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문스님(道門, 1942生, 비구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다른 비구니 스님) |
(→참고자료)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indicator name=인명사전>비구니 인명사전</indicator> | <indicator name=인명사전>비구니 인명사전</indicator> | ||
{{인물정보 | {{인물정보 | ||
28번째 줄: | 27번째 줄: | ||
|1955 || 마산여자중학교 졸업 | |1955 || 마산여자중학교 졸업 | ||
|- | |- | ||
− | |1959 || 울산 | + | |1959 || [http://www.seoknamsa.or.kr/ 울산 석남사]에서 [[인홍스님(仁弘, 1908生, 비구니)|인홍스님]]을 은사로 출가, 석남사에서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161062 석암(昔岩)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
|- | |- | ||
− | |1961 || | + | |1961 || [http://www.tongdosa.or.kr/ 통도사]에서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156088 자운(慈雲)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 |
|- | |- | ||
− | |1967 || 충남 개심사 강원 대교과 졸업 | + | |1967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01g1836b 충남 개심사] 강원 대교과 졸업 |
|- | |- | ||
− | |1972 || 내원사, 백흥암, 회룡사, 삼선암 등에서 안거 성만 | + | |1972 || [http://www.naewon.or.kr/ 내원사], 은해사 백흥암,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65487 회룡사], 삼선암 등에서 안거 성만 |
|- | |- | ||
|1986 || 미얀마 마하시 수도원 하안거 성만 | |1986 || 미얀마 마하시 수도원 하안거 성만 | ||
44번째 줄: | 43번째 줄: | ||
|2004 || 석남사 선원 정진 | |2004 || 석남사 선원 정진 | ||
|- | |- | ||
− | |2020 || 전국비구니회 원로회의 제2차 비구니 원로의원으로 추대 | + | |2020 || [https://kbhiksuni.org/ 전국비구니회] 원로회의 제2차 비구니 원로의원으로 추대 |
+ | |- | ||
+ | |2021 || 동화사에서 명사 법계를 품수 | ||
|}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vertical-align:middle; text-align:left; background-color:white; width:64%"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vertical-align:middle; text-align:left; background-color:white; width:64%" | ||
|- | |- | ||
− | + | |문중|| [[법기(法起)문중|법기문중(法起)]] | |
|- | |- | ||
− | |수계제자 || 명진(明珍)·명오(明悟)· 팔공(八功)·정만(淨滿)·일원(一源)·석등(石燈)·공지(空智)·천연(千然)·중관(中觀) 외 | + | |수계제자(『한국비구니명감』)|| 명진(明珍)·명오(明悟)· 팔공(八功)·정만(淨滿)·일원(一源)·석등(石燈)·공지(空智)·천연(千然)·중관(中觀) 외 |
+ | |- | ||
+ | |문중계보(『한국의 비구니문중』) ||부영(扶榮, 6)→심공(心空, 7)→정자(淨慈, 8)→[[인홍스님(仁弘, 1908生, 비구니)|인홍(仁弘, 9)]]→[[도문스님(道門, 1942生, 비구니)|도문(道門, 10)]]→명진(明珍, 11), 명오(明悟, 11), 팔공(八功, 11), 정만(淨滿, 11), 일원(一源, 11), 석등(石燈, 11), 공지(空智, 11), 천연(千然, 11), 중관(中觀, 11), 중본(中本, 11), 중봉(中峰, 11), 지상(智象, 11), 진공(眞空, 11), 진감(眞鑑, 11), 선담(禪潭, 11), 서담(瑞潭, 11), 유강(有康, 11), 혜본(慧本, 11), 혜준(慧準, 11) | ||
