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원사

biguni
이병두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7월 29일 (토) 18:42 판 (새 문서: * ''' 사찰명 : 양산 내원사(內院寺) ''' * ''' 주소 : 경남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291 ''' </br>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인 통도사(通度寺)의...)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 사찰명 : 양산 내원사(內院寺)
  • 주소 : 경남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291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인 통도사(通度寺)의 말사이다. 신라 문무왕 때 원효(元曉)가 창건하였으며, 『송고승전(宋高僧傳)』에 창건설화가 기록되어 있다.
673년(문무왕 13) 원효가 동래군 장안면 불광산에 있는 척판암(擲板庵)을 창건하여 주석하던 중, 당나라 태화사의 1,000명 대중이 장마로 인한 산사태로 매몰될 것을 알고 ‘효척판구중(曉擲板求衆)’이라고 쓴 큰 판자를 그곳으로 날려보냈다.
그 곳 대중들이 공중에 떠 있는 현판을 보고 신기하게 여겨 법당에서 뛰쳐나와 보는 순간 절 뒷산이 무너져 큰 절이 매몰되었다. 이 인연으로 1,000명의 중국승려가 신라로 와서 원효의 제자가 되었다. 원효가 그들의 머물 곳을 찾아 내원사 부근에 이르자 산신이 마중나와 현재의 산신각 자리에 이르러 자취를 감추었다.
이에 원효는 대둔사(大芚寺)를 창건하고 상·중·하내원암(上中下內院庵)을 비롯, 89개 암자를 세워 1,000명을 거주시켰다. 그리고 천성산 상봉에서 『화엄경(華嚴經)』을 강론하여 1,000명의 승려를 오도(悟道)하게 하였다.
이 때 『화엄경』을 설한 자리에는 화엄벌이라는 이름이 생겼고, 중내원암에는 큰 북을 달아놓고 산내의 모든 암자가 다 듣고 모이게 했으므로 집붕봉이라는 이름이 생겼으며, 1,000명이 모두 성인이 되었다 하여 산이름을 천성산이라 하였다 한다. 조선 중기에 대둔사 및 상·중내원암은 없어지고 하내원암만 남았다.
그 뒤 1646년(인조 24)에 의천(義天)이 중건하였고, 1845년(헌종 11)에 용운(龍雲)이 중수하였으며, 1876년에는 해령(海嶺)이 중수하였다. 1898년에는 유성(有性)이 수선사(修禪社)를 창설하고 내원사로 개칭한 뒤 선찰(禪刹)로 이름을 떨쳤고, 민족항일기에는 혜월(慧月)이 주석하면서 많은 선승(禪僧)들을 배출하였다.
그리고 6·25전쟁 때 산속에 숨어 있던 공비들의 방화로 완전히 소실된 뒤 1955년에 수덕사(修德寺)의 비구니 수옥(守玉)이 5년 동안에 걸쳐서 13동의 건물을 재건하였다. 그 뒤 꾸준한 불사를 거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법당인 선나원(禪那院)을 비롯하여 ‘선해일륜(禪海一輪)’의 현판이 걸린 큰 규모의 선원(禪院)·심우당(尋牛堂)·정처헌(靜處軒)·불유각(佛乳閣)·종루·일주문(一柱門)·객실·창고 등이 있으며, 산내암자로는 미타암(彌陀庵)·성불암(成佛庵)·금봉암(金鳳庵)·원효암(元曉庵)·조계암(曹溪庵)·금강암(金剛庵)·내원암(內院庵)·안적암(安寂庵)·익성암(益聖庵)·노적암(露積庵) 등이 있다.
문화재로는 1972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금고가 있다. 전국의 대표적인 비구니 수도선원으로 널리 알려져 있을 뿐 아니라, 용연리경부고속도로 위를 지나는 육교를 건너면서부터 시작되어 내원사 입구까지 이어지는 6㎞ 계곡의 아름다움으로도 유명하여 천성산 내원사일원이 1985년 경상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내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