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법호·법명 : 경허성우(鏡虛惺牛, 1849~1912) '''
| |
− | * ''' 생애·업적 '''
| |
| | | |
− | 본관은 여산(廬山). 속명은 송동욱(宋東旭), 법호는 경허(鏡虛). 법명은 성우(惺牛). 전라북도 전주 출신. 아버지는 두옥(斗玉)이다. 선(禪)의 생활화·일상화로 근대 한국불교를 중흥시켰다.
| |
− | 태어난 해에 아버지가 죽었으며, 9세에 과천의 청계사(淸溪寺)로 출가하였다. 계허(桂虛)의 밑에서 5년을 보내고, 1862년(철종 13)부터 한학을 배우기 시작하였다. 그 뒤 계룡산 동학사(東鶴寺)의 만화(萬化)에게 불교경론을 배웠으며, 9년 동안 제자백가를 익혔다. </br>
| |
− | 1871년(고종 8)동학사의 강사로 추대되었다. 1879년에 옛 스승인 계허를 찾아가던 중, 돌림병이 유행하는 마을에서 죽음의 위협에 시달리다가 발심을 하고, 동학사로 돌아와 석 달 동안 용맹정진을 하다가 ‘소가 되더라도 콧구멍 없는 소가 되어야 한다’는 말을 듣고 깨달았다. </br>
| |
− | 그 뒤 천장암(天藏庵)으로 옮겨 깨달음 뒤의 공부를 계속하였다. 1880년 용암 혜언(龍巖慧彦)으로부터 이어지는 법맥을 이었으며, 스스로 청허 휴정(淸虛休靜)의 11대손, 환성 지안(喚惺志安)의 7대손이라 밝혔다. 1884년 천장암에서 만공(滿空), 혜월(慧月), 수월(水月)의 3대 제자를 지도하였다. </br>
| |
− | 1886년 6년간의 깨달음 뒤의 공부를 끝내고 충청남도 일대의 개심사(開心寺)와 부석사(浮石寺)를 왕래하면서 후학 지도와 교화 활동을 하면서 크게 선풍(禪風)을 떨쳤다. 그 당시, 낡은 윤리의 틀로는 파악할 수 없는 기이한 행적을 많이 남겼다. </br>
| |
− | 1894년 동래 범어사(梵魚寺)의 조실이 되었고, 1899년합천 해인사(海印寺)에서 임금의 뜻에 따른 인경불사(印經佛事)와, 신설하는 수선사(修禪社) 등의 불사에 법주(法主)가 되어 「해인사 수선사 방함인(海印寺修禪社蒡啣印)」과 「합천군 가야산 해인사 수선사 창건기」를 집필하였다. </br>
| |
− | 또, 금릉군 청암사(靑巖寺)에서 한암(漢巖)을 깨닫게 하였으며, 1900년에는 지리산 천은사(天隱寺)에서 여름을 지낸 뒤 화엄사(華嚴寺)로 옮겨갔다. 1902년에는 범어사 금강암(金剛庵)과 마하사(摩訶寺) 나한상(羅漢像)의 개분불사(改粉佛事)에 증사(證師)가 되었다. 1904년에는 오대산·금강산 등을 두루 돌아, 안변 석왕사(釋王寺)에서 오백나한상(五百羅漢像)의 개금불사(改金佛事)에 증사로 참여하였다. </br>
| |
− | 같은 해에 천장암에서 만공에게 최후의 법문을 한 뒤 갑산(甲山), 강계(江界) 등지에서 박난주(朴蘭州)라고 개명하고 서당의 훈장이 되어 아이들을 가르치다가, 1912년 4월 새벽 임종게를 남긴 뒤 입적하였다. 나이 64세, 법랍 56세였다. </br>
| |
− | ※ 출처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2946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 |
| |
− | [[분류 : 비구스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