|} | |} | ||
57번째 줄: | 60번째 줄: | ||
===출가=== | ===출가=== | ||
[[File:37.도문스님2.jpg|섬네일|사진출처: 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중권. 뜨란출판사, 2007, p. 608]] | [[File:37.도문스님2.jpg|섬네일|사진출처: 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중권. 뜨란출판사, 2007, p. 608]] | ||
− | [[File:37.도문스님3.jpg|섬네일|[중앙종회 의정 활동 중] 사진출처: 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중권. 뜨란출판사, 2007, p. 609]] | + | [[File:37.도문스님3.jpg|섬네일|[중앙종회 의정 활동 중] </br>사진출처: 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중권. 뜨란출판사, 2007, p. 609]] |
+ | |||
도문(道門)스님은 1942년 6월 9일 일본 고베시에서 아버지 조봉환과 어머니 이현경 사이의 1남 4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 본관은 창녕이며, 이름은 조정자이다. | 도문(道門)스님은 1942년 6월 9일 일본 고베시에서 아버지 조봉환과 어머니 이현경 사이의 1남 4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 본관은 창녕이며, 이름은 조정자이다. | ||
스님은 어렸을 때 아버지를 따라 마산 포교당에 들른 적이 있는데, 이때 관응스님의 유마경 법문을 7일간 듣고 아버지가 출가를 적극 권유 하셨다. | 스님은 어렸을 때 아버지를 따라 마산 포교당에 들른 적이 있는데, 이때 관응스님의 유마경 법문을 7일간 듣고 아버지가 출가를 적극 권유 하셨다. | ||
70번째 줄: | 74번째 줄: | ||
===수학과 수행=== | ===수학과 수행=== | ||
− | |||
1960년 4월 2일 석남사에서 자운 큰스님을 계사로 보살계를 수지하고, 다음해인 1961년 양산 통도사에서 자운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를 수지하였다. 그 뒤 충남 개심사 강원에서 5년간 살면서 1967년 1월 21일 대교과를 졸업하였다. | 1960년 4월 2일 석남사에서 자운 큰스님을 계사로 보살계를 수지하고, 다음해인 1961년 양산 통도사에서 자운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를 수지하였다. 그 뒤 충남 개심사 강원에서 5년간 살면서 1967년 1월 21일 대교과를 졸업하였다. | ||
− | |||
도문스님은 개심사에서 사교 때부터 치문반을 가르치다가 청암사로 옮겨 화엄경 경전 공부를 계속하였다. | 도문스님은 개심사에서 사교 때부터 치문반을 가르치다가 청암사로 옮겨 화엄경 경전 공부를 계속하였다. | ||
78번째 줄: | 80번째 줄: | ||
===석남사 주지 역임=== | ===석남사 주지 역임=== | ||
− | |||
1988년부터 1996년까지 8년간 석남사에 주지로 재직하면서 강선당을 증축하고 금당을 개축했으며, 포교당과 유치원을 신축하고 상락료를 증축하는 등 소임을 충실히 살았고, 항상 수행을 철저히 하며 '일일부작(一日不食) 일일불식(一日不作)의 생각으로 이론과 실천이 일치하는 수행을 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 1988년부터 1996년까지 8년간 석남사에 주지로 재직하면서 강선당을 증축하고 금당을 개축했으며, 포교당과 유치원을 신축하고 상락료를 증축하는 등 소임을 충실히 살았고, 항상 수행을 철저히 하며 '일일부작(一日不食) 일일불식(一日不作)의 생각으로 이론과 실천이 일치하는 수행을 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 ||
86번째 줄: | 87번째 줄: | ||
석남사에 들어간 이후 그곳에서 오로지 참선으로 일관한 도문스님은 1998년부터 12대, 13대 중앙종회의원을 역임하였다. | 석남사에 들어간 이후 그곳에서 오로지 참선으로 일관한 도문스님은 1998년부터 12대, 13대 중앙종회의원을 역임하였다. | ||
