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2장. 미국 1945-1975

cefia
cefia>HONGJUNGWOOK님의 2015년 12월 14일 (월) 19:48 판 (시험자료)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목차

냉전의 영향

냉전은 1945년 이후 미국과 소련 사이의 장기간에 걸친 적대관계이다.
양측 사이에 직접적인 싸움이 벌어진 적은 없지만, 상황은 매우 긴박했다.

2차 대전 후 미국과 소련은 라이벌이 되었다.

1) 미국과 소련은 2차 세계대전 중 동맹국이었다. 전쟁이 끝난 후 두 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강한 나라가 되었다. 흔히 초강대국(superpower)이라고 불렀다. 두 나라는 이윽고 라이벌이 되었다.

2) 이념적으로 두 나라는 크게 달랐다. 미국은 자본주의, 소련은 공산주의였다.


  냉전의 초기 사건

      1) 2차대전의 영향으로 소련은 동유럽에 영향권을 갖게 되었다. 동구의 대부분 나라에는 소련이 세운 공산주의 정부가 들어섰다. 
      2) 1947년, 트루먼(Truman) 미국대통령은 공산주의의 위협을 받는 나라를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이것이 ‘트루만 독트린’이다. 
      3) 트루만은 서유럽 여러 나라에도 원조를 제공했다. 원조를 통해 공산주의의 영향으로부터 이 나라들을 지키기 위해서였다. 
         이것이 ‘마샬플랜’이다. 
      4) 1948-49년 베를린 위기가 있었다. 전후 베를린은 미국, 소련, 영국, 프랑스가 분할하여 점령했다. 소련은 다른 세 나라가 
         점령지역을 합치려는데 분개했다. 소련은 육상을 통하여 서베를린으로 보급물자가 들어가는 것을 막았다. 따라서 보급물자들은 
         항공편으로 날라야 했다.
      5) 1949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가 창설되었다. 미국과 서부 유럽 여러 나라 사이의 방위동맹이다.

극동의 여러 사태로 냉전이 더 악화되었다.

1) 1949년 중국에서 마오 체 퉁이 이끄는 공산주의자들이 집권.

2) 1950년 공산주의 북한이 비공산주의 남한을 침략했다. 공산주의자들이 남한을 손아귀에 넣는 것을 막기 위해 유엔이 개입했다.

3) 유엔군이 북한군을 원래의 경계선 너머로 밀어내자 중국이 북한을 돕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다.

4) 유엔군의 지휘를 맡았던 미국의 맥아더 장군은 중국 본토를 공격하기를 원했다. 그러나 트루만 대통령은 3차대전이 시작되는 것을 우려하여 이를 거부하고 제한전쟁을 주장했다.

5) 1953년 한국전쟁은 전쟁 전 경계선을 회복한 뒤 종결되었다.


스파이 - 도처에 공산주의자들…
1950년대 미국에서는 공산주의자들에 대한 두려움과 의심이 높아졌다. 그 이유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냉전과 관련해 
일어난 이런 일들을 이해하고, 세계에서 무슨 일들이 벌어졌는지 알아야 한다.


빨갱이 소동 (Red Scare)

1950년대 빨갱이 소동이 있었다. 사람들은 공산주의 위협에 큰 두려움을 느꼈다.

미국에서 공산주의에 대한 두려움이 커졌다.

1) 소련에 대한 미국의 의심은 더욱 커졌다. 소련이 세계지배를 원한다고 생각했다.

2) 1947년 연방직원충성프로그램(Federal Employee Royalty Program)에 의해 정부에서 일하는 공무원들은 보안 점검을 받아야 했다. 인종, 군비감축, 또는 노동자의 권리에 대하여 자유주의 사상을 가진 단체에 속한 사람은 충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3) 1950년, 국무성의 고위 공직자였던 앨저 히스(Alger Hiss)가 스파이 협의로 고소를 당하여 법정위증죄로 투옥되었다. 미국정부는 곤경에 처했다.

4) 1950년대, 공산주의에 대한 우려는 미국에서 공포분위기와 공황을 가져왔다. 이를 빨갱이 소동(Red Scare)이라고 한다.

비미국행위원회(HUAC)가 미국 공산주의자를 사냥

1) 국가전복행위를 조사하기 위해 미국 하원 하원비미국행위위원회(HUAC, House Un-American Activities Committee)가 설립되었다. 1940년대와 50년대 이 위원회는 미국의 공산주의자를 색출하는데 집중했다.

2) 1947년 HUAC은 영화산업을 조사하기 시작하여, 청문회에서 혐의자들에게 “당신은 현재 공산주의자인가, 아니면 과거에 공산주의 정당의 당원인 적이 있었는가?”라고 물었다.

3) 답변을 피한 감독과 작가들은 블랙리스트(영화산업에서 다시는 일을 하지 못함을 의미)에 오르거나 투옥되었다. 이들은 헐리우드의 10인으로 알려졌다. 그 뒤 몇 해 동안 수백 명이 더 블랙리스트에 올랐다.

4) 험프리 보가트 등 유명한 배우들이 헐리우드의 10인을 지지했다. 그러나 결과를 바꾸지는 못했다. 블랙리스트에 오른 사람들은 일자리를 찾아서 유럽으로 갔다.

5) 방송과 학교와 대학에도 블랙리스트가 있었다.


FBI도 미국의 공산주의자들을 조사했다.
에드가 후버 FBI국장은 “전복음모자”(Subversives)에 대한 강박관념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6명의 노벨수상 작가를 포함함 좌익 활동가와 사상가에 대한 수천 건의 비밀조사기록을 가지고 있었다. FBI는 수백만 정부 공무원에 대한 충성도 조사를 했다.


적색공포 – 한심한 일!
극작가 아서 밀러(Arthur Miller)는 HUAC에 정보를 제공하기를 거부하여 블랙리스트에 올랐다. 그는 17세기 마녀사냥에 관한 
드라마 ‘The Crucible’(혹독한 시련)을 썼다. 마녀사냥은 1950년대 미국의 공산주의 혐의자 조사에 대한 상징이다.


매카시즘

사람들은 공산주의를 매우 두려워한 나머지 언론에 보도된 고발기사를 아무런 검증 없이 그대로 믿었다. 미국 상원의원 매카시(McCarthy)는 사람들의 이러한 약점을 이용하여 마녀사냥에 나섰다. 이것이 이른바 매카시즘이다.

매카시는 별 증거도 없이 사람들을 마구 고발했다.

1) 1950년 매카시 상원의원은 연설을 하면서 미국 국무성에 있는 205명의 공산주의자 명단이라고 주장하는 서류를 손에 들고 흔들었다. 그는 이중 일부는 소련에 정보를 제공하여 미국의 위태롭게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2) 아무도 그 명단을 본 사람이 없으며, 그가 고발한 사람들 중 대다수는 사실이 입증되지 않았다.

3) 매카시는 공산주의자들을 색출하는 조사를 했다. 상원 청문회에서 그는 증인들을 위협하면서 다른 사람들을 고발하도록 압력을 가했다.

     매카시의 활동은 공포분위기가 이미 조성되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중국이 공산화되었다. 러시아는 원자폭탄을 가지고 
     있었다. 1951년 미국 공산당의 두 당원 줄리우스 로젠버그와 에텔 로젠버그(Julius and Ethel Rosenberg) 부부가 
     원자폭탄의 비밀을 소련에 넘겨준 것 때문에 유죄판결을 받았다. 두 사람은 1953년 처형되었다.

매카시는 협박 전술 때문에 인기를 잃었다.

1) 1953년 매카시는 육군을 겨냥하여 육군이 공산주의자의 침투를 숨기고 있다고 비난했다. 1954년 텔레비전으로 중계된 육군과-매카시 청문회에서 그가 증인들을 협박하는 것을 보고 여론이 그를 등졌다. 상원의 동료의원들은 1954년 12월 표결에서 67대 22로 그를 견책하기로 결의했다.

2) 그러나 반공 정서는 강하게 남아있었다. 1954년 제정된 공산주의자규제법(Communist Control Act)은 정치적 신조 때문에 공무원직에서 해임되는 것을 허용했다.


매카시즘 – 미국에서의 공포와 혐오
매카시는 조사를 통해 많은 사람의 인생을 파멸로 몰아넣었다. 피해자들은 스스로를 변호할 수도 없었다. 사람들은 언론에 보도된 혐의사실을 
그대로 믿고자 했기 때문이다. 그의 협박은 점차 중단되었지만 그가 고발한 사람들에게는 이미 너무 늦은 일이었다.


베트남 전쟁의 서막

베트남 전쟁에 대해서는 공부할 것이 많다. 이 페이지에서는 베트남전 전체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

1차 베트남 전쟁은 프랑스와의 싸움이었다.

1) 19세기에 베트남은 프랑스가 지배했다. 2차 세계대전 중 베트민(Viet Minh)이란 공산주의자 집단이 형성되었다. 그들은 베트남의 독립을 원했다.

