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공스님(法空, 1471生, 비구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릴레이션 데이터) |
(→릴레이션 데이터) |
||
81번째 줄: | 81번째 줄: | ||
===릴레이션 데이터=== | ===릴레이션 데이터===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항목1 | + | ! 항목1 || 항목2 || 관계 || style="width:300px" | 속성 |
|- | |- | ||
| [[법공스님(法空, 1471生, 비구니) | 법공(法空)스님]] || [[조선시대]] || ~의 비구니이다 || | | [[법공스님(法空, 1471生, 비구니) | 법공(法空)스님]] || [[조선시대]] || ~의 비구니이다 || |
2024년 4월 25일 (목) 19:54 판
법공(法空)스님 | |
---|---|
[[파일:|240px]] | |
법명 | 법공(法空) |
법호 | |
속명 | 이씨(李氏) |
출생 | 1471년 |
출가 | |
입적 | 1538년(중종 33년) (세수 68세, 법랍 63세) |
사찰 | 청룡사 서울특별시 종로구 숭인동 17-1 |
특이사항 |
목차
정의
법공(法空)스님은 조선의 비구니로, 연산군 즉위시절 폐사된 청룡사를 일으킨 제5 중창주이다.
생애
연도 | 내용 |
---|---|
1471 | (성종 2년) 경기도 광주 출생/ 평창 이씨 가문 |
1475 | 서울 청룡사(숭인동)에서 지안스님을 은사로 출가 |
1501 | 연산군의 폐사훼불 정책으로 청룡사 폐사 |
1512 | (중종 7년) 청룡사 완전히 복구 |
1538 | (중종 33년) 세수 68세, 법랍 63세로 입적 |
활동 및 공헌
출가와 당대 조선 정치 상황
법공스님은 1471년(성종2년) 경기도 광주 평창 이씨 가문 6남매 중 다섯째로, 집안 형편이 어려워 다섯 살에 출가하게 되었다. 1495년 연산군이 왕위에 오른 후 1498년 훈구파와 사림파의 대립으로 시작된 무오사화, 1504년 어머니 윤씨 복위 문제의 갑자사화로 인해 많은 사람이 희생되고 정치가 불안한 상황이 되었다. 자신을 비방하는 투서를 보고, 언문구결을 불태우고 언문교습을 중지시켰으며, 원각사를 폐하고 장악원을 두어 기녀를 양성하고, 성균관을 폐하고 유흥장을 만드는 등 폭정이 심했다. 연산군의 폐사훼불이 청룡사에까지 닿아, 1501년 (연산군 7년) 청룡사를 폐사시켰고, 법공스님은 은사스님을 모시고 금강산으로 들어가게 되었다.
폐사된 청룡사 복구
1506년 중종반정이 일어나 연산군이 폐위되었다는 소식을 전해듣고 스님은 다시 청룡사로 돌아갔지만, 당시 청룡사는 폐허가 되어 산짐승들이 살고 있었다. 빈터 모퉁이에 움막을 짓고, 청룡사를 다시 일으킬 원력과 계획을 세우고 7년을 권선모연하였다.
법당·승당·명부전·산신각·우화루 등 1백여칸의 건물을 다시 일으켜 1512년(중종 7년) 청룡사를 완전히 복구하였다. 이후 계속 청룡사에 주석하다 1538년(중종 33년) 세수 68세, 법랍 63세로 입적하였다.