+ | 스님은 2021년 명사법계를 품수 했다. | ||
스님의 수계제자로는 명진(明珍)·명오(明悟)· 팔공(八功)·정만(淨滿)·일원(一源)·석등(石燈)·공지(空智)·천연(千然)·중관(中觀)스님 등이 있다. | 스님의 수계제자로는 명진(明珍)·명오(明悟)· 팔공(八功)·정만(淨滿)·일원(一源)·석등(石燈)·공지(空智)·천연(千然)·중관(中觀)스님 등이 있다. | ||
==[http://www.seoknamsa.or.kr/www/index.php 울주 석남사]== | ==[http://www.seoknamsa.or.kr/www/index.php 울주 석남사]== | ||
− | [[File:37.도문스님4석남사.jpg|섬네일|[석남사 대웅전] 사진 출처: 문화유산채널 http://www.k-heritage.tv/brd/board/242/L/CATEGORY/337/menu/246?brdType=R&thisPage=83&bbIdx=7697&searchField=&searchText= ]] | + | [[File:37.도문스님4석남사.jpg|섬네일|[석남사 대웅전]</br> 사진 출처: 문화유산채널 http://www.k-heritage.tv/brd/board/242/L/CATEGORY/337/menu/246?brdType=R&thisPage=83&bbIdx=7697&searchField=&searchText= ]] |
99번째 줄: | 101번째 줄: | ||
임진왜란으로 전소된 뒤 1674년(현종 15)에 언양현감 강옹(姜甕)의 시주로 탁령(卓靈)·자운(慈雲)·의철(義哲)·태주(泰珠)가 중창하였고, 진혜(振慧)·쌍원(雙遠)·익의(益儀)·성진(性眞)이 단청을 하였으며, 동시에 종과 북 등의 불구(佛具)를 마련하였다. 이어 정우(淨佑)·각일(覺日)·석맹(碩孟) 등이 극락전·청풍당·청운당·청화당·향각(香閣)을 증축하였고, 희철(熙哲)이 명부전을 세웠다. | 임진왜란으로 전소된 뒤 1674년(현종 15)에 언양현감 강옹(姜甕)의 시주로 탁령(卓靈)·자운(慈雲)·의철(義哲)·태주(泰珠)가 중창하였고, 진혜(振慧)·쌍원(雙遠)·익의(益儀)·성진(性眞)이 단청을 하였으며, 동시에 종과 북 등의 불구(佛具)를 마련하였다. 이어 정우(淨佑)·각일(覺日)·석맹(碩孟) 등이 극락전·청풍당·청운당·청화당·향각(香閣)을 증축하였고, 희철(熙哲)이 명부전을 세웠다. | ||
− | 1803년(순조 3)에는 침허(枕虛)와 수일(守一)이 중수하였고, 1912년에는 우운(友雲)이 중수하였다. 그러나 6·25전쟁 이후에 크게 폐허가 되었던 것을 1957년 비구니 인홍(仁弘) | + | 1803년(순조 3)에는 침허(枕虛)와 수일(守一)이 중수하였고, 1912년에는 우운(友雲)이 중수하였다. 그러나 6·25전쟁 이후에 크게 폐허가 되었던 것을 1957년 비구니 인홍(仁弘)스님이 주지로 부임하면서 크게 증축하였다. 이 때부터 비구니 수도처로서 각광을 받은 이 절에는 항상 100명이 넘는 비구니 스님들이 엄격한 계율을 준수하면서 수도에 정진하고 있다. |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을 중심으로 하여 극락전·설선당(說禪堂)·조사전(祖師殿)·심검당(尋劍堂)·침계루(枕溪樓)·정애루(正愛樓)·종루(鐘樓)·무진료(無盡寮)·대방(大房) 등 30여 동이 있다. |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을 중심으로 하여 극락전·설선당(說禪堂)·조사전(祖師殿)·심검당(尋劍堂)·침계루(枕溪樓)·정애루(正愛樓)·종루(鐘樓)·무진료(無盡寮)·대방(大房) 등 30여 동이 있다. | ||
110번째 줄: | 112번째 줄: | ||
* 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중권. 뜨란출판사, 2007, pp. 606~609. | * 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중권. 뜨란출판사, 2007, pp. 606~609. | ||
* 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명감』. 뜨란출판사, 2007, p.81 . | * 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명감』. 뜨란출판사, 2007, p.81 . | ||
− | * 하춘생. 『한국의 비구니 문중』. 해조음, 2013, p. 164, 373 | + | * 하춘생. 『한국의 비구니 문중』. 해조음, 2013, p. 164, 365, 373. |