2) 1946년에서 1956년까지 베트민은 독립을 위해 프랑스와 싸웠다. 미국은 베트남이 독립을 하면 극동이 공산화 될 것을 우려했기 때문에 프랑스를 지원했다. 이것이 이른바 ‘도미노 이론’이다.

3) 1954년, 많은 프랑스 군이 군사요새 디엔 비엔 푸에 주둔하고 있었다. 프랑스 군은 베트민을 전투에 끌어내서 다시 일어날 수 없도록 일격에 패배시키기를 바랐다.

4) 베트민이 공격을 해 왔으나 프랑스군은 그들의 세력을 과소평가하고 있었다. 수주일간 전투를 치른 끝에 프랑스 군은 패배하여 베트남을 떠났다. 베트남은 둘로 갈라져 북베트남(월맹)은 공산화되었고, 남베트남(월남)에는 친서방적인 반공정부가 들어섰다.

케네디 대통령이 베트남에 대한 미국의 개입을 증강했다.

1) 미국은 공산주의의 확산을 막기 위해 프랑스에 군사적 지원과 자문을 제공했다.

2) 분단 이후 미국은 남베트남 대통령 고 딘 디엠이 매우 부패한 인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를 지지했다. 미국은 그의 정권에 재정지원과 정치적 군사적 자문을 제공했다.

3) 1960년 디엠 정부에 반대하는 공산주의자들이 민족해방전선을 형성했다. 이 집단의 군사력을 베트콩이라고 불렀다.

4) 미국의 케네디 대통령은 아시아에서 공산주의가 확산되는 것을 막는데 단호한 결의를 갖고 있었다. 그는 재정원조와 함께 군사장비와 1만2천명이 넘는 군사고문단을 남베트남에 보냈다.

미국은 추가 병력을 베트남에 보냈다.

1) 케네디 대통령이 암살을 당한 후 린든 B. 존슨이 미국의 새 대통령이 되었다.

2) 1964년 미국 선박들이 북베트남의 공격을 받았다. 이것이 이른바 통킹만 사건이다. 이 사건을 계기로 베트남에서 전면전이 시작되었다. 존슨 대통령은 북베트남에 전투기와 폭격기를 보내 공격했고, 남베트남에는 지상군을 보냈다.

3) 1965년 존슨 대통령은 지상군을 12만5천 명으로 늘렸다. 1968년까지 그 숫자는 50만으로 불어났다.

4) 미군은 정글 속에 있는 베트콩과의 전투가 매우 힘들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미국은 대규모 공중폭격과 화학무기를 사용했다.

5) 1968년 베트콩과 북베트남군(NVA)는 남베트남에 대한 전면 공격에 나섰다. 이것이 이른바 구정공세(Tet Offensive)이다. 미군은 3일 후 잃었던 지역을 대부분을 되찾았지만, 전투는 수 주일간 더 계속되었다. 결국 미군은 베트콩과 북베트남군을 격퇴했다.

6) 구정공세에서 미국은 승리를 했지만, 이 사태는 미국을 놀라게 하였고, 많은 미국인들이 전쟁을 반대하게 되었다. 구정공세 이후 미국의 새 대통령 리차드 닉슨은 미군의 베트남 철수와 ‘명예로운 평화’ 협상을 약속했다.


미국과 베트남 전쟁 – 시작을 했으면 끝장을 보아야지…
1960년대와 1970년대 미국은 공산주의의 확산을 두려워했다. 이 때문에 미국은 남베트남을 지원했지만, 지원을 더 늘릴수록 
빠져 나오기는 더 힘들어졌다.


베트콩과의 전투 (1)

베트콩은 북베트남군의 지원을 받았으나 훈련을 받은 군대는 아니었다. 그들은 미군만큼 무장이 잘 되어 있지는 않았지만, 대적하기에 매우 어려운 적이었다.

베트콩은 노련한 게릴라 전사였다.

1) 소규모 군부대가 규모가 보다 크고 무장이 잘 된 적과 공개적인 전투를 피하기를 원할 때 게릴라전을 쓴다. 게릴라전에는 기습과 매복 같은 전술이 사용된다.

2) 베트콩은 게릴라전에 매우 숙련되어 있었다. 베트민은 2차 세계대전과 1차 베트남 전쟁에서 일본과 프랑스와 싸울 때 게릴라 전술을 사용했다.

3) 베트콩은 게릴라전을 통해 미군을 지치게 만들고 사기를 저하시키며, 탈영을 조장하고 남베트남 병사들의 투항을 촉진코자 했다. 베트콩은 미국이 베트남을 떠나고 남북베트남을 통일된 독립국으로 만들기를 원했다.

베트콩은 색출하기가 어려웠다.

베트콩은 여러 가지 게릴라 전술을 썼기 때문에 이들과 싸우는 것은 쉽지 않았다.

1) 그들은 소규모 집단으로 활동하고 미군을 기습 공격했다. 지리지형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 공격을 해야 할지를 선택할 수 있었다.

2) 그들은 미군을 살상하기 위해 정글 안에 숨겨진 함정들을 만들어 놓았다. 예를 들어 인계선으로 폭발하는 폭약을 설치하거나 죽창을 꽂은 구덩이를 만들고 그 위를 위장해 놓았다.

3) 그들은 지하에 파 놓은 터널에서 숨어 지냈다. 이 터널은 매우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었고, 그 안에는 군 막사와 병원도 있었다.

4) 그들은 베트남 마을 주민과 쉽게 섞일 수 있었다. 이 때문에 미군은 베트콩 병사들을 찾아내기가 어려웠다.

5) 미군이 베트콩을 몰아내더라도 그들은 그 지역으로 되돌아 오는 일이 많았다. 이 때문에 미군의 작전은 진전이 없는 것처럼 보였다.

      베트콩의 전술은 그들을 더욱 강하게 만들었으나 미군은 약점들을 가지고 있었다. 베트남에 파견된 미군들은 
      대부분 20대 초반으로 매우 젊었다. 그들 대부분이 징집병이었으며, 베트남에 가기를 원치 않았었다. 대부분은 
      베트남에서 1년만 복무했다. 이 때문에 그들은 정글전의 경험을 쌓을 시간이 별로 없었다. 


미군은 베트콩을 찾아내지 못하면 싸울 수도 없었다… 
미국은 막강한 무력을 가지고 있었지만, 정글에서는 그 잠재력을 완전하게 발휘할 수 없었다. 베트콩이 사용한 전술과 그것이 
왜 그토록 효과적이었는지 확실히 알아두자.


베트콩과의 전투 (2)

미군은 베트콩의 게릴라 전술을 극복할 방안이 필요했다.

호치민 통로는 베트콩에게 매우 중요했다.

1) 호치민 통로는 북베트남의 보급로로, 베트남과 인접한 라오스와 캄보디아의 영토를 통해서 이어졌다.

2) 이 통로는 북베트남에서 남베트남의 베트콩을 지원하기 위해 보내는 병사, 보급품, 무기의 운반에 사용되었다.

3) 이 통로는 전쟁 중 계속 사용되었으며, 이 보급로 때문에 베트콩은 계속 싸울 수 있었다.

4) 미군은 이 통로의 폭격을 시도했지만, 통로를 차단을 할 만큼 성공한 적은 없었다. 정글 속의 통로를 폭격하기는 어려웠고, 새 길을 만들기는 쉬웠다. 이 통로는 사실상 여러 통로들의 복잡한 조합이었으며, 새로운 통로가 계속 추가 되었다. 어떤 통로는 미군을 현혹시키기 위한 위장 통로였다.

미군은 대대적인 군사작전을 시작했다.

미군은 베트콩의 게릴라 전술과 맞서 싸우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했다.

- 롤링 선더(Rolling Thunder) 작전

1) 롤링 선더 작전은 1965년 3월부터 1968년까지 계속된 북베트남에 대한 대대적인 폭격작전이었다. 그 목적은 북베트남의 산업을 파괴하고 중국에서 오는 보급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었다.
2) 미국은 북베트남이 약화되어 베트콩을 지원하지 못하게 될 것을 기대했다.
3) 이 작전은 성공하지 못했다. 베트남의 경제는 공장이 아니라 농장에 의존하고 있었기 때문에 폭격으로 큰 피해를 보지 않았다. 중국에서 오는 보급은 계속되었다.

- ‘하츠 앤드 마인즈’(Hearts and Minds)

1) 미국은 베트남인들의 ‘가슴과 마음’(Hearts and Minds)을 사로잡아 베트콩을 돕지 못하도록 하고자 했다.
2) 미국은 베트남 마을 주민들에 대한 무료의료서비스와 훈련프로그램을 통해 이를 시도했다.
3) 이 작전은 그리 성공적이지 못했다. 남베트남 주민들이 미국의 ‘색출과 섬멸’(search and destroy) 전술과 화학무기 때문에 큰 피해를 보고 있었기 때문이다.
4) 미국은 또 남베트남의 부패정권을 지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인기가 없었다.


