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브라질:Coreia do sul: Visões Latino-Americanas

cefia
cefia>DIANA님의 2016년 9월 2일 (금) 09:05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1. 목차

  • 제 1 장: 한국의 경제와 지역 통합의 전망
    • 대한민국과 대한민국의 아시아 퍼시픽 경제 통합의 도전
    • 한- 중 관계: 협력, 갈등 그리고 아시아 퍼시픽 관련
    • 아시아 포스트 위기 속에 재 세계화된 대한민국 경제
    • 국가 관료와 자본의 요인 – 남한의 경제 발전 이후 국가와 기업들의 관계 변화
  • 제 2 장: 대한민국과 동아시아의 관계
    • 동아시아 지역 관계 상황의 남북 관계
    • 국제 배경 속 한-일 관계
    • 식민지의 영향; 현재의 한-일 관계
    • 한 – 일; 동북 아시아의 경제 통합에 대한 대안으로 자유 무역 협정 (FTA) 맺다
  • 제 3 장: 한반도: 통일을 향한 노력
    • 남북통일 정치와 지역 동맹과의 연결
    • 독일의 경험과 남북통일: 역사에서 미리 보는 국제 관계 및 국제 공법
    • 북한: 역사와 이해
  • 제 4 장: 대한민국-성별과 종교
    • 대한민국과 민주화 과정 속 여성: 시민 사회와 제도적 정책의 여성 참여에 대한 참고
    • 한국에서의 기독교의 시작
    • 2009: 50년 한-브 외교 관계
  • 도움 준 사람들
  • 알파벳 색인


2. 한국 관련 내용

p. 25
제 1 장, 한국의 경제와 지역 통합의 전망, 대한민국과 대한민국의 아시아 퍼시픽 경제 통합의 도전 - André Moreira Cunha, Julimar da Silva Bichara

첫 번째 논문은 안드레 모레이라 꾸냐(André Moreira Cunha)와 쥴리마르 다 씨우바 (Julimar da Silva Bichara)의 공동 논문으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한국의 경제 통합의 도전을 발표하는 논문입니다.
중국의 부상과 다극 질서(multipolar) 개발에 의한 경제 환경 및 국제 지정학적 통합이 된 21세기에서부터 시작된 대한민국의 새로운 지역 통합의 도전을 서술합니다. 저자들에겐, 한국의 경험은 새로운 현실감이 가져다주는 잠재적인 도전과 위험을 간과 할 수 없다는 사실을 증언합니다. 또한, 정치적으로 대한민국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의 관심에 더 가깝게 유지하고 중국은 미국 보다 같은 또는 훨씬 높은 관련성이 있는 전략적 글로벌 파트너가 되었다는 사실을 발표합니다. 이 논문의 중심적인 주제는 잠재적으로 적대적인 이해 관계와 충돌하며, 정치 및 군사 보안 지역 맥락에서 더 앞장선 세 나라(미국, 중국과 일본) 와 현대적으로 세계화 된 경제로 대한민국의 전략적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내용을 다룹니다.


p. 49
한 - 중 관계: 협력, 갈등 그리고 아시아 퍼시픽 관련 - José Luis León–Manríquez

조우쎄 루이쓰 레옹 - 만히께쓰 (José Luis León – Manríquez)의 논문에는 아시아 금융 위기와 논의 높은 중국의 경제 성장과 큰 변화에 의해 아시아 퍼시픽(Asia-pacific)을 구성하는 여러 나라들의 협력과 갈등 관계 맥락에서 정치적 접촉, 무역과 외국인들의 직접적인 투자를 강조하는 한-중 관계의 협력과 충돌하는 면들에 대해 논의합니다. 게다가 1992년부터 펼쳐진 현재의 갈등들을 분석하고 아시아 퍼시픽(Asia-pacific)을 구성하는 다른 나라 앞에 선 베이징의 행동을 예측합니다.


