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덕스님(常德, 1951生, 비구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참고문헌) |
(→릴레이션 데이터) |
||
193번째 줄: | 193번째 줄: | ||
삼현(三賢)문중 | 삼현(三賢)문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2년 8월 24일 (수) 16:43 판
상덕(常德)스님 | |
---|---|
[[파일:200px|240px]] | |
법명 | 상덕(常德) |
법호 | 의진(義眞) |
속명 | 이상덕(李常德) |
출생 | 1951. 10. 23 |
출가 | 1965 |
입적 | |
사찰 | 청암사승가대학(경북 김천시 증산면 평촌리 688) |
특이사항 |
1. 정의
의진(義眞) 상덕(常德)스님은 현재 청암사승가대학 학장인 의정(義淨) 지형(志炯) 강백과 함께 청암사를 현재의 모습으로 중창하고 청암사 승가대학을 국내 굴지의 승가대학의 면모를 갖추게 한 대한민국 비구니 스님이다.
목차
생애
연도 | 내용 |
---|---|
1965 | 충남 개심사에서 성근스님을 은사로 득도 |
1968 | 제7교구 수덕사 원담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
1973 | 공주 동학사승가대학 졸업 |
1974 | 대한불교조계종중앙교육원 수료 |
통도사 금강계단 월하스님을 계사로 구족계, 보살계 수지 | |
1981 | 서울 경국사 법보강원 졸업 |
1983 | 중앙승가대학교 졸업 |
1984년 ~ 1987년 | 화운사승가대학, 청암사승가대학 중강 |
1987년 ~ 1990년 | 대한불교조계종 단일계단 사미니계 습의사 |
1990년 ~ | 청암승가대학 강사 |
1991년 ~ 1993년 | 대한불교조계종 단일계단 행자교육원 습의사, 갈마사 |
1993년 ~ 1994년 | 대한불교조계종 단일계단 비구니계 습의사 |
2003년 ~ 2015년 | 청암사 주지 |
2003년 ~ 2006년 | 동학사승가대학 총동문회장 |
2005년 ~ 2015년 | 청암사율학승가대학원 교수사 |
2009년 ~ 2015년 |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복지법인직지사복지재단 이사 |
대한불교조계종 단일계단 비구니계 교수사 | |
2010년 ~ 2013년 | 대한불교조계종 제15대 중앙종회의원 |
2012년 ~ 2015년 | 사단법인 대한태극권협회장 |
문중 | 삼현(三賢)문중 |
저서 및 작품 | 〈능엄경의 여래장 사상에 대한 소고〉(1998) |
수계제자 | 명조(明照)·자목(慈穆)·해명(海明)·명학(明學)·명석·명경·명림·명관·명허·명율 외 |
- 출처: 청암사 홈페이지 ( http://www.chungamsa.org/?page_id=11569 )
활동 및 공헌
출가
의진(義眞) 상덕(常德)스님은 1951년 10월 서울 성동구 신당동에서 아버지 이완영과 어머니 김계생(대덕화 보살) 사이의 4남 2녀 중 다섯째로 태어났다. 본관은 전주이며, 이름은 이상덕이다.
무릇 법도를 세움에 있어서는 한 치의 틈도 용납치 않아야 하고, 하화(下化)에 있어서는 일신을 돌보지 않는 보살의 한없는 자애로움이 마땅하리라.
불법의 혜명을 이어감에 대원력(大願力)을 세우고, 불령산 아래 천년 고찰의 가람 청암사에서 그 뜻을 펼침에 20여 년을 한결같은 묵연함으로, 때로는 엄준하면서도 부드러운 외유내강의 수행자로, 어버이의 자상함으로 후학 들의 귀감이 되고 마음의 고향이 되어주는 분이 바로 상덕스님이다.
집안이 불교와 인연이 깊어서 스님들과의 왕래가 잦았던 터라 스님은 어려서부터 어머니를 따라 절에 자주 갔다. 특히 어머니 인 대덕화 보살은 불심이 남달리 돈독한 분이셨다.
세속에서의 삶보다는 출가자로서의 삶이 더할 나위 없이 고귀하다는 것을 몸소 체득한 어머니의 영향으로 스님의 출가는 어렸을 때부터 기정사실이 되어 있었다. 모친의 남다른 불법에의 귀의와 굳은 신심은 이후로 스님의 수도 생활에 오롯한 지침이 되어 가슴속 깊이 각인되었다.