호치민 통로는 베트콩에게는 생명선이었다…
이름도 눈길을 끄는 호치민 통로는 베트콩에게 중요한 보급품을 공급하여 미국과 효과적으로 싸울 수 있게 해 주었다. 미국이 베트콩을 
패배시키지 못한 중요한 이유의 하나가 바로 이 호치민 통로였다.


베트콩과의 전투 (3)

미국이 사용한 일부 전술은 상당한 논란거리가 되었다.

미국은 전쟁에 승리하기 위하여 극단적인 전술을 사용했다.

미국은 베트콩을 제거하기 위하여 화학전을 포함한 가혹한 수단을 사용했다.

- 색출과 섬멸(Search and Destroy)

1) 색출과 섬멸은 적군 소탕에 초점을 맞춘 전술이었다. 미군은 영토를 확보하는 작전 대신에 베트콩을 소탕하고 마을에서 이들을 제거하는 작전을 썼다. 베트콩을 지원한다는 의심을 받는 마을이 파괴되는 일이 종종 있었다. 작전이 끝난 후 미군은 다른 마을로 이동하거나 기지로 돌아갔다.
2) 마을의 보통 주민과 베트콩을 구분하기는 매우 어려웠다. 따라서 때로 무고한 주민들이 심문을 받거나 죽임을 당했다. 이 때문에 미국은 더욱 인기를 잃었다.
3) 미군은 때로 손실에 대한 복수를 위해 잔혹한 공격을 가했다. 이것 또한 세계적으로 미국의 인기를 떨어뜨렸다.

- 화학무기

1) 네이팜은 젤리 형태로 되어 있어 사람이나 물건에 달라붙어 고열로 타는 화학물질이다. 미군은 숨겨진 목표를 파괴하고 정글의 한 구역 전부를 태워버리기 위해 이 폭탄을 사용했다. 많은 민간인이 이 폭탄의 피해를 입었으며, 이 폭탄의 사용에 대한 비판의 소리가 높았다.
2) 황색고엽제(Agent Orange)는 나무를 파괴하고 식물을 죽이는 화학물질이었다. 미군은 베트콩이 숨어있는 넓은 정글 지역을 파괴하기 위해 이 물질을 사용했다. 식량 보급을 차단하기 위해서도 사용되었다. 나무와 농작물에 사용되었지만 매우 유해한 물질로 암과 기형아 출산의 원인이 되었다.

색출과 섬멸 전술이 미 라이 학살을 초래했다.

1) 1968년 3월, 미 라이 마을에서 ‘색출과 섬멸’ 임무를 수행하던 부대가 여성과 어린이를 포함한 비무장 마을 주민 300여명을 살해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2) 처음에 미군은 이 사건을 은폐하려 했다. 초기의 보도는 약 20여명의 마을 주민이 우발적으로 살해되었다고 전했다.

3) 그러나 1969년 가을 언론이 학살 사실을 폭로했다. 이 뉴스는 모든 사람을 놀라게 하였고, 높은 관심 속에서 조사가 진행되었다


베트남 전쟁은 매우 끔찍한 전쟁이었다…
전쟁이 진전될수록 베트콩과 미군은 점점 더 잔혹한 전술을 사용했다. 그러나 가장 공분을 불러일으킨 것은 미국의 전술이 초래한 
막대한 피해 규모였다.


TV와 미디어의 보도

수백 명의 언론인들이 베트남 전쟁을 취재 보도했다. 그들의 보도는 영향력이 매우 컸다.

미디어의 보도로 많은 사람들이 전쟁에 반대를 하게 되었다.

1) 미디어의 베트남 전쟁 취재보도를 통해 미국인들은 그 전쟁의 실상을 볼 수 있었다.

2) 1960년대, 더 많은 사람들이 텔레비전을 갖게 되었다. 많은 미국인들이 매일 밤 전쟁에 관한 뉴스를 시청하게 되었고, 전사자가 늘어나는 것을 알게 되었다.

3) 1968년 구정공세 때까지 보도는 대부분 낙관적이었다. 구정공세를 보도한 뉴스 동영상에는 베트콩이 미국대사관 담장 안까지 침투한 것을 보여주는 것까지 포함되어 있었고, 이를 시청한 많은 미국인들은 미국이 전쟁에 지고 있다고 생각했다.

4) 구정공세 때 나온 한 유명한 사진은 남베트남의 한 경찰서장이 수갑을 찬 베트콩 병사를 거리에서 사살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 사진을 본 많은 사람들은 미국과 남베트남이 적군에 못지 않게 잔혹하다고 생각했다.

5) 월터 크롱카이트는 존경을 받는 뉴스 앵커맨이었다. 구정공세 이후 크롱카이트는 월남의 상황이 ‘오도가도 못할’(stalemate)상태에 놓였다고 보도했다. 그의 견해를 따르는 일부 미국인들은 전쟁에 대하여 비관적인 생각을 갖게 되었다.

통킹사태는 과장된 것이었다.

1) 1964년 8월2일, 미국군함 USS 매독스 호가 통킹만에서 북베트남의 공격을 받았다.

2) 2일 후 USS 매독스 호와 USS 터너 조이 호가 또 다시 공격을 받았다는 보도가 나왔다. 그러나 이러한 공격이 실제로 일어났다는 증거는 없었다.

3) 존슨 대통령은 이 의심스러운 공격을 발표했고, 그 이야기가 신문에 보도되었다. 존슨은 이 공격이 매우 중대하다고 여겼고, 단호하게 보이는 대응행동을 원했다.

4) 이 사건은 존슨 대통령이 베트남에서 추가적인 행동을 하도록 여론과 정치적 지원을 제공했다. 의회는 통킹만 결의안을 통과시켰고, 이 결의안은 에 따라 존슨대통령이 ‘추가적인 침략을 예방’하기 위해 모든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5) 1960년대 후반, 통킹만에서 2차 공격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는 것이 드러났다. 많은 미국인들은 이런 술수에 의해 그들이 전쟁에 말려들게 되었다고 느끼게 되었다.

미 라이의 진상이 언론에 보도되었다.

1) 1968년, 300명의 베트남 민간인이 미 라이 학살에서 죽었다. 이 사건의 사진들이 1969년 미디어에 보도되었다.

2) 미 라이 사건에 대한 여론은 둘로 갈라졌다. 많은 미국인들은 이 학살에 크게 놀랐고, 이 뉴스는 반전 감정을 더욱 부추겼다. 다른 사람들은 이 사건이 전쟁이 빚은 불행한 결과일 뿐이며, 어쩌면 미 라이 주민들이 베트콩을 돕고 있었을 것이라고 믿었다.

3) 1970년대 초, 학살에 가담한 일부 병사들이 재판을 받게 되었다. 오직 장교 한 명, 윌리암 캘리 중위만이 유죄판결을 받았다. 그는 종신형을 받았으나 1974년 석방되었다.

4) 여론조사를 보면, 대부분의 미국인은 캘리 중위는 단지 명령에 복종했을 뿐이라고 믿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른 여론조사 결과는 미국인 대부분이 베트남 전쟁에 반대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베트남 전쟁 – 최초의 TV전쟁…
미디어는 미국민들이 전쟁을 지지하게 만드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고, 그 다음에는 전쟁에 반대하게 만드는데도 결정적 역할을 했다.


반전항의

1960년대 미국에서는 강력한 항의운동 문화가 발전했다.

많은 반전시위가 일어났다.

- 시카고 반전항의

1) 1968년 민주당이 시카고에서 전당대회를 열었다.
2) 민주당은 존슨 대통령 당시 부통령인 허버트 험프리를 대통령 후보로 뽑았다. 반전시위자들은 험프리가 존슨의 베트남 정책을 계속할 것이라고 믿었다.
3) 격렬한 시위가 벌어지고 그것이 텔레비전에 방영되었다. 1만2천명의 경찰과 5천명의 방위군이 시위대와 맞섰다. 5백여 명이 체포되었다.
4) 공화당 후보 리차드 닉슨은 베트남에서 ‘명예로운 평화’를 확보하고 국내의 폭력적 항의를 끝장내겠다고 공약했다. 닉슨이 1968년 선거에서 이겼으나 매우 근소한 차이의 승리였다.

- 베트남 참전군인들의 항의

1) 반전 베트남 참전군인(Vietnam Veterans Against War, VVAW)는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으나 전쟁의 종결을 원하는 군인들의 단체였다.
2) 1971년 4월, 이 단체는 워싱턴에서 항의 주간을 열었다. 1천명의 참전군인들이 그들이 받은 전공훈장을 의사당 계단에 내던졌다.
3) 이 단체의 시위는 여론을 둘로 갈라놓았다. 어떤 사람들은 베트남 참전군인들의 의견을 들어볼 필요가 있다고 느꼈다. 다른 사람들은 그들의 시위가 비애국적이라고 느꼈다.

켄트주립대학 항의가 비극으로 끝났다.

1) 닉슨의 캄보디아 침공 결정(176페이지 참고)은 1970년 5월 오하이오주 켄트주립대학 시위를 비롯하여 여러 학생시위를 촉발했다.

