대개가 메이고 받는 (Call & Resp onse) 유절형식으로 되어있습니다.

우리 민요를 알아보려는 이에게 가장 어려운 문제는 민요에 관한 문헌이 거의 없고, 민요의 가락과 사설이 사람에 따라, 장소에 따라 들쭉날쭉 해서 그 어느 것을 기준으로 특징을 밝혀야 되는가 하는 점입니다.

우리의 민요는 전파정도와 세련도에 따라 토속민요(土俗民謠)와 통속민요(通俗民謠)로 구분되는데, 토속민요란 국한된 지방에서 불리어 지는 것으로, 그 사설이나 가락이 소박하고 향토적입니다. 상여소리, 김매기, 모내기, 집터 다지는 소리 등이 그 예입니다. 이에 반해 통속민요란 직업적인 소리꾼에 의하여 불리는 세련되고 널리 전파된 민요를 말합니다. 사설은 옛 시구(詩句)나 중국고 사(中國故事)를 인용하는 등 세련되어 있지만, 이곡 저곡에 끌어 대어쓰기 때문에 중복이 많고 들쭉날쭉합니다. 육자백이, 수심가, 창부타령, 강원도 아리랑 등이 그 예입니다.

각 도의 전통민요

민요하면 흔히 이 통속민요를 가리키는 것이 보통입니다. 각 도별 전통민요 민요는 언어가 그런 것처럼 지방에 따라 토리(idiom)가 다른데, 토리에 따라 지방적으로 볼 때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경기민요 - 서울, 경기도 충청도 일부

  • 특징 : 맑고 깨끗, 경쾌, 음색도 부드럽고 유창하며 서정적
  • 음계 : 5음음계의 평조
  • 장단 : 굿거리, 세마치, 타령장단
  • 종류 : 노랫가락, 창부타령, 아리랑, 긴 아리랑, 방아타령, 한강수타령, 늴리리야, 군밤타령, 경복궁타령 등

남도민요 - 전라도, 충청남도, 경상남도 일부

  • 특징 : 경기지방에 비해 발성이 매우 극적, 굵은 목을 눌러냄, 농음과 전타음의 기교가 발달
  • 음계 : 3~4음계의 계면조
  • 장단 : 판소리나 산조의 장단을 사용. 특히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가 많이 사용
  • 종류 : 새타령, 육자배기, 자진육자배기, 농부가, 진도 아리랑, 강강술래 등

서도민요 - 평안도, 황해도

  • 특징 : 5도 위에 3도를 쌓은 음계가 많다. 으뜸음 위의 5도 음을 떨어주는 창법이 서도민요의 특징.

미묘한 음정으로 인하여 기악반주는 적다.

  • 음계 : 5도위에 3도를 쌓은 음계형식
  • 종류 : (평안도) 수심가, 엮음수심가 등, (황해도)긴난봉가, 자진난봉가, 몽금포타령 등

동부민요 - 경상도, 강원도, 황해도

  • 특징 : 빠른 장단이 주로 쓰이고 흥겹고 경쾌하다. 단, 같은 동부민요라도 강원-함경지방은 탄식조, 애원조의 노래가 많아 동부민요는 지방에 따라 차이가 종대한다.
  • 음계 : 4도위에 3도를 쌓은 음계가 주류
  • 종류 : (강원도)한오백년, 강원도 아리랑, 정선 아리랑 등, (함경도)신고산타령(일명 어랑타령), 궁초대기 등,

(경상도)밀양아리랑, 울산아가씨, 쾌지나칭칭나네, 옹헤야 등

제주민요 - 제주도

특징 : 제주도에서 순수하게 발생한 민요들과 육지의 영향을 받은 민요들이 공존. 종류 : 주로 토속민요가 주류(예 : 해녀 노젓는 소리, 멸치 후리는 소리 등) 혹은 제주도 소리꾼에게서 부르는 노래
(예 : 오돌또기, 서우제 소리 등)가 있다.

참가자 이미지

Korean folk song 01.jpg Korean folk song 02.jpg Korean folk song 03.jpg

참가자 한마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