딸의 출가에 대한 어머니의 원력으로 인연이 도래하길 기다리던 어느 날, 외출했다가 돌아온 어머니가 문득 서산 개심사로 출가를 권유하셨다. 스님의 나이 15세 때의 일이다. 스님은 그동안 어머니께 누누히 출가에 대해 들어왔기에 별다른 갈등이나 동요는 일어나지 않았다.
서산 개심사는 성능스님이 강주로 계신 비구니 강원이었다. 그 당시에는 고봉스님(청암사 강원), 대은스님 (화운사 강원), 성능스님 등 선·교를 겸한 분들이 각 강원에 주석하고 있었는데 어머니는 개심사가 적합하다고 결정을 내린 것이었다.
숙세의 인연이 무르익은 덕분인지 출가하기로 결정을 하자 스님의 마음은 무조건적이다시피 더할 나위 없는 기쁨으로 가득 찼다. 더 나아가서는 “나 중노릇하러 간다.”고 자랑하며 개심사로 출가할 날만을 손꼽아 기다리게 되었다.
그리하여 15세이던 1965년 음력 3월 15일 충남 개심사로 출가하여 열흘 만에 삭발했다. 그 당시 은사스님이신 성근(性根)스님은 오대산 육수암에서 정진 중이었기 때문에 노스님이신 보인(寶仁)스님이 삭발을 해주셨다.
상덕스님
[사진출처] 현대불교 ( http://www.hyunbu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70666 )
수학
스님은 삭발 후 큰방에서 스님들과 함께 기거하며 3년여의 행자 생활을 했고, 그 사이 염불과 예참 등을 익히고 『초발심자경문』, 『치문』 등을 배웠다.
출가하고 1년이 넘어서야 뵙게 된 은사스님은 제방을 두루 다니며 공부하는 선객으로 가끔씩 들를 뿐이었고, 스님은 노스님(개심사 총무 소임)을 시봉하면서 열심히 공부해나 갔다.
스님은 대혜선사의 서장을 배우던 1967년 17세 되던 해에 수덕사에서 원담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를 수지했다. 비구니계는 후에 1974년 통도사 금강계단에서 월하스님을 계사로 수지하게 된다.
스님은 개심사 강원 강주이신 성능(性能)스님에게 4년간 『금강경』 등을 수학하다가 강원이 폐강되자 1969년 가을 동학사 강원에 방부를 들였다. 이곳에서 스님은 앞으로 아름다운 도반의 길을 함께 걸어갈 지형스님을 만나게 되었다.
그리고 1973년 동학사 강원을 졸업하고 계속 공부를 하던 중 경학을 더 깊게 연찬하기 위해 서울로 올라왔다. 이후 가산 지관스님 문하에서 재강을 받게 되는데, 이로써 지형스님에 이어 비구니스님으로는 두 번째로 지관스님의 전강 제자가 되었다.
스님의 보다 깊고 넓은 배움을 향한 노력은 삼선교 청룡암에서 정릉 경국사로 이어졌고, 1983년 중앙승가대학교를 졸업하고 1993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을 수료함으로써 명실상부한 부처님의 일대시교(一代時敎)를 모두 이수하게 되었다.
청암사 중창 및 청암사 강원 중흥
참된 수행자를 배출해야 한다는 원력을 세운 스님은 화운사 강주로 있던 지형스님의 권유로 1984년부터 2년여 동안 화운사에서 중강을 맡았다. 그러다가 1987년 정월 그믐에 지형스님과 함께 학인 16명을 데리고 평생의 수행 정진과 원력의 텃밭이 될 청암사로 들어오게 되었다.
청암사는 신라시대에 창건된 이후 조선시대 인조 때의 대강백이었던 회암 정혜선사가 최초로 강원을 개설했고, 근세에 이르러 한영, 권상로, 고봉스님 등이 강석을 펼친 유서 깊은 전통강원이었다.
도반 지형스님과 함께
70년대 초반 고봉스님이 강석을 펴 우룡, 고산, 덕민스님 등이 공부를 했으나 그 후로 강맥이 완전히 끊어진 것을 상덕스님과 지형스님이 강원을 다시 개원하면서 교학도량의 맥이 되살아난 것이다.
스님 일행이 청암사에 당도했을 당시 청암사의 각 당우들은 쇠락해질 대로 쇠락하여 비가 오면 대야를 받쳐놓아야 했다. 기와지붕 위에는 잡초들이 무성했으며, 축담은 더 이상 방치할 수 없을 정도로 무너지고 있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대방채인 육화료에 대중이 머물 수 있는 공간이 있었다.