2) 오하이오 주지사는 방위군을 동원하여 시위자들을 진압하려 했다. 학생들은 병사들을 동원한 것에 분노하였고, 폭력사태가 벌어졌다.

3) 방위군은 최루가스를 사용하였고, 이것으로도 학생들을 해산시키지 못하자 총기를 발사했다. 4명의 학생이 사망했다. 이 사건은 많은 사람들의 분노를 샀으며, 미국 내 여러 대학에서 소요를 촉발했다. 어떤 사람들은 폭력사태가 터진 것은 학생들의 탓이라고 믿었고, 또 다른 사람들은 학생들은 항의를 할 권리가 있다고 믿었다.

풀브라이트 청문회가 미디어에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다.

1) 풀브라이트 상원의원은 상원외교위원장이었다. 이 위원회가 베트남에서 전쟁을 끝내는 문제를 논의했다.

2) 1971년, 풀브라이트는 전쟁을 지지하는 인사와 반대하는 인사들을 불러 일련의 청문회를 열었다. 가장 중요한 증언 중 하나가 VVAW 회원인 존 케리로부터 나왔다.

3) 존 케리는 증언에서 윈터 솔저 인베스티케이션(Winter Soldier Investigation)에 대하여 발언했다. 이 조사 결과에 따르면, 여러 명의 참전군인들이 베트남에서 강간, 고문, 마을과 주민 전체의 파괴와 살해 등 비행을 저질렀음을 시인했다는 것이다.

4) 청문회는 뉴스 미디어에 의해 널리 취재보도 되었다. 케리는 베트남 전쟁에 관해 공개적으로 그렇게 증언한 최초의 참전군인이었고, 그의 증언은 언론에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다. 많은 사람들은 그를 진실을 폭로한 영웅으로 보았고, 다른 사람들은 그가 군과 미국을 배신했다고 믿었다.


베트남 전쟁은 미국의 여론을 분열시켰다...   
대부분의 미국시민이 월남전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했는지를 알아보기는 쉽지 않다. 많은 항의 시위가 있었지만, 닉슨대통령은 
‘조용한 다수’의 미국 시민들이 전쟁을 지지하고 있다고 믿었다.


전쟁 종결의 모색

베트남 전쟁은 미국에서 날이 갈수록 점점 더 인기를 잃게 되었다.

구정공세로 미국민의 우려가 높아졌다.

1) 구정공세(1968년 1월)는 베트콩과 북베트남군(NVA)이 감행한 월남전 사상 최대의 공격이었다. 8만 명의 베트콩 병사들이 수도 사이공을 포함한 남베트남 전역의 미군 기지를 습격했다.

2) 북베트남군과 베트콩은 그들이 총공격을 시작하면 이를 지켜 본 남베트남 시민들이 가세하여 마침내 미군을 베트남으부터 몰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3) 그러나 남베트남 주민들은 그들의 공격을 지원하지 않았다. 3일간의 전투 끝에 베트콩과 북베트남 군은 격퇴되었다. 베트콩은 거의 완전히 궤멸했다.

4) 이것은 명백한 미국의 승리였다. 웨스트모랜드 미군사령관은 미국이 곧 ‘전쟁을 끝낼 것’이라고 믿었다.

5) 그러나 구정공세는 미국의 허를 찌른 기습이었다. 미국민은 대량 파괴와 살상의 영상들을 보았다. 구정공세는 베트콩이 강한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다.

6) 많은 미국인들은 전쟁을 끝내기를 원했다. 웨스트모랜드 사령관이 20만 명의 추가병력을 요구하자 국민들은 이에 냉담한 반응을 보였다.

7) 존슨 대통령은 재선에 출마하지 않았다. 새 대통령 리차드 닉슨은 전쟁의 종결을 약속했다. 그는 미국이 패배를 인정한 것처럼 보이지 않는 평화를 원했다.

월남화(Vietnamization)는 닉슨의 새 전략이었다.

1) 닉슨은 미군의 월남 철수를 약속했다. 이것은 월남군(ARVN)이 북베트남과 혼자 싸워야 된다는 것을 의미했다.

2) 미국은 남베트남군이 더 많은 병력을 모집하고 훈련과 무장을 하는데 자금을 투입했다. 이것을 월남화라고 불렀다.

3) 월남화는 대체로 실패였다. 남베트남 군의 기강이 서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남아있는 미군의 사기도 떨어졌다. 그들은 미국이 이제 베트남과 관계가 없다고 생각했고, 그저 귀국할 날만 기다리고 있었다.

닉슨은 북베트남에게 평화 압력을 가했다.

월남화와 병행하여 닉슨은 평화협상을 강요하기 위한 적극적인 전술을 사용했다.

- 캄보디아 작전

1) 1969년 닉슨은 호치민 통로를 파괴하고 북베트남에 평화 압력을 넣기 위해 캄보디아에서 폭격작전을 시작했다.
2) 그는 공산군 기지와 보급을 파괴하기 위해 3만 명의 미지상군을 캄보디아에 파견했다.
3) 그러나 캄보디아 진공작전은 더 거센 반전시위를 유발했다.
4) 반전 분위기 속에서 의회는 군비를 삭감하고 통킹만 결의안을 철회했다. 이 때문에 닉슨은 더 이상 전쟁을 계속하기가 어려워졌다.

- 라오스 작전

1) 1971년 남베트남군은 라오스에 있는 호치민 통로를 공격했다.
2) 미군은 라오스에 들어갈 수 없었으나 공중지원을 했다.
3) 많은 공산군의 보급품이 파괴되었으나 남베트남 군은 신속하게 라오스에서 철수했다.


닉슨 대통령 – 그의 평화 방안은 폭격…
닉슨은 대규모 폭격을 하면 북베트남이 어쩔 수 없이 평화협정에 조인할 것이라고 믿었다.


평화와 패배

베트남 평화 협상은 오랜 시간이 걸렸지만 그 평화는 그리 오래가지 않았다.

최초의 평화협상은 성공하지 못했다.

북베트남과의 평화협상은 존슨 대통령 재임 때인 1968년 파리에서 처음 있었다. 1969년 닉슨도 비밀 평화협상을 가졌다. 두 차례의 협상은 모두 성공하지 못했다. 북베트남은 평화를 서두르지 않았으며, 남베트남에서 병력을 철수하는 것을 거부했다. 북베트남 정부는 미국의 반전데모와 군사비 삭감으로 닉슨이 어쩔 수 없이 평화를 택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고 믿었다.

파리평화회담에서 평화에 합의했다.

1973년 1월 27일, 양측은 파리평화협정에 서명했다. 협정의 주요 골자는,

• 남베트남 대통령 티우 장군은 집권을 계속한다.
• 북베트남군은 남베트남의 점령지역에 계속 머문다.
• 미군 전쟁 포로는 석방한다.
• 월남의 미군은 2개월 안에 철수한다.

양측 모두 교섭의 마무리를 원했다.

- 북베트남

1) 미국은 중국 및 소련과 관계를 개선했다. 이 두 나라는 북베트남의 우방이었다. 두 나라가 모두 북베트남에게 평화를 권유했다.
2) 1972년 12월 미국은 북베트남에 대해 ‘크리스마스 폭격’을 시작했다. 새로 시작된 폭격으로 북베트남은 미군의 철수를 더 원하게 되었다.
3) 북베트남 정부는 전쟁피해 회복과 재건의 기회를 가진 다음에 남베트남에 대한 최후의 공격을 하기를 원했다.

- 미국

1) 베트남 전쟁은 미국에서 점점 더 인기를 잃어가고 있었다.
2) 의회가 군사비를 삭감한 이후 전비 조달이 어려워졌다.
3) 전쟁은 장기간 계속될 수도 있을 것처럼 보였다.

사이공의 함락은 평화가 실패였음을 보여주었다.

1) 미군은 1969년부터 단계적으로 철수를 했으나 파리조약이 조인된 후 나머지 미군 모두가 베트남을 떠났다.

2) 1974년경, 미국은 주둔군 모두를 철수했으며, 미국의회는 베트남에 대한 모든 재정원조를 중단했다. 남베트남은 자력으로 스스로를 지켜야 했다.

3) 1974년 후반에 북베트남은 남베트남을 침공했다. 그들은 약하고 분열된 남베트남군을 빠르게 격파하고 진격했다. 1975년 4월, 북베트남군은 남베트남의 수도 사이공을 점령했다.

4) 헬리콥터들이 마지막 남은 외교관들을 철수시키기 위해 미국대사관 지붕에 착륙했다. 그 철수 장면은 텔레비전에 방영되었다. 이를 지켜 본 많은 미국인들은 그 혼란스러운 장면들이 미국이 겪는 당혹이라고 느꼈다.


1975년 사이공 – 그다지 영예로운 탈출은 아닌데… 
어떤 사람들은 수천 명의 사람들을 안전하게 공수한 미국의 철수가 성공이었다고 주장했다. 다른 사람들은 그것이 
혼란스럽고 비조직적이었으며, 철수작전이 보다 일찍 시작되었어야 했다고 믿었다.


