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구니 인명사전

법공스님(法空, 1471生, 비구니)

biguni
Ehjkkims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6월 28일 (화) 16:44 판 (새 문서: <indicator name=인명사전>비구니 인명사전</indicator> {{인물정보 |표제 = 법공(法空)스님 |사진 = |법명 = 법공(法空) |법호 = |속명 = |본관 = |출...)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법공(法空)스님은 조선의 비구니로, 연산군 즉위시절 폐사된 청룡사를 일으킨 제5 중창주이다.

생애

경력

연도 내용
1471 (성종 2년) 경기도 광주 출생/ 평창 이씨 가문
1475 청룡사 지안스님을 은사로 출가
1501 연산군의 폐사훼불 정책으로 청룡사 폐사
1512 (중종 7년) 청룡사 완전히 복구
1538 (중종 33년) 세수 68세, 법랍 63세로 입적

활동 및 공헌

출가와 당대 조선 정치 상황

법공스님은 1471년(성종2년) 경기도 광주 평창 이씨 가문 6남매 중 다섯째로, 집안 형편이 어려워 다섯 살에 출가하게 되었다. 1495년 연산군이 왕위에 오른 후 1498년 훈구파와 사림파의 대립으로 시작된 무오사화, 1504년 어머니 윤씨 복위 문제의 갑자사화로 인해 많은 사람이 희생되고 정치가 불안한 상황이 되었다. 자신을 비방하는 투서를 보고, 언문구결을 불태우고 언문교습을 중지시켰으며, 원각사를 폐하고 장악원을 두어 기녀를 양성하고, 성균관을 폐하고 유흥장을 만드는 등 폭정이 심했다. 연산군의 폐사훼불이 청룡사에까지 닿아, 1501년 (연산군 7년) 청룡사를 폐사시켰고, 법공스님은 은사스님을 모시고 금강산으로 들어가게 되었다.


폐사된 청룡사 복구

1506년 중종반정이 일어나 연산군이 폐위되었다는 소식을 전해듣고 스님은 다시 청룡사로 돌아갔지만, 당시 청룡사는 폐허가 되어 산짐승들이 살고 있었다. 빈터 모퉁이에 움막을 짓고, 청룡사를 다시 일으킬 원력과 계획을 세우고 7년을 권선모연하였다. 법당·승당·명부전·산신각·우화루 등 1백여칸의 건물을 다시 일으켜 1512년(중종 7년) 청룡사를 완전히 복구하였다. 이후 계속 청룡사에 주석하다 1538년(중종 33년) 세수 68세, 법랍 63세로 입적하였다.

참고자료

  • 한국비구니연구소 저, 『한국비구니수행담록』 상, 뜨란출판사 (2007년, p40~41)
  • 성종·중종실록
  • 연산군 일기
  • 청룡사지

시맨틱 데이터

노드 데이터

식별자 범주 유형 표제 한자 웹 주소
[법공(法空)스님]] 본항목 법공(法空, 1951~2014) 法空 http://dh.aks.ac.kr/~biguni/wiki/index.php/법공스님(法空,_1471生,_비구니)

※ 범례

  • 범주: 본항목, 문맥항목
  • 문맥항목 유형: 승려(비구니), 승려(비구), 인물, 단체, 기관/장소, 사건/행사, 물품/도구, 문헌, 작품, 개념/용어,

릴레이션 데이터

항목1 항목2 관계
정안(淨岸)스님 혜종(慧宗)스님 ~의 제자이다
정안(淨岸)스님 오대산 남대 지장암 ~에서 출가하다
정안(淨岸)스님 오대산 남대 지장암 ~의 주지(감원)를 역임하다
정안(淨岸)스님 남대 지장암 기린선원 ~을 정비하다
정안(淨岸)스님 희찬(喜燦)스님(1919~1983; 비구스님) ~으로부터 사미니계를 받다
정안(淨岸)스님 성원(性源)스님(1927~2004; 비구스님) ~으로부터 비구니계를 받다
정안(淨岸)스님 백양사 천진암 ~의 주지(감원)를 역임하다
정안(淨岸)스님 백양사 천진암 백암선원 ~을 설립하다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