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우크라이나:Світова економіка (세계경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efia
이동: 둘러보기, 검색
cefia>Candyman72
(4. 검토 의견)
 
잔글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차이 없음)

2021년 9월 12일 (일) 22:55 기준 최신판

1. 목차

  • 머리말
  • 1과 국제경제의 기본구조 및 특징
    • 1.1 국가경제의 총체로서의 국제경제
    • 1.2 초국가적 특징으로서의 국제경제
    • 1.3 국제경제의 분류 (유형적, 지역 통합적분류)
      • 1.3.1 유형적 분류
        • 1.3.2 지역적 분류
      • 1.3.3 지역통합적 분류
    • 1.4 국제경제의 세계화
  • 단원평가
  • 2과 국제경제의 유형적 분류
    • 2.1 선진국의 경제
      • 2.1.1 선진국의 정의
      • 2.1.2 선진국의 경제개발 현황
      • 2.1.3 선진국 경제구조의 특성
      • 2.1.4 미국의 경제
      • 2.1.5 일본의 경제
      • 2.1.6 독일의 경제
      • 2.1.7 영국의 경제
      • 2.1.8 프랑스의 경제
      • 2.1.9 이탈리아의 경제
      • 2.1.10 캐나다의 경제
    • 2.2 개발도상국의 경제
      • 2.2.1 국제경제에서의 개발도상국가
      • 2.2.2 개발도상국가중 실질적인 선진국
      • 2.2.3 개발도상국가의 경제적 문제
      • 2.2.4 브라질의 경제
      • 2.2.5 인도의 경제
      • 2.2.6 최빈국의 경제
    • 2.3 경제체제 전환 국가
      • 2.3.1 경제체제 전환 배경
      • 2.3.2 체제전환시기 경제개혁
      • 2.3.3 경제구조와 개발현황
      • 2.3.4 러시아연방의 경제
      • 2.3.5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의 경제
  • 단원평가
  • 3과 국제경제의 지역통합구조
    • 3.1 국제지역 통합구조의 다양한 특징
    • 3.2 유럽의 지역통합 경향
      • 3.2.1 유럽연합(EU)
      • 3.2.2 유럽자유무역연합(EFTA)
      • 3.2.3 독립국가연합(CIS)
      • 3.2.4 흑해경제협력체(BSEC)
      • 3.2.5 민주경제개발협력체(GUAM)
    • 3.3 아시아, 아메리카, 아프리카의 지역통합경향
      • 3.3.1 아시아태평량경제협력체(APEC)
      • 3.3.2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 3.3.3 ‘콜롬보계획’-아시아와태평양연안국의 경제사회적협력증진
      • 3.3.4 상하이협력기구(SCO)
      • 3.3.5 북아메리카 자유무역협정(NAFTA)
      • 3.3.6 남미공동시장(Mercosur)
      • 3.3.7 라틴아메리카 통합기구(ALADI)
      • 3.3.8 카리브공동시장(CCM)
      • 3.3.9 서아프리카 경제공동체(ECOWAS)
      • 3.3.10 동남아프리카 공동시장(SADC)
      • 3.3.11 중앙아프리카 관세 및 경제연합(UDEAC)
  • 단원평가
  • 4과 세계정치경제
    • 4.1 세계정치경제의 개념
    • 4.2 선진국의 정치경제
      • 4.2.1 경제개발모형
      • 4.2.2 미국의 정치경제
      • 4.2.3 일본의 정치경제
      • 4.2.4 독일의 정치경제
      • 4.2.5 프랑스의 정치경제
      • 4.2.6 영국의 정치경제
      • 4.2.7 이탈리아의 정치경제
      • 4.2.8 캐나다의 정치경제
    • 4.3 개발도상국의 정치경제 특성
      • 4.3.1 개발도상국의 정치경제발전 조건
      • 4.3.2 인도의 정치경제
      • 4.3.3 브라질의 정치경제
      • 4.3.4 최빈국의 정치경제
    • 4.4 체제전환국의 정치경제구성
      • 4.4.1 포스트소비에트국가의 경제구조특징
      • 4.4.2 러시아의 정치경제
      • 4.4.3 중국의 정치경제
    • 4.5 경제통합기구의 정치경제
      • 4.5.1 유럽연합의 정치경제
      • 4.5.2 독립국가연합(CIS)의 정치경제
  • 단원평가
  • 5과 우크라이나 국제정치경제의 형성 방식과 원칙, 문제점
  • 단원평가
  • 부록
  • 평가문항
  • 참고문헌