1950년대 민권 투쟁 (1)

1940년대와 50년대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여전히 미국 헌법이 약속한 권리들을 거부당하고 있었다. 많은 주에서 흑백분리(111쪽 참조)가 실시되고 있었으며, 인종주의적 태도가 흔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2차세계대전에서 싸웠다.

1) 1939년 2차대전이 일어났지만, 미국은 1941년 12월까지 전투에 참가하지 않았다.

2) 전쟁 중 약 1백만 명의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미군으로 참전했다.

3) 육군은 인종분리의 방침을 따랐다.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은 백인과는 별도의 군부대에서 복무했다.

4)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모든 전선에서 활약을 했으며, 1944년 발지전투와 1945년 이오지마 전투 등에서 자주 뛰어난 전투력을 보여주었다.

5) 그러나 인종주의 때문에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아무도 무공훈장을 받지 못했다.

6) 군의 능률을 위해 일부 양보가 이루어졌다. 아프라카계 미국인들에게 처음으로 해병대 입대 기회가 주어졌다.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조종사들이 전투임무를 맡았다.

7) 아프리카계 미국인 병사들은 해외에서 자유를 위해 싸웠으나 고향에 돌아와서는 억압받고 차별 받는 사회에서 살아야 했다.

8) 전쟁 후 트루만 대통령은 군의 인종분리를 철폐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2등시민으로 남았다.

1941년, 루즈벨트(Roosevelt) 대통령은 방위산업에서 인종차별을 금하는 대통령령을 공포했다. 이 조치에 대해 일부 백인 노동자들이 불만을 가졌다. 1943년 공업도시 디트로이트에서 인종폭동이 일어났다. 폭동 중 25명의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9명의 백인이 죽었다.


미국 남부에서는 학교, 식당, 극장, 노동현장, 공중교통과 공중변소 등 일상생활의 모든 면에서 인종분리가 법으로 강요되어 있었다. 대부분의 백인은 그것이 정상이고 이상할 것이 없다고 생각했다. 북부지방에서도 부분적으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낮은 사회적 지위를 반영하고 강화하는 비공식적인 인종분리가 있었다. 미국 전체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평균적인 부와 생활수준은 비교적 낮았다.


쿠 클룩스 클랜(Ku Klux Klan)는 백인의 우월성을 믿는 비밀단체로,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위협하기 위해 폭력을 사용했다. 그 인기는 1940년대 수그러들었으나 지금도 활동 중이며, 많은 사람들이 아직도 그 단체와 신조를 같이하고 있다.


민권 – 아직 자유롭지 못한 나라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은 남북전쟁이 끝나고 자유를 얻었지만 아직도 남부지방에서는 심하게 억압을 받고 있다. 
전쟁 전 미국에서 어떻게 편견이 만연했는지 더 알아보려면 110-111쪽을 참조하라. 2차대전의 영향과 고향에서
악습이 어떻게 그대로 남아있었는지에 대하여 익혀두자.


1950년대 민권 투쟁 (2)

대법원의 도움과 함께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은 민권을 획득하기 시작했다.

정의는 헌법을 집행하데 있다.

미국의 독립선언서와 헌법은 모든 시민에게 법에 의한 동등한 보호 등 여러 가지 권리를 약속하고 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민권을 쟁취하는 하나의 전략은 미국을 상징하는 이 문서로 되돌아갈 것을 호소하는 것이었다. 아래의 여러 민권단체들은 이 전략과 비폭력저항을 병행하여 활동했다.

- NAACP(National Association for Advancement of Colored People) – 유색인종발전을 위한 전국협회. 1909년 창립되어 인종차별에 도전하는 재판에 자금지원
- CORE(Congress of Racial Equality) – 인종평등총회, 1942년 창설, 비폭력저항운동 전개
- SCLC(Southern Christian Leadership Conference) – 남부기독교지도자회의, 1957년 마틴 루터 킹(Martin Luther King)과 랠프 애버나디(Ralph Abernathy)에 의해 창립, 교회의 힘을 저항에 사용
- SNCC(Student Nonviolent Coordinating Committee) – 학생비폭력조정위원회, 1960년 창설

대법원은 인종분리 교육을 위헌으로 판결했다.

1) NAACP의 캠페인이 있은 후 미국헌법의 해석권을 가진 미국대법원은 브라운 대 토피카 교육위원회 사이의 재판(1954년)에 대하여 주립학교에서 인종분리교육을 하는 것은 위헌이라고 판결.

2) 헌법은 미국의 최고법이므로 연방정부는 헌법이 주법에 의해 침해를 받으면 개입 하도록 되어있다.

3) 1957년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아칸소 주 리틀 록의 센트럴고등학교 교정에 1천명의 공수부대원을 투입하여 현지 군중들의 폭력에 직면한 9명의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입학을 강제로 집행했다.

4) 1962년, 아프리카게 미국인 학생 제임스 메리디스(James Meredith)는 미시시피 대학에 등록을 하기 위해 연방군의 보호를 받아야 했다.

5) 위의 두 사례에서 주지사는 인종분리를 지지하는 백인들의 열렬한 공개 지지를 받으며, 연방 당국에 도전하는 온갖 행동을 했다.

모든 사람은 평등하게 창조 되었나니…
...헌법과 더불어 자유와 평등에 대하여 많은 것을 이야기하고 있는 독립선언서는 그렇게 말하고 있다. 그러나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그들의 자유와 평등을 이루기 위해 여전히 투쟁해야 했었다.


1960년대 민권 운동 (1)

보통사람들의 작은 도전이 때로 민권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몽고메리 버스 보이코트 – 대중교통 통합을 이끌어낸 승리

1) 1955년 알라바마 주 몽고메리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 로자 파크스(Rosa Parks)는 버스에서 백인남자에게 자리를 양보하는 것을 거부하여 체포되었다.

2) 26세 된 마틴 루터 킹이 이끄는 흑인 목사들이 이에 항의하는 버스 보이코트 운동을 벌였다.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은 1년 동안 걷거나 차를 함께 타면서 통근을 했다. 마침내 대법원은 알라바마주의 버스인종분리법이 위헌이라고 판결했다.

3) 이 평화적 항의의 성공은 남부의 인종분리에 반대하는 모든 사람들을 고취시켰다.

1957년 민권법과 1960년의 지지부진

1) 1957년 법에 따라 선거권 저해를 조사하는 민권위원회가 창설되었다.

2) 1960법은 투표절차의 기록보관과 감독을 강화했다.

3) 두 법 모두 실제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지만, 연방의회에 의한 작은 시작이 이루어졌다.

비폭력 저항이 지지를 얻었다.

1) 마틴 루터 킹과 다른 활동가들은 그들의 주장에 대한 언론보도와 공감을 유도하기 위해 행진, 연좌와 프리덤 라이즈(Freedom Rides, 아래 박스 참조) 등 평화적 저항방법을 사용했다.

2) 민권운동가들에 의해 많은 평화적 저항운동이 일어났다.

  -  1960년, 4명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대학생이 노스 캐롤라이나 주 그린스보로의 울워스 상점에서 인종분리방침을 
     쓰는 점심 카운터에서 연좌시위를 시작했다. 이 항의운동은 널리 전파되었고 일부 시설의 인종차별 철폐를 이끌어 
     내는데 성공했다.
  -  1961년의 프리덤 라이즈는 CORE와 SNCC가 조직하였으며,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백인 미국인이 남부로 가는 버스여행에 
     함께 타고 가는 것이었다. 대법원은 버스 안에서의 인종분리는 위헌으로 판결했다. 자유승차에 대한 남부의 일부 백인들은 
     폭력으로 대응했다. 알라바마주 애니스턴에서는 버스에 불을 질렀다.

버밍햄에서의 승리는 대통령에게 확신을 주었다.

1) 1961년 취임한 케네디 대통령은 처음에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민권운동에 제한적인 지지를 했다. 그는 남부의 백인 유권자들을 소외시키기를 원치 않았다.

2) 킹 목사와 SLCC는 1963년 4월 알라바마 버밍햄에서 항의시위를 조직했다. 경찰은 시위자들을 소방호스와 곤봉과 경찰견으로 막았다. 시위자들을 거칠게 다루는 모습이 언론에 보도되자 사람들은 시위자들의 주장에 지지를 보내게 되었다. 킹 목사를 비롯해 수백 명이 감옥에 갇혔다. 그러나 마침내 버밍햄 당국은 굴복을 하고 몇 가지 양보를 하는데 동의했다.

3) 케네디 대통령은 이제 주요 민권법안들을 의회에 보낼 때가 되었다고 결심했다.


민권법 – 비폭력의 승리
킹 목사는 인도에서 영국에 대항하여 비폭력불복종운동을 폈던 간디의 영향을 받았다.


1960년대 민권 운동 (2)

SCLC의 초대 총재인 마틴 루터 킹은 비폭력투쟁을 실천했다.

단계로 의회에 압력을 가했다.

1) 1963년 8월, 25만 명의 시위대가 워싱턴으로 행진했으며, 킹 목사는 연설에서 인종차별이 없는 미국에 대한 그의 꿈을 이야기했다.