* 법보신문, 석남사 특별수도원 지정 가시화 (2004년)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24110 | * 법보신문, 석남사 특별수도원 지정 가시화 (2004년)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24110 | ||
* 현대불교, 스승 살려낸 석남사 스님들 절수행 (2017년) http://www.hyunbu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91703 | * 현대불교, 스승 살려낸 석남사 스님들 절수행 (2017년) http://www.hyunbu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91703 | ||
* 불교저널, "올곧은 수행풍토 조성에 진력" (2013년) http://www.buddhism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8225 | * 불교저널, "올곧은 수행풍토 조성에 진력" (2013년) http://www.buddhism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8225 | ||
* 주간불교, 전국비구니회 원로회의 제2차 비구니 원로의원 새로 추대 (2020년) http://m.bulgyonews.co.kr/news/35846 | * 주간불교, 전국비구니회 원로회의 제2차 비구니 원로의원 새로 추대 (2020년) http://m.bulgyonews.co.kr/news/35846 | ||
+ | * 법보신문, 조계종 비구 66·비구니 16명, 대종사·명사 품서(2021년)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303917 | ||
==시맨틱 데이터== | ==시맨틱 데이터== | ||
132번째 줄: | 135번째 줄: | ||
===릴레이션 데이터=== | ===릴레이션 데이터===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 + | ! 항목1 || 항목2 || 관계 || style="width:300px" | 속성 |
|- | |- | ||
− | | [[도문스님(道門, 1942生, 비구니) | | + | | [[도문스님(道門, 1942生, 비구니)|도문스님(道門)]] || [[법기(法起)문중|법기문중(法起)]] || ~의 일원이다 || |
|- | |- | ||
− | | [[도문스님(道門, 1942生, 비구니) | | + | | [[도문스님(道門, 1942生, 비구니)|도문스님(道門)]] || [[인홍스님(仁弘, 1908生, 비구니)|인홍스님(仁弘)]] || ~의 수계제자이다 || |
|- | |- | ||
− | | [[도문스님(道門, 1942生, 비구니) | | + | | [[도문스님(道門, 1942生, 비구니)|도문스님(道門)]] || [[울산울주 석남사]] || ~에서 출가하다 || |
|- | |- | ||
− | | [[도문스님(道門, 1942生, 비구니) | | + | | [[도문스님(道門, 1942生, 비구니)|도문스님(道門)]] || [[석암혜수(昔巖慧秀)|석암스님(昔巖)]] || ~(으)로부터 계를 받다 || 사미니계 |
|- | |- | ||
− | | [[도문스님(道門, 1942生, 비구니) | | + | | [[도문스님(道門, 1942生, 비구니)|도문스님(道門)]] || [[자운성우(慈雲盛祐)|자운스님(慈雲)]] || ~(으)로부터 계를 받다 || 비구니계 |
|- | |- | ||
− | | [[도문스님(道門, 1942生, 비구니) | | + | | [[도문스님(道門, 1942生, 비구니)|도문스님(道門)]] || [[명사(明師)|명사법계(明師法階)]] || ~을(를) 품수하다 || |
|- | |- | ||
− | | [[도문스님(道門, 1942生, 비구니) | | + | | [[도문스님(道門, 1942生, 비구니)|도문스님(道門)]] || [[울산울주 석남사]] || ~에서 직임을 수행하다 || 주지(감원) |
|- | |- | ||
− | | [[도문스님(道門, 1942生, 비구니) | | + | | [[도문스님(道門, 1942生, 비구니)|도문스님(道門)]] || [[안거]] || ~을(를) 성만하다 || 양산 내원사, 영천 은해사 백흥암, 의정부 회룡사, 합천 해인사 삼선암, 미얀마 마하시 수도원 등 |