스님은 아침에 수업이 끝나면 학인들과 함께 기둥과 마루의 찌든 때를 매일 양잿물로 닦아내고 솔과 걸레로 문질렀다. 그러고도 끝없는 보수 불사가 이어져 연일 울력이 계속되었는데, 스님은 늘 학인들과 동사섭하며 열악한 조건 속에서 1인 3~4역을 해냈다.
어떤 어려운 일이 닥쳐도 스님은 눈 하나 꿈쩍하지 않았다. 항상 대장부의 기상으로 당당했으며 철저한 신심으로 초연함 속에 지냈기 때문이다.
청암사 강원
되는 것 안 되는 것 등 모든 것이 부처님의 일이요, 부처님이 해결할 일이었기에 늘 기도를 통해 하나하나 풀어나갔다. 일상이 그대로 수행인 참 수행자의 모습에서 한 치의 흐트러짐도 없었던 것이다.
스님은 크고 작은 일도 늘 지형스님과 의논하여 함께 해나갔으며, 상대가 누구이든 먼저 주장하기보다는 서로의 입장을 헤아려 깊이 인내하며 화합했다. 이러한 스님의 인내와 화합의 가르침은 때로는 학인들과의 수업을 통해, 때로는 몸소 실행을 통해 은은하게 배어나왔다. 학인들은 그런 스님의 모습만 보아도 저절로 고개가 숙여졌고 자신을 낮추어야 함을 배웠다.
청암사 중창불사
2003년 가을부터 청암사 주지 소임을 맡게 된 상덕스님은 지형스님과 함께 육화료, 보광전, 정법루, 진영각, 극락전 등 보수공사와 선열당, 중현당, 종각, 백화당 신축에 이어서 교육관 건립과 일주문, 사천왕 이전 불사와 해우소, 그리고 대웅전 보수 불사를 완성했다.
당시 120여명이 정진하는 청암사는 매년 여름 법화산림을 열었다. 전 대중이 4개조로 나뉘어 24시간 내내 <법화경>을 독송하는 법회다. 극락전 누수가 너무 심각해 나라에서 보조금 좀 받게 해달라고 빈 것이 법화산림의 기원이다. 주변에선 성스러운 부처님한테 그딴 걸 발원하느냐고 핀잔을 줬다. 그러나 꿈은 거짓말처럼 이뤄졌다.[1]
상덕스님은 1987년과 1990년 조계종 제8회와 제11회 단일계단 사미니계 습의사를 지냈고, 1991년과 1993년에는 조계종 행자교육원 제1기, 5기 습의사를 지냈다. 또한 1993~1994년까지 조계종 단일계단 비구니 습의사를 지냈으며, 1998년부터 2004년 현재까지 행자교육원 갈마위원을 맡고 있다.
수계제자
2004년 현재 상덕스님의 수계제자로는 명조(明照)·자목(慈穆)·해명(海明)·명학(明學)·명석·명경·명림·명관·명허·명율스님 등 10명이 있다.
참고자료
- 한국비구니연구소 저. 『한국비구니수행담록』 중. 뜨란출판사, 2007, pp. 272~279.
- 한국비구니연구소 저. 『한국비구니명감』. 뜨란출판사, 2007, p. 230.
- 불교신문 2007.9.29.일자 (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83165 )
- 청암사 홈페이지 ( http://www.chungamsa.org )
시맨틱 데이터
노드 데이터
식별자 | 범주 | 유형 | 표제 | 한자 | 웹 주소 |
---|---|---|---|---|---|
상덕(常德)스님 | 본항목 | 상덕스님(常德, 1951~) | 常德 | http://dh.aks.ac.kr/~biguni/wiki/index.php/상덕스님(常德,_ 1951生,_ 비구니) |
※ 범례
- 범주: 본항목, 문맥항목
- 문맥항목 유형: 승려(비구니), 승려(비구), 인물, 단체, 기관/장소, 사건/행사, 물품/도구, 문헌, 작품, 개념/용어,
릴레이션 데이터
항목1 | 항목2 | 관계 |
---|---|---|
상덕(常德)스님 | 성근(性根)스님 | ~의 제자이다 |
상덕(常德)스님 | 개심사 | ~에서 출가하다 |
상덕(常德)스님 | 청암사 | ~를 중창하다 |
삼현(三賢)문중
- ↑ 출처: 불교신문 2007.9.29.일자 (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83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