2) 그러나 1963년 11월 케네디 대통령이 암살을 당하고, 그가 의회에 제출한 민권법안들은 아직 통과가 되지 않았다. 존슨 대통령이 뒤를 이어 대통령에 취임했다.

3) 케네디 대통령은 자유주의적인 마사츄세트 출신이고 존슨 대통령은 인종분리정책을 쓰는 남부 텍사스 출신이지만, 민권을 달성하는 데는 존슨이 더 적극적이었다.

1964년과 1965년 중요한 법들이 제정되었다.

1) 1964년 민권법은 연방정부가 모든 공공장소에서 인종주의를 철폐할 수 있도록 했다. 이것은 민권운동의 큰 승리였다.

2) 선거권은 여전히 문제였다. 이론적으로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투표를 할 수 있었지만, 남부에서는 온갖 종류의 현지 규정이 만들어져 이들의 투표를 막고 있었다.

3) 1964년 “프리덤 서머”(Freedom Summer)에 수천 명의 대학생 자원자들이 유권자 등록을 위해 미시시피 주에서 방학을 보냈다. 이 중 3명이 피살되었다.

4) 1965년 3월 알라바마의 셀마에서는 경찰이 민권운동 행진대열에 곤봉과 최루가스를 사용하였으며, 텔레비전을 통해 이러한 무자비한 진압장면이 방영되었다. 1964년 노벨 평화상을 받은바 있는 킹 목사는 이에 대응하여 알라바마 주의 셀마에서 몽고메리까지 항의행진을 이끌었다.

5) 1965년 8월, 존슨은 선거권법에 서명했다. 이제 연방 담당관이 투표권을 집행하게 되었다. 이것은 민권운동의 또 다른 큰 승리였다.

차별과 소요는 여전했다.

1) 형식적인 민권은 빈곤에 갇힌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을 돕는데 충분치 않았다.

2) 베트남 전쟁에 엄청난 비용이 들어가기 시작하면서 사회사업에 쓸 수 있는 기금도 영향을 받았다.

3) 일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은 킹 목사의 지도력과 비폭력 투쟁방법에 인내심의 한계를 드러냈다.

4) 1960년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도시에서 여러 차례 소요를 일으켰다. 1965년 8월 로스앤젤레스의 와트 지역에서 8일간 계속된 소요에서는 34명이 목숨을 잃었다. 1967년 7월 디트로이트에서 8일간 계속된 소요에서는 43명이 죽었다.

1968년 마틴 루터 킹 목사가 암살당했다.

1) 1966년 마틴 루터 킹 목사는 주택문제에 대한 차별에 항의하는 행진을 조직하기 위해 시카고로 갔다. 주택문제는 1964년 민권법안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다.

2) 정부는 지원을 하지 않았다. 존슨 대통령은 그의 베트남전쟁정책을 비판한 흑인지도자들의 “배은망덕”에 화가 나 있었다.

3) 1968년 4월 킹 목사가 암살을 당한 후 의회는 주택에 대한 효과적인 민권법을 통과시켰지만, 100여 개 도시에서 소요가 일어났다.


마틴 루터 킹 – 그는 꿈이 있었다... 
60년대를 통틀어 평화로운 저항은 민권법과 선거권법 등 법제상 몇 가지 중요한 변화를 이룩했다. 
빈곤, 전쟁, 케네디와 킹의 암살 등으로 그 진전에는 한계가 있었다.


1960년대 민권 운동 (3)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 민권운동에서 보다 대결적인 접근방법이 등장했다.

일부 집단은 폭력저항을 찬성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 회교도 말콤 X(Malcolm X)는 인종통합과 비폭력 노선을 거부했다. 그는 워싱턴의 평화행진을 “워싱턴의 소극”(farce on Washington)이라고 불렀다. 그의 설교는 개종자들을 아프리카계 미국인 분리주의 단체인 이슬람국가(Nation of Islam)로 모아 들였다. 말콤 X는 보다 “포용적”인 비전을 발전시킨 후 이슬람국가를 떠났다. 그는 1965년 2월 이슬람국가 회원에게 살해당했다.


1966년 SNCC의 의장 스토클리 카마이클(Stokely Carmichael)은 “블랙파워” 슬로건을 널리 퍼뜨렸다. 그가 이끄는 SNCC는 백인 회원들을 모두 추방했다. 1967년 뉴아크에서 20명의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경찰에 살해된 폭동이 있은 후 열린 블랙파워 총회는 분리된 아프리카계 미국인 국가와 민병대를 요구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흑표범당(Black Panther Party)는 1966년 휴이 P. 뉴튼(Huey P. Newton)과 바비 실(Bobby Seale)이 만들었다. 당원들은 경찰로부터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보호한다면서 유니폼을 입고 무장순찰을 했다. 그들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위한 교육과 건강관리 프로그램도 운영했다.

긍정적인 행동이 아프리카계 미국인에게 기회를 주었다.

1) 존슨 대통령은 우대고용정책을 도입하여 여러 일자리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덜 채용되는 것을 시정하기 위해 노력했다.

2) 닉슨대통령 시절, 이 정책은 “역차별”이라는 비판을 받기 시작했다.

3) 그러나 닉슨대통령은 1969년부터 소기업 행정에서 할당프로그램(set-aside programme)를 채택하여 아프리카계 미국인 소유 기업의 성장을 촉진했다. 이에 대해 많은 반대가 있었다. 이를 피하기 위해 많은 백인 미국인들이 교외로 이사를 가거나 자녀들을 사립학교에 보냈다.

아프리카계 미국 선수들이 올림픽에서 항의를 했다.

1) 1968년 멕시코 올림픽에서 남자 200미터 달리기에서 2명의 아프리카계 미국 선수 토미 스미스(Tommie Smith)와 존 칼로스(John Carlos)가 메달을 땄다.

2) 시상식에서 국가가 연주되는 동안 이들은 고향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인종주의와 핍박으로 수난을 겪는데 항의하여 머리를 숙이고 주먹을 들어 올리는 블랙파워 식 인사를 했다.

3) 두 선수는 선수단에서 축출되어 귀국 조치되었다. 미국내의 반응은 매우 부정적이었으며, 두 선수는 이 때 얻은 악명 때문에 그 후 고생을 했다.

4) 주먹을 들어올린 두 선수의 사진은 민권투쟁의 중요한 상징이 되었다.


블랙팬더 – 투쟁에 큰 변화를 가져오다…
블랙파워와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분리주의는 권력층을 포함한 많은 미국인들에게 두려운 상황전개였다. 그러나 블랙팬더와 같은 
집단은 그들의 공동체를 돕는데 좋은 일도 많이 했다.


스페인계 미국인들의 민권

차별에 반대하여 투쟁하는 것은 흑인뿐만은 아니었다.

라틴아메리카에서 미국으로 이주한 사람들

1) 멕시코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텍사스, 뉴 멕시코, 아리조나, 캘리포니아 주는 멕시코와 라틴 아메리카 국가로부터 많은 이민이 몰려들고 있다.

2) 1942년부터 전시 노동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브라세로 프로그램(Bracero Program)에 따라 멕시코 노동자들이 미국에서 임시로 일하는 것을 허용했다. 이 프로그램은 1964년까지 계속되었다.

3) 수백 만 명의 불법 이민자들이 더 들어왔다. 3천200킬로미터에 이르는 국경을 지키기는 어려웠다.

4) 멕시코계 미국인에게는 학교, 주택, 고용에서 인종분리(segregation)가 적용되었다.

전쟁은 진보의 시대에 불길을 당겼다.

1) 수 만 명의 스페인계 미국인이 2차 대전에서 미군으로 참전했다.

2) 스페인계 미국인에 대해서도 약간의 인종차별이 있었다. 1943년 로스앤젤레스에서 주트 수트(Zoot Suit) 소요가 있었다. 미국 해군이 라틴계 10대들을 색출하고 구타하는 사건이 10일간 계속되었다.

3) 전쟁이 끝난 후 라틴아메리카 시민단합 동맹(League of United Latin American Citizens)과 미국 GI포럼(American GI Forum)이 캘리포니아주 학교의 인종분리 정책과 텍사스주의 라틴계 시민의 배심원 선정 제외를 바로잡기 위해 법적 대응을 했다.

4) 1954년 대법원은 헤르난데즈 대 텍사스주 사건에 대하여 인종차별을 불법화한 14차 수정법은 아프리카계 미국인뿐 아니라 모든 인종에 적용된다고 판시했다.

5) 1968년 세워진 멕시코계 미국인 법적방어 및 교육기금(Mexican American Legal Defence and Educational Fund, MALDEF)는 가장 활발한 멕시코계 미국인 민권 기구가 되었다.

시저 차베트(Cesar Chavez가 농장 노동자들을 이끌었다.

1) 멕시코 이민의 손자인 시저 차베즈는 1962년 노동조합 농장노동자연맹(United Farm Workers)을 만들었다. 1965년부터 그는 이주 노동자들의 임금과 노동조건을 개선하기 위해 10개년 캠페인을 조직했으며, 1967년에는 전국적인 포도 보이코트 운동을 전개했다.