2. 한국 관련 내용

  • p. 14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GDP에서 산업생산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기준으로 산업화의 정도를 파악했는데, 이와 같은 기준에서 산업화 국가를 판단한다면, 많은 나라들이 해당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할 것이다. 이에 해당하는 국가들은 대부분 자원의 개발을 통해서 산업화를 이룬 국가들이다. (알제리, 아제르바이잔, 칠레, 가봉, 리비아, 나이지리아, 카타르 등) 예외적으로 사회주의 국가 이데올로기(소련시기)가 경제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경우도 있다.
이와 함께 서비스 산업의 비중이 높을지라도 산업개발에 큰 비중을 두면서 경제성장을 이룬 신진공업국들이 있는데 인도네시아(46%), 한국(39%*), 태국(45%), 말레이시아(45%)가 여기에 속한다. (* GDP에서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

  • p. 15

최근 10년간 국가의 GDP를 통해 경제의 수준을 평가한다.
신생공업국가의 1인당 GDP는 상대적으로 낮다. 그러나 이와는 별개로 일부 신생공업국가의 1인당 GDP가 높은 경우도 있다: 한국 2만 7천 달러, 싱가포르 5만 3천 달러, 타이완 3만 3천 달러. 이들 국가는 모든 지표가 선진국의 기준에 도달해 있으나, 다만 전통적인 분류기준에 따라 ‘신생공업국’이라 불리며 개발도상국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신생공업국들은 실제 ‘선진국 그룹’으로 분류 가능하다.

  • p. 16

GDP(전체, 1인당), 산업구조, 기술발전수준, 경제개발현황에 의거해 국가를 분류하면 다음과 같이 구분 지을 수 있다:

  • 첨단기술산업국가(이미 경제성장을 이룬 국가)
  • 경제개발현황에 따른 국가분류
  • 신생공업국가: 한국, 싱가포르,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브라질, 아르헨티나, 칠레, 멕시코, 인도...<중략>...
  • 농업위주의 경제성장이 지체된 국가: 세계에서 가장 빈곤한 국가(에스토니아, 소말리아, 우간다, 북한 등)
  • p. 18

<분류3> - 국가의 지역에 따른 분류
- 극동아시아: 중국을 대표적으로 일본, 북한, 한국, 몽골

  • p. 20

<분류3, 5>
- 지역연합에 따른 분류
-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호주, 브루나이, 베트남, 인도네시아, 한국 등
아시아, 태평양 연안국의 경제 협력증진을 목표로 함: ‘콜롬보 계획’ - 영국, 미국, 캐나다, 일본, 호주, 뉴질랜드, 인도, 파키스탄, 한국 등 참여.

  • p. 31

주로 다국적기업의 본사(79%)는 대부분 선진국에 위치한다.
최근 들어 또한 주요 다국적기업의 본사가 신생공업국에 위치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싱가포르, 한국, 브라질, 중국, 러시아)

  • p. 32

세계금융시장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 설립 및 성장.
개발도상국 혹은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국가의 채무 증가. 90년대 말 해당 국가들의 빛은 2조 달러에 육박, 부채에 대한 이자는 매년 2억 달러인 것으로 알려졌다.
- 이들 국가의 GDP에서 국가채무가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하다.
(브라질 11.9%, 아르헨티나 23.5%, 한국 29.7%, 터키 32.4%, 2008년 기준)

  • p. 39

해외투자는 기술과 경제의 발전을 이루고 있는 개발도상국에 집중된다.
다국적기업은 해당국가에 소비재산업, 원료지향산업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해외자본의 투자는 신생공업국의 발전을 촉진시킨다. 한국, 타이완, 싱가포르, 중국은 80년대 인도, 미얀마, 칠레 등이 이룩한 1인당 GDP보다 1.5-2배 앞서며 선진국의 문턱에 접근하였다.