|} | |} | ||
154번째 줄: | 157번째 줄: | ||
* '''[http://www.seoknamsa.or.kr/ 석남사]''' :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덕현리 1064 | * '''[http://www.seoknamsa.or.kr/ 석남사]''' :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덕현리 1064 | ||
{{구글지도 | 위도= 35.621218 | 경도=129.032626 | 줌=17}} | {{구글지도 | 위도= 35.621218 | 경도=129.032626 | 줌=17}} | ||
+ | |||
+ | ==다른 비구니 스님== | ||
+ | <poem> | ||
+ | '''☞ [[한국비구니 | 대한민국(한국) 주요 비구니 스님]]''' | ||
+ | '''☞ [[비구니 인물사전 데이터 아카이브|대한민국(한국) 비구니 인물사전 데이터 아카이브]]''' | ||
+ | </poem> | ||
+ | |||
+ | ==지식관계망== | ||
+ | {{SemanticGraph | key=도문스님(道門,_1942生,_비구니)}} | ||
+ | {{AINarrative | key=도문스님(道門,_1942生,_비구니)}} | ||
==주석== | ==주석==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 | [[분류 : 비구니스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4년 9월 18일 (수) 06:18 기준 최신판
도문(道門)스님 | |
---|---|
법명 | 도문(道門) |
법호 | |
속명 | 조정자(曺靜子) |
출생 | 1942.06.09. |
출가 | 1959년 |
입적 | |
사찰 | 석남사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덕현리 1064 |
특이사항 |
목차
정의
도문(道門)스님은 인홍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여 석남사 주지를 역임한 대한민국 비구니 스님이다.
생애
연도 | 내용 |
---|---|
1942 | 일본 고베 출생 |
1955 | 마산여자중학교 졸업 |
1959 | 울산 석남사에서 인홍스님을 은사로 출가, 석남사에서 석암(昔岩)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
1961 | 통도사에서 자운(慈雲)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 |
1967 | 충남 개심사 강원 대교과 졸업 |
1972 | 내원사, 은해사 백흥암, 회룡사, 삼선암 등에서 안거 성만 |
1986 | 미얀마 마하시 수도원 하안거 성만 |
1988~1996 | 석남사 주지 (8년간) 강선당 증축, 금당 개축, 포교당 신축, 유치원 신축, 상락요 증축 |
1998 | 대한불교 조계종 12대 중앙종회의원 |
2004 | 석남사 선원 정진 |
2020 | 전국비구니회 원로회의 제2차 비구니 원로의원으로 추대 |
2021 | 동화사에서 명사 법계를 품수 |
문중 | 법기문중(法起) |
수계제자(『한국비구니명감』) | 명진(明珍)·명오(明悟)· 팔공(八功)·정만(淨滿)·일원(一源)·석등(石燈)·공지(空智)·천연(千然)·중관(中觀) 외 |
문중계보(『한국의 비구니문중』) | 부영(扶榮, 6)→심공(心空, 7)→정자(淨慈, 8)→인홍(仁弘, 9)→도문(道門, 10)→명진(明珍, 11), 명오(明悟, 11), 팔공(八功, 11), 정만(淨滿, 11), 일원(一源, 11), 석등(石燈, 11), 공지(空智, 11), 천연(千然, 11), 중관(中觀, 11), 중본(中本, 11), 중봉(中峰, 11), 지상(智象, 11), 진공(眞空, 11), 진감(眞鑑, 11), 선담(禪潭, 11), 서담(瑞潭, 11), 유강(有康, 11), 혜본(慧本, 11), 혜준(慧準, 11) |
활동 및 공헌
출가
도문(道門)스님은 1942년 6월 9일 일본 고베시에서 아버지 조봉환과 어머니 이현경 사이의 1남 4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 본관은 창녕이며, 이름은 조정자이다. 스님은 어렸을 때 아버지를 따라 마산 포교당에 들른 적이 있는데, 이때 관응스님의 유마경 법문을 7일간 듣고 아버지가 출가를 적극 권유 하셨다.