2) 1975년 제정된 농업노동관계법(Agricultural Labor Relation Act)는 농장노동자들의 조합 결성 권리를 보호했다. 차베즈의 성공은 스페인계 미국인 권리에 대한 보다 넓은 투쟁을 고취하였는데 기여 했다.

1965년 이민법은 규제를 완화했다.

1) 미국의 이민규정은 미국 내 기존 인종구조를 반영하기) 위해 만들어진 나라별 코타제도에 바탕을 두고 있다. 1960년대 자유주의자들은 이것이 인종편애(racial bias)라고 비난했다.

2) 1965년의 이민법은 출신국 보다는 혈연관계와 직업에 더 비중을 둔 우대범주를 만들었다. 라틴 아메리카와 아시아의 이민이 늘어났다.


주트 수트 소요 – 패션 범죄…
주트 수트 는 1940년대 라틴 아메리카 10대들에게 인기가 있던 헐렁하게 입는 큼직한 정장이었다. 일부에서는 이것이 물자를 
낭비하는 것이며, 전시인지라 나쁜 짓이라고 말했다. 그렇다고 그것이 소요를 정당화할 수는 없다.


미국 원주민들의 민권

미국 원주민들은 차별을 받았다. 전통적으로 많은 부족이 평원에서 유목민의 삶을 살아왔다. 19세기 백인 이주민들이 몰려오면서 이들은 대부분의 지방에서 쫓겨났다.

원주민의 토지와 자주성이 위협을 받았다.

1) 1934 인디안 재편법(Indian Reorganization Act)은 부족들을 분할하여 동화를 강요하는 종전의 방침을 중지시켰다. 그들의 주권과 문화적 자치를 되살리기 위해 이제 원하는 부족에게는 실질적인 자치정부를 주기로 한 것이다.

2) 2차대전이 끝난 후 의회는 이전의 완전동화 목표로 되돌아갔다. 이 ‘종료’ 정책에 따라 1950년대 정부는 여러 부족에게 주던 혜택을 철회했다. 많은 인디안 보호구역(reservation)이 주에 편입되고 새로운 카운티가 되었다. 종료 대상이 된 부족들은 이제 주세를 물어야 하고 주 법규를 지켜야 되었다. 많은 원주민들이 외부인에게 땅과 광산권을 팔아야 했고 전 보다 더 가난해졌다.

3) 1960년대, 대법원은 원주미국인의 주권을 지지하고 부족의 법적 지위가 주의 그것 보다 더 높다는 것을 인정하는 결정을 잇달아 발표하기 시작했다. 인디안 보호구역에 대한 주의 권한을 제한한 것이다.

AIM이 원주미국인의 권리를 위해 투쟁했다.

1) 미국인디안운동(American Indian Movement, AIM)은 1968년 미네아폴리스에서 경찰이 원주미국인을 괴롭힌 사건이 있은 후 결성되었다. 이 단체는 곧 전국적 기구가 되었으며, 생활수준과 조약권과 같은 문제들도 다루었다.

2) 1972년 AIM 회원들은 다른 7개 단체와 함께 워싱턴으로 행진하는 조약불이행트레일(Trail of Broken Treaty) 운동에 참여했다. 시위자들은 인디안 보호구역 문제를 관장하는 연방정부 산하기관 인디안사무국(Bureau of Indian Affairs, BIA)의 본부를 약탈했다.

3) 시민불복종운동 ‘피쉬 인’(fish-in)은 원주미국인의 어업 사냥권을 우대하는 1974년 볼트결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내었다.

4) 1890년까지 원주미국인은 미국정부로부터 일부 중요한 부족 토지를 반환 받고 일부 압수 토지에 대한 보상을 받는데 성공했다.

5) 1978년 인디안 종교자유법은 종교활동의 형식 보호와 성소 접근을 보장하고 있다.

1973년 운디드 니에서 분쟁이 있었다.

1) 오글라라 시우 인디안보호구역(Oglala Sioux reservation)에서 주민 일부가 보호구역 운영 방식에 부정부패가 있는 것에 저항하여 항의운동에 참여하도록 AIM을 초청했다.

2) 시위자들은 총으로 위협하여 운디드 니(Wounded Knee) 마을을 점거했다. 곧 그들은 진압군에 의해 포위되었다. 농성은 71일간 계속되었다. 총격전이 벌어지고 2명이 죽었다.

3) 이 장소는 1890년 미군에 의해 시우족이 학살을 당한 곳이었다. 그 상징성 때문에 전국적으로 미디어의 주목을 받았다.

4) 결국 현지 문제를 협상으로 타결한 후 점거사태는 AIM의 승리로 끝났다.


원주미국인의 권리…
운디드 니는 원주미국인 역사에서는 매우 중대한 의미가 있는 곳이다. 1890년 시우족 학살은 팽창하는 미합중국에 대항하는 원주미국인 
투쟁의 마지막 사건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므로 1973년 그곳에서의 농성은 사람들의 각별한 이목을 끌었다.


여성의 권리 (여권)

여성운동은 1960년대에 가속화되어 여성의 권리증진을 이룩했다.

여성들이 업무의 차별에 도전하기 시작했다.

1) 1960년 여성들은 대체로 간호사, 교사, 서기, 가정 작업 등 임금이 낮은 직업에 종사했다. 1960년대 여성들은 모든 일자리의 33-43퍼센트를 차지했다. 그러나 임금은 남성의 60% 수준이었다.

2) 엘리노어 루즈벨트(Eleanor Roosevelt)는 케네디 대통령에게 압력을 넣어 1961년 여성지위에 대한 대통령위원회(Presidential Commission on the Status of Women)을 만들도록 했고 그 총재직을 맡았다.

3) 1963 평등임금법(Equal Pay Act)은 같은 직업에 종사하는 여성에게 남성보다 적은 임금을 주는 것을 불법으로 규정했다. 그러나 평등고용기회위원회는 직원이 모자랐고, 고용주가 같은 활동을 하는 남성과 여성에게 서로 다른 업무 명칭을 붙이는 것까지 막기가 어려웠다.

4) 1964민권법 7장은 성을 바탕으로 한 고용 차별을 금지했다. 그러나 이를 따라가는 법의 집행 속도는 더뎠다.

5) 1960년부터 피임약(‘the pill’)이 보급되어 직장생활을 시작한 여성들이 임신을 늦추기가 쉬워졌다.

1966년 여성운동 그룹 NOW가 결성되었다.

1) 베티 프리단은 그의 저서 “여성의 신화”(‘The Feminine Mystique’, 1961)에서 많은 여성들이 가정살림에 갇혀있는 느낌을 갖고 있다고 말하면서, 여성을 가정에 고립시키는 것을 비판했다.

2) 프리단은 여성의 법적, 교육적, 전문직업상의 평등을 위해 창설된 전국여성기구(National Organization for Women, NOW)의 창설자 중 한 명이다.

3) NOW는 1972년 평등권리수정안(Equal Rights Amendment, ERA)을 통과시키도록 의회에 압력을 가했다. 그러나 이 수정안은 주의회의 비준과정에서 필요한 4분의3 찬성을 얻는데 실패했다.

4) ERA에 반대한 사람들 중에는 “전통적” 여성으로 돌아가기를 바라는 여성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보수적 운동가인 필리스 슐라플리(Phyllis Schlafly)는 ERA에 반대하는 단체 “Stop ERA”를 만들었다.

5) 그러나 ERA의 목표는 다른 방법, 특히 1964민권법 7장의 보다 적극적인 법 집행에 의해 대부분 성취되었다.

6) 교육수정법(1972)의 9장은 정부가 재정지원을 하는 교육기관은 남녀에게 동등한 시설과 기회를 제공할 것을 정하고 있다.

    여성들은 여성의 사물화(objectification of women)에 반대하는 운동을 시작했다. 여성운동가들은 1968년 미스아메리카 
    미인 선발대회에 항의하여 그들의 ‘미스 아메리카’로 양을 선정했다.

임신중절의 권리는 논란이 많은 쟁점이었다.

여성운동가들은 여성이 임신중절을 선택할 권리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법원은 로 대 웨이드(1973) 소송에서 임신중절을 금하는 주법은 위헌이라고 판결했다. 그러나 종교집단의 압력에 응하여 의회는 1976년 메디케이드(Medicaid, 저소득층의 의료지원프로그램)가 임신중절 비용을 대는 것을 중지시키는 하이드수정안(Hyde Amendment)을 통과시켰다.


여성해방 – NOW를 알아보자…
여성운동은 동등임금, 동등 교육기회 등 우리가 지금은 당연시하는 기본적 권리 등 여성을 위해 많은 것을 성취했다.


학생 저항운동과 청년문화

1960년대는 학생 저항운동과 청년불만의 연대였다.

1960년대에는 몇 가지 큰 정치적 쟁점이 있었다.

