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 회룡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 사찰명 : 의정부 회룡사(回龍寺) ''' * ''' 주소 : 경기 의정부시 호원동 산89-2 ''' 경기도 의정부시 도봉산(道峰山) 연봉(蓮峰)에 있는 남...)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사찰명 : 의정부 회룡사(回龍寺) ''' | * ''' 사찰명 : 의정부 회룡사(回龍寺) ''' | ||
* ''' 주소 : 경기 의정부시 호원동 산89-2 ''' | * ''' 주소 : 경기 의정부시 호원동 산89-2 ''' | ||
− | 경기도 의정부시 도봉산(道峰山) 연봉(蓮峰)에 있는 | + | 회룡사는 경기도 의정부시 도봉산(道峰山) 연봉(蓮峰)에 있는 대한민국의 통일신라 시대의 의상스님이 창건한 사찰이다. </br> |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奉先寺)의 말사이다. 681년(신문왕 1) 의상(義湘)이 창건하여 법성사(法性寺)라 하였다. 936년(경순왕 10) 동진국사(洞眞國師)가 중창하였으며, 1070년(문종 24) 혜거국사(慧炬國師)가 삼창하였다. </br> |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奉先寺)의 말사이다. 681년(신문왕 1) 의상(義湘)이 창건하여 법성사(法性寺)라 하였다. 936년(경순왕 10) 동진국사(洞眞國師)가 중창하였으며, 1070년(문종 24) 혜거국사(慧炬國師)가 삼창하였다. </br> | ||
회룡사로 불리게 된 것은 1384년(우왕 10)에 무학(無學)이 중창을 한 뒤이며, 여기에는 이성계(李成桂)와 관련된 설화가 전한다. 1384년 이성계는 무학과 함께 이 절에 와서 3년 동안 창업성취를 위한 기도를 하였는데, 이때 태조는 지금의 석굴암에서, 무학은 산등선 가까이에 있는 무학굴에서 각각 기도를 드렸다고 한다. </br> | 회룡사로 불리게 된 것은 1384년(우왕 10)에 무학(無學)이 중창을 한 뒤이며, 여기에는 이성계(李成桂)와 관련된 설화가 전한다. 1384년 이성계는 무학과 함께 이 절에 와서 3년 동안 창업성취를 위한 기도를 하였는데, 이때 태조는 지금의 석굴암에서, 무학은 산등선 가까이에 있는 무학굴에서 각각 기도를 드렸다고 한다. </br>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 출처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6548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회룡사 | ※ 출처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6548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회룡사 | ||
</br> | </br> | ||
− | * ''' 지도 ''' : [https://map.kakao.com/?q=의정부시_호원동_산89-2 회룡사] | + | * ''' 지도 ''' : [https://map.kakao.com/?q=의정부시_호원동_산89-2 회룡사]</br></br> |
+ | [[분류 : 사찰]] |
2024년 5월 9일 (목) 20:23 기준 최신판
- 사찰명 : 의정부 회룡사(回龍寺)
- 주소 : 경기 의정부시 호원동 산89-2
회룡사는 경기도 의정부시 도봉산(道峰山) 연봉(蓮峰)에 있는 대한민국의 통일신라 시대의 의상스님이 창건한 사찰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奉先寺)의 말사이다. 681년(신문왕 1) 의상(義湘)이 창건하여 법성사(法性寺)라 하였다. 936년(경순왕 10) 동진국사(洞眞國師)가 중창하였으며, 1070년(문종 24) 혜거국사(慧炬國師)가 삼창하였다.
회룡사로 불리게 된 것은 1384년(우왕 10)에 무학(無學)이 중창을 한 뒤이며, 여기에는 이성계(李成桂)와 관련된 설화가 전한다. 1384년 이성계는 무학과 함께 이 절에 와서 3년 동안 창업성취를 위한 기도를 하였는데, 이때 태조는 지금의 석굴암에서, 무학은 산등선 가까이에 있는 무학굴에서 각각 기도를 드렸다고 한다.
그 뒤 이성계가 동북병마사가 되어 요동으로 출전하자, 무학은 홀로 남아 작은 절을 짓고 손수 만든 관세음보살상을 모시고 그의 영달을 축원하였는데, 왕위에 오른 이성계가 이곳으로 무학을 찾아와서 절 이름을 회룡사라 하였다고 한다. 또, 일설에는 1403년(태종 3) 태조가 끈질긴 함흥차사(咸興差使)들의 노력에 의하여 노여움을 풀고 귀경한 뒤, 이 절로 무학을 찾아왔으므로 무학이 회란용가(回鸞龍駕)를 기뻐하여 회룡사라 하였다고도 한다.
1630년(인조 8) 비구니 예순(禮順)이 중건하였고, 이후에도 여러 차례의 중수를 거쳐 오다가 6·25전쟁 때 불탄 것을 1954년부터 비구니 도준(道準)이 중건하였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약사전·삼성각·선실(禪室)·요사채 등이 있다. 문화재로는 대웅전 앞의 오층석탑과 수조(水槽)와 떡돌, 반파된 석탑 등이 있다.
이 중 오층석탑은 이 절의 창건주로 전하는 의상의 사리 1과가 봉안되었다고 전하나, 석탑의 양식으로 보아 신라시대의 작품으로 보기는 어렵다. 높이 3.2m이며,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되고 있다.
부속 암자인 석굴암은 출입구가 절 아래 500m쯤 떨어진 곳에 있는 독립된 암자로서 극락보전(極樂寶殿)과 선방(禪房)·요사채 등을 갖추고 있으며, 이곳에 새겨진 글씨들은 김구(金九)의 휘호이다. 그리고 옛날 무학이 이성계의 창업을 위하여 기도하였던 무학굴은 현재 찾을 수가 없다.
※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회룡사
- 지도 : 회룡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