  • p. 110

그러나 이들 국가의 경제발전 불균형은 국가 산업구조의 약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개발도상국은 산업개발로 인해 농업의 비중이 과거 1950년 75%에서 1998년 50%로 줄어들었으며, 1인당 GDP에서 차지하는 농업 비중 또한 감소하였다. (브라질 5.5%, 인도 17.7%, 이집트 13%, 한국 3%)

  • p. 116

산업생산량 유지를 위해 경제구조의 다양화 노선을 견지한 국가는 경기침체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특징을 보인다. 한국, 타이완, 싱가포르, 홍콩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통틀어 70년대부터 높은 경제성장을 이루고 있는 동남아시아의 대표적인 국가이다. (‘동아시아의 네마리 용’으로 불림)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역시 저렴한 노동력을 바탕으로 경제위기를 빠르게 극복함과 동시에 경제 성장을 이루며 ‘동남아시아의 용’으로 지칭되기도 한다.

  • p. 221

신생공업국 개념은 80년대에 등장하였으며, 주요 해당국은 ‘동아시아의 용’이라 불리는 홍콩, 한국, 싱가포르, 타이완이다. 이들 국가는 산업화를 시작한 이후 선진국을 따라잡으며, 빠른 경제성장을 보이고 있기도 하다. 한편, 신생공업국(동아시아의 용)의 대열에 뒤늦게 합류한 국가는 인도네시아, 필리핀, 말레이시아, 태국임. 이를 제외하고 신생공업국으로 분류되는 나라는 인도, 라틴아메리카의 브라질, 멕시코, 아르헨티나, 칠레임. 신생공업국은 전 세계 인구의 30%, GDP의 18%를 차지한다.

3. 간략 분석

본 교과서는 대학의 경제학 전공 과정에서 사용되는 경제서로서 세계경제의 전반과 지역별 지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있는 교과서이다. 국가별로 자원과 인구, 산업, 경제에 관련한 설명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글로벌화된 세계경제를 다루고 있다. 이 부분에서 한국은 중국, 일본과 달리 신흥공업국의 위치에서 독립적인 단원이 아닌 형태로 서술되고 있다. 한국에 대한 보다 올바르고 정확한 설명을 위해서는 증설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4. 검토 의견

페이지 한국 관련 기술 내용 검토 의견 개선 과제 코드
p. 116 한국, 타이완, 싱가포르, 홍콩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통틀어 70년대부터 높은 경제성장을 이루고 있는 '동남아시아의' 대표적인 국가이다. 한국을 동남아시아의 대표적인 국가라고 표현하고 있는데, 동북아시아에 속하므로 이 부분을 삭제하고 '...경제성장을 이루고 있는 대표적인 국가이다' 라고 표현하는 것이 적절함 C3
- - 신흥공업국에 대한 설명에서 한국경제발전과 관련한 내용을 증설할 필요가 있음 D1
- 개선 과제 코드 -
개선 과제 유형
A: 동해·독도 표기 수정 필요 B: 단순표기 C: 내용 수정 필요 D: 내용 증·신설 필요 E: 기타
A1: 동해 표기 A2: 독도 표기 C1: 통계 C2: 과거 사실 C3: 객관적 기술 D1: 증설 필요 D2: 신설 필요

연계 정보

관계 대상 문서 설명
isRelatedTo 교육제도: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교육과정, 2015년 조사 보고
isReviewOf 교과서 서지사항 분석대상 교과서 서지사항
isPartOf 종합분석:우크라이나 2015년 우크라이나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