1) 1960년대 민권운동은 그 절정에 이르러 있었다. 대학생과 젊은이들이 항의와 운동에 많이 가담했다.

2) 미국 정부 역시 장기적인 베트남전에 매달려있었다. 많은 젊은이들은 미국의 베트남전쟁 동기와 사용 전술에 반대하고 있었다.

3) 젊은이들은 징집 때문에 전쟁으로부터 가장 피해를 당하는 집단이었다.

4) 1967년 10월 징집중단주간(Stop the Draft Week)중, 5만 명이 넘는 대학생과 젊은이들이 국방성으로 가는 행진에 참가했다.

학생집단들이 주요 항의운동을 조직했다.

SDS

1) 1959년 민주사회를 위한 대학생(Students for a Democratic Society, SDS)가 결성되었다. 1960년대 초 이 단체의 많은 회원이 민권운동에 가담했었다. 이를 통해 그들은 항의 전술을 익혔다.
2) 베트남 전쟁이 계속되자 이들은 반전항의운동을 주도하는 집단이 되었다.
3) 1968년 4월, 이들은 베트남전쟁과 인종분리정책에 항의하는 대학생들의 컬럼비아 대학 점거를 주도했다. 점거는 8일간이나 계속되었고, 7백 명의 학생이 체포되었다.

SNCC

1) 1960년 민권운동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학생들이 대학생비폭력조정위원회(Stuent Nonviolent Coordinating Committeem, SNCC 또는 ‘snick’)을 결성했다.
2) SNCC는 프리덤 라이즈(Freedom Rides)와 Alb 운동(Alb. Movement, 1961년과 1962년 조지아 주 올바니에서 있었던 일련의 연좌시위)의 조직을 주도했다.
3) 1966년부터 SNCC는 베트남 전쟁에 강력하게 반대하며 호전적인 항의운동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특히 징집 반대운동에 중점을 두었다.

‘전환의 60년대’는 전통적 가치에 도전했다.

1) 많은 젊은이들이 락 뮤직, 사이키델릭 약물, 성의 자유와 종교적 실험 등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실험했다.

2) 샌프란시스코의 “Summer of Love”(1967), Woodstock Music Festival(1969) 등 이벤트들이 있었다.

3) 밥 딜런(Bob Dylon) 등 프로테스트 가수들이 베트남전쟁과 민권운동 등 정치적 쟁점에 대한 노래를 만들었다.

4) 1967년 대부분의 미국 도시에는 히피지역이 있었다. 주류에서 벗어난 “낙오자”들이 모이는 곳이었다. 그러나 모든 젊은이들이 다 참여한 것은 아니었다. 일부는 아직도 전통적인 가치들을 지키고 있었다.


징집 중지 – 여기도 추워지는데…
1960년대는 학생들의 항의와 행동주의가 들끓는 시기였다. 큰 문화적 변화도 있었다. “전환의 60년대”는 이전 세계와의 결별이었다.


요점정리

모든 문제에 답을 하고, 잘못 알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확인하여 약점을 보강하자.

1) 마샬 플랜이란 무엇인가?
2) 한국전쟁에서 유엔군의 지휘를 맡은 미국의 장군 이름은?
3) 1950년대 미국에서 있었던 적색공포 소동은 무엇인가?
4) ‘헐리우드의 10인’이란 무엇인가?
5) 적색공포 소동이 있었던 시기 미국 FBI의 국장은 누구인가?
6) 왜 매카시 상원의원은 인기를 잃었는가?
7) 인종분리(segregation)란 무엇인가?
8) NAACP는 무엇인가?
9) 브라운 대 토피카 교육위원회 사건(1954)의 판결은 무엇인가?
10) 로사 파크는 1955년 인종분리에 항의 하여 어떤 저항 행위를 했는가?
11) 1963년 어떤 중요한 행진이 있었는가?
12) ‘프리덤 서머’ 기간 중 누가 피살되었는가?
13) 마틴 루터 킹은 언제 피살되었는가?
14) 말콤 X의 방법은 마틴 루터 킹과 어떻게 다른가?
15) 존슨 대통령의 우대고용정책은 왜 비판을 받았는가?
16) 주트 수트 소요란 무엇인가?
17) 1962년 누가 연합농장노동자노동조합을 창설했는가?
18) AIM이란 무엇인가?
19) 1973년 운디드 니에서 일어난 일을 설명하라.
20) 같은 일자리에서 여성에게 남성보다 적은 임금을 주는 것을 불법화 한 법률은?
21) 베티 프리단이 1963년에 낸 유명한 책 이름은?
22) 로 대 웨이드(1973) 사건의 임신중절에 대한 판결은 무엇인가?
23) 1963년 어떤 대통령이 암살당했는가?
24) SDS란 무엇인가?
25) 1970년 어디서 4명의 대학생이 피살되었는가?


시험자료

아래 A부터 D까지의 자료를 연구하여 시험지의 질문에 답하라.

자료A

200pxl

“워싱턴을 향한 행진” – 1963년8월28일의 자유행진자들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


자료B

200pxl









1963년 5월28일 미국 미시시피 주 잭슨 시에서 존-솔터, 조안 트럼포어, 앤 무디가 울워스 점심판매대에서 벌인 민권 연좌시위를 보여주는 사진.


자료C

200pxl

1965년 3월22, 미국 알라바마 주 셀마시의 루트80 하이웨이에 세워진 빌 보드 사진. 마틴 루터 킹 2세가 이끄는 3백여 명의 민권행진단이 이 길을 통해 몽고메리 시로 갔다.


자료D

그러므로 모든 피부색의 미국 대학생이 그들이 선택한 공공 교육기관에 군인들의 지원을 받지 않고 다닐 수 있어야 한다. 어떤 피부색의 미국 소비자도 호텔, 레스토랑, 극장, 소매점 등 공공 시설의 모든 장소에 가두시위의 힘을 빌리지 않고도 동등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어떤 피부색의 미국인도 간섭과 보복의 두려움 없이 자유선거에서 유권자 등록을 하고 투표를 할 수 있어야 한다. 간단히 말해서 모든 미국인이 인종이나 피부색에 관계 없이 미국인의 특권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 모든 미국인은 그가 대접 받기를 원하는 대로, 그의 자녀들이 대접받기를 원하는 대로 대접 받을 권리를 가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 그렇지 못하다.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민권에 대한 1963년 6월11일자
라디오 및 텔레비전 대국민 보고의 일부

연습문제

  미국 1945-1975 

1 자료 A를 연구하여 아래 두 문제에 답하라.

  (a) 자료 A와 아는 바를 이용하여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민권을 보장하기 위해 어떻게 압력이 가해졌는지 설명하라. (8점)

  (b) 미국의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민권신장 투쟁에서 비폭력 항의는 가장 효과적인 전술이었다. 이에 동의하는가? 
      여러분의 답변을 설명하라. (12점)
  미국 1945-1975

2 (a) 자료 C 연구   
      왜 1965년 미국에서 이런 포스터가 붙여졌는가?
      자료와 아는 바를 이용하여 답하라. (7점)
    
  (b) 자료 D 연구
      이 글은 민권투쟁 시기에 케네디 대통령이 가장 중요한 정치인임을 어느 정도까지 보여주는가? 
      자료와 아는 바를 이용하여 답하라. (7점)

  (c) 자료 B 연구
      이 사진이 보도되었을 때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였을까? 
      자료와 아는 바를 이용하여 답하라. (6점)

3 (a) 1965년의 이민법의 조항과 영향을 설명하라. (4점)

  (b) 1973년 운디드 니에서 일어난 사건의 의미를 설명하라. (4점)

  (c) 아래는 미국의 민권투쟁에서 모두 똑 같이 중요한 인물이다. 
        (i)   존슨대통령
        (ii)  로자 파크
        (iii) 닉슨대통령
      이 말에 어느 정도 동의하는가?
      (i), (ii), 그리고 (iii)만을 거론하여 답하라. (10점)
  미국 1945-1975

4 자료 B 연구
  자료 B에서 1963년 미국의 민권운동에 관하여 무엇을 알 수 있는가? (6점)

5 자료 c 연구와 알고 있는 지식 활용
  1965년 미국에서 왜 이 포스터가 붙었을까?
  자료를 자세히 살피고 아는 바를 활용하여 답해보라. (8점)

6 자료 A, B, C, D 연구와 알고 있는 지식 활용   
  이 자료들은 미국의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민권운동이 폭력 없이 목적을 달성했다는 견해를 뒷받침하는가?   
  자료와 아는 바를 활용하여 답하라. (10점)

7 자료 A와 C 연구
  자료 A와 C가 마틴 루터 킹의 신조와 활동의 증거로서 얼마나 유용한가? 설명해 보라. (10점)

8 모든 자료 연구와 알고 있는 지식 활용
  “마틴 루터 킹은 미국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민권투쟁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는 인물이었다.”
  제시된 자료들은 얼마나 이를 뒷받침하고 있는가? 자료내용과 아는 바를 활용하여 답하라. (16점)


☞ 연습문제 답안 확인하기


☞ 영국교과서 초기화면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