청룡사
청룡사(靑龍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 조계사의 말사로, 종로구 숭인동에 위치한다. 922년(고려 태조 5)에 도선(道詵) 국사의 유언에 따라 태조 왕건이 어명을 내려 창건했다. 풍수지리적으로 한양의 외청룡(外靑龍)에 해당하는 산등에 지었다고 하여 사호를 청룡사라 하였다.1036년(정종 2년)에 만선 비구니스님이 퇴락한 절을 창건 이후 처음으로 중창하였고 이후에도 여러 차례 중창하여 10차의 중창 역사를 갖고 있다. 1923년 다시 옛이름인 청룡사로 불리게 되었고 1950년대에 대대적인 중창이 있었으며 1973년에 다시 중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 창건배경과 역사
청룡사(靑龍寺)는 922년(태조 5) 도선(道詵, 827~898) 국사의 유언에 따라 왕명으로 창건되었다. 풍수지리적으로 한양의 외청룡(外靑龍)에 해당되는 산등성이에 지었다고 하여 절 이름을 청룡사라 하였다고 한다. 제1대 주지로 비구니 혜원(慧圓) 스님이 주석한 이래 줄곧 비구니 스님만이 주석한 것이 특색이다. 고려에 와서는 1036년(정종 2)에 만선(萬善) 스님이 처음으로 중창하였고 1158년(의종 12) 회정(懷正) 스님이 두 번째로 중창하였는데, 이때 이 부근에서는 청룡사 동북쪽 고개 너머에 있는 보문사(普門寺) 창건 이후로 40여년만에 처음 세워진 절이라 하여 "새절 승방"이라고도 불렀다. 1299년(충렬왕 25) 중국 원나라의 침입으로 절이 황폐화되자 지환(知幻)스님이 중창하였다. 고려 말에는 공민왕비 혜비(惠妃)가 머물렀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태조의 딸 경순공주가 머물렀으며, 1405년(태종 5) 무학(無學) 대사를 위하여 왕명으로 중창했다. 창건 당시 도선 국사를 위하여 창건한 이래 두번째로 왕명에 의한 중창인 것이다. 이어서 1512년(중종 7)과 1624년(인조 2)에도 법공(法空)스님과 예순(禮順) 스님이 각각 중창하였다. 1771년(영조 47)에는 단종의 왕비 정순왕후(定順王后, 1440~1521)가 이곳에 있었다하여 영조가 직접 ?정업원구기(淨業院舊基)?라는 글을 내려 비석과 비각을 세우게 했는데, 이때 절 이름을 잠시 정업원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이 비석과 비각은 현재도 절에 남아 있다. 1813년(순조 13) 화재로 소실되었으나, 이듬해 묘담(妙潭)·수인(守仁) 두 스님에 의해 중창되었고 1823년(순조 23) 왕명으로 다시 옛 이름인 청룡사로 고쳐 부르게 하였다.
1902년(고종 6) 정기(正基)·창수(昌洙) 스님이 중창하였고, 1918년과 1932년에 상근(詳根) 스님이 중창하였다. 근대에 와서는 1954년~1960년 사이에 윤호(輪浩) 스님이 전체적으로 대대적인 중창을 하였고 대웅전은 다시 1973년에 중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청룡사는 왕실의 여인과 관계가 많은 곳이다. 앞서도 말했듯이, 고려 말의 명신 익재 이제현(李齋賢)의 딸이자 공민왕비인 혜비(惠妃)가 이곳에 거주하였으며, 또 조선 초 태조의 딸 경순 공주가 이곳으로 와 머무는 등 왕실과의 관계가 많았던 것이다. 특히 세조에 의해 폐위되고 강원도 영월까지 유배가 결국 그곳에서 죽게 된 단종(端宗, 1441~1457)은 유배 갈 때 왕비 정순 왕후와 이곳 우화루(雨花樓)와 영리교(永離橋)에서 마지막 이별을 하고, 이어 왕비는 영월이 있는 동쪽이 가장 잘 보이는 이곳 청룡사에서 스님이 된 비극이 서려있기도 하다.
- 출처 청룡사(서울)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참고자료
- 한국비구니연구소 저, 『한국비구니수행담록』 상, 뜨란출판사 (2007년, p40~41)
- 『성종·중종실록, 한국고전DB
- 『연산군 일기』, 한국고전DB
- 청룡사, 『청룡사지』, 1972
시맨틱 데이터
노드 데이터
식별자 | 범주 | 유형 | 표제 | 한자 | 웹 주소 |
---|---|---|---|---|---|
법공(法空)스님 | 본항목 | 법공(法空, 1471~1538) | 法空 | http://dh.aks.ac.kr/~biguni/wiki/index.php/법공스님(法空,_1471生,_비구니) |
※ 범례
- 범주: 본항목, 문맥항목
- 문맥항목 유형: 승려(비구니), 승려(비구), 인물, 단체, 기관/장소, 사건/행사, 물품/도구, 문헌, 작품, 개념/용어,
릴레이션 데이터
항목1 | 항목2 | 관계 | 속성 |
---|---|---|---|
법공(法空)스님 | 조선시대 | ~의 비구니이다 | |
법공(法空)스님 | 지안스님 | ~의 수계제자이다 | |
법공(法空)스님 | 서울 청룡사 | ~에서 출가하다 | |
법공(法空)스님 | 서울 청룡사 | ~을(를) 정비하다 |
❁ 한국 비구니 인명사전 데이터 아카이브로 가기
지도
- 청룡사 : 서울특별시 종로구 숭인동 17-1
주석
다른 비구니 스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