p. 69
아시아 포스트 위기 속에 재 세계화된 대한민국 경제 - Gilmar Masiero

지우마르 마시에루(Gilmar Masiero)는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대기업의 진화와 경제 주요 기능을 소개합니다. 또한, 저자가 인터뷰한 여러 한국 전문가의 관점에서 보는 한국 경제 재세계화 방법의 개요를 제공합니다. 라틴 아메리카 대륙에서의 외국인 직접 투자가 약한 존재를 표시하는 양자 간 공식화된 무역 협정 전략 및 직접적인 외국인 투자 동향을 소개합니다.


p. 91
국가 관료와 자본의 요인: 남한의 경제 발전 이후 국가와 기업들의 관계 변화 - Jorge Santarrosa

아시아 금융 위기와 정치적이고 경제적인 엘리트들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맥락 내에서 조르지 싼따호싸(Jorge Santarrosa)는 마르크스와 베버의 개념관으로 보는 자본이 확대되는 과정과 기술주의 및 관료주의적인 국가의 역할이 대한민국의 국가 개입이 결정적인 것을 설명합니다. 그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자본주의 발전 과정에서 국가의 역할 변화에 대한 질문을 답변합니다.


p. 105
제 2장 대한민국과 동아시아의 관계, 동아시아 지역 관계 상황의 남북 관계 - Jaime Silbert

6자 회담(대한민국, 북한, 미국, 중국, 러시아와 일본)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관계자들과 유럽 연합, 인도, 아세안(ASEAN) 국가들과 같이 역사적이고 지정학적인 이유를 고려하여 2000년도부터 대한민국과 북한 사이에 벌어지는 협력과 갈등들을 지역 및 국제 관계자들이 관심을 보이는 관점에서 분석을 하여 설명합니다.


p. 123
국제 배경 속 한-일 관계 - Rodolfo Molina

로돌포 몰리나(Rodolfo Molina)는 일본과 한국의 양국 관계를 분석하고 이들의 합리성과 지역 및 국제 수준의 활성 요소의 기반에서 설명을 부여합니다. 저자는 또한 한-일 요소 관계의 다른 유형 사실이 새롭고 중요한 여건을 마련한다는 것을 논의합니다. 그 여건은 바로 한-미 자유 무역 조약 존재라는 걸 설명합니다.


p. 139
식민지화의 영향: 현재의 한-일 관계 - Julián Dieguez, Sebastian Parodi

줄리안 지에게쓰(Julian Dieguez)와 세바스찌안 빠로지(Sebastian Parodi)는 한-일 관계에서 여전히 충돌하는 역사적 식민지 시대의 과거를 탐색합니다. 두 저자는 제일 중요한 3종류의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 합니다: 위안부들의 문제와 독도와 다케시마의 문제 그리고 앞서 말했던 두 문제들을 다루는 교과서 문제를 포함하여 한-일 쌍방 관계의 충돌 내용을 다룹니다.


p. 161
한–일 : 동북아시아의 경제 통합에 대한 대안으로 자유 무역 협정 (FTA) 맺다. - José Ariosa Pérez

호세 아리오사 뻬레쓰(José Ariosa Pérez)는 국가와 다국적 기업들의 관계, 다국적인 기업들과의 무역관계와 투자관계, 그리고 동북아시아의 경제 통합에 대한 대안으로 자유 무역 협정들을 심리적인 요인으로 탐구합니다.


p. 185
제 3 장 한반도: 통일의 향한 노력, 남북통일 정치와 지역 동맹과의 연결 - Martin Peréz Le- Fort, Alejandra Chacón Morales

이 기사는 한반도의 통일 노력의 테마를 바탕으로 정치적인 모순과 한반도 통일과 지역 동맹과의 연결을 연구하는 기사입니다. 또한, 마르칭 뻬레쓰 레 포트(Martin Peréz Le- Fort)와 알레한드라 차콩 모랄레쓰(Alejandra Chacón Morales) 저자들은 중요한 질문을 대답하려고 합니다 : 중국과 미국이 한반도 통합 과정을 촉진하는 중요한 역할인지에 대한 내용을 다룹니다. 그들의 결론은 회의적인 측면으로 두 국가는 한반도 통합 과정을 촉진할 수 없는 역할이라고 부정적으로 결론을 내립니다.


p. 225
독일의 경험과 남북통일: 역사에서 미리 보는 국제 관계 및 국제 공법 - Eduardo Daniel Oviedo

오비에도(Oviedo)는 국제 관계 및 국제법의 역사적 관점에서 독일의 경험과 한반도 통일 대안을 대조하며 통일을 방해할 수 있는 헌법적 이상을 발견하는 논문을 작성하며 현재 남한과 북한의 헌법에는 통일 과정을 공식화할 수 있는 조항의 존재가 부족하다는 것을 실감합니다. 저자는 문제가 정치적으로 민감한 것으로 인식할 뿐만 아니라 통일의 순간이 가까워졌을 때 헌법이 유효하게 적용 가능한 법적 기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통일을 운영하는 조항을 포함하는 남북한의 헌법 개혁이 필요하단 걸 이야기합니다.


p. 237
북한: 역사와 이해 - Paulo Fagundes Visentini

빠울루 파군데쓰 비쎈치니(Paulo Fagundes Visentini)는 지역 속에 소속된 강대국들과 대한민국의 관계의 핵심 요소와 가능한 개발에 대해 설명하며 해석합니다. 지속적인 아시아 환경이 변동되는 현실에서 저자는 주로 냉전 신화시대의 잔재인 군사 측면에서 국가의 보안과 관련된 문제를 다루는 통일 과정의 해석에 의문을 제기합니다.


p. 259
제 4 장 대한민국: 성별과 종교, 대한민국과 민주화 과정 속 여성: 시민 사회와 제도적 정책의 여성의 참여에 대한 참고 - Bárbara Bavoleo, Paula Iadevito


p. 277
한국 땅에 첫 기독교의 마크 - Alfredo Romero Castilla

바르바라 바보레오(Bárbara Bavoleo)와 빠울라 이아데비또(Paulo Iadevito), 알프레도 로메로 까스띠야(Alfredo Romero Castilla)는 성별과 종교 문제와 관련된 경제 정책 문제의 이해 도전을 진술합니다.


p. 297
2009: 50년 한–브 외교 관계 - Henrique Altemani de Oliveira

이 논문은 경제 및 상업 정책과 외교 관점에 중점을 두고, 한국과 브라질의 관계에 대해 설명합니다. 현실적으로 서로의 관계는 50년 전에 맺어진 관계이지만, 단지 90년대 중반에서 일관성을 얻은 것을 강조하고 한-브 정부가 현재 더 강력한 정치적 관심으로 서로가 더 적절한 협력 관계를 맺고 싶어 하는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서술합니다.


3. 간략 분석

'대한민국 국제관계-라틴아메리카의 비전'이라는 제목의 서적은 라틴아메리카 비전에서 본 대한민국의 국제관계를 다루고 있다. 대한민국 경제, 한-일관계, 식민지 영향, 통일, 종교 등 대한민국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들의 논문들이 수록되어 있었다. 이 서적은 현재 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수업 교재로 사용되고 있다.


4. 검토 의견

페이지 한국 관련 기술 내용 검토 의견 개선 과제 코드
- - - -
- 개선 과제 코드 -
개선 과제 유형
A: 동해·독도 표기 수정 필요 B: 단순표기 C: 내용 수정 필요 D: 내용 증·신설 필요 E: 기타
A1: 동해 표기 A2: 독도 표기 C1: 통계 C2: 과거 사실 C3: 객관적 기술 D1: 증설 필요 D2: 신설 필요



연계 정보

관계 대상 문서 설명
isRelatedTo 교육제도:브라질 브라질 교육과정, 2015년 조사 보고
isReviewOf 교과서 서지사항 분석대상 교과서 서지사항
isPartOf 종합분석:브라질 2015년 브라질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