불심이 돈독한 아버지는 ‘옴마니밧메훔'을 인쇄하여 온 집에 붙여두고 생활하셨다. 아버지의 지극한 불심이 얼마나 컸던지 당시 석남사 절 입구에 ’나무아미타불'을 손수 징으로 쪼아가며 바위에 새기는 불사를 할 정도였다. 뿐만 아니라 정화운동 때 청담 큰스님을 직접 모시고 다니기도 하였고, 그 외 향곡스님, 고암스님, 광덕스님 등 큰스님들께서 스님의 속가에 많이 다녀가셨다. 이런 가정에서 스님의 출가는 너무나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졌다.
1959년 6월 30일 스님은 아버지가 평소 잘 알고 지냈던 인홍스님을 은사로 석남사에서 출가하였다. 그해 9월 30일 석남사에서 인홍스님을 은사로, 석암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를 수계하고, 겨울에 운문사에 방부를 들였다. 은사스님은 도문스님 이후 다른 스님들은 강원에 보내지 않았다. 강원을 가면 참선 정진에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평소의 신념 때문이었다. 인홍스님은 석남사에 선 법문만 있으면 들으러 오라고 도문스님을 매번 부르셨다.
그러나 그 거리가 도보로 장장 40리나 되는 먼 거리인지라 그런 생활을 오래 지속할 수가 없었다. 스님은 어쩔 수 없이 운문사를 그만두고 동학사에 1년 정도 다니다가 강원 공부를 접고 ‘사교입선' 하라는 은사스님의 뜻을 따를 수밖에 없었다. 은사스님은 “곧장 질러서 가는 참선을 놔두고 왜 돌아서 가려 하느냐?”면서 절에도 못오게 하셨다. 그래서 스님은 동학사 공부를 끝마치지 못하였다.
수학과 수행
1960년 4월 2일 석남사에서 자운 큰스님을 계사로 보살계를 수지하고, 다음해인 1961년 양산 통도사에서 자운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를 수지하였다. 그 뒤 충남 개심사 강원에서 5년간 살면서 1967년 1월 21일 대교과를 졸업하였다. 도문스님은 개심사에서 사교 때부터 치문반을 가르치다가 청암사로 옮겨 화엄경 경전 공부를 계속하였다.
1972년 내원사 선방에 입방하여 수선 안거 이래 백흥암, 회룡사, 삼선암 등 제방 선원에서 수행 정진을 거듭하였고, 1986년 미얀마 마하시 수도원에서 하안거를 성만하기도 하였다.
석남사 주지 역임
1988년부터 1996년까지 8년간 석남사에 주지로 재직하면서 강선당을 증축하고 금당을 개축했으며, 포교당과 유치원을 신축하고 상락료를 증축하는 등 소임을 충실히 살았고, 항상 수행을 철저히 하며 '일일부작(一日不食) 일일불식(一日不作)의 생각으로 이론과 실천이 일치하는 수행을 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덕현리 1064번지에 위치한 석남사(石南寺)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5 교구 본사인 통도사의 말사로서 석남산(石南山)이라고도 불리는 가지산(迦智山)에 있는 사찰이다. 이곳은 비구니의 수련 도량이며, 비구니 종립 선원으로 지정되어 더욱 유명하다. 가지산 보림사의 개종자 도의가 헌덕왕 16년 (824년)에 창건하였다고 한다.
여러 차례의 중수를 거쳤으나 6·25전쟁으로 완전 폐허가 된 것을 도문스님의 은사스님이신 인홍스님이 주지로 부임해 재건하였다. 먼저 대웅전, 극락전, 그 밖의 부속 시설을 중수 중창하고 나서 그 다음에 종각, 침계루, 심검당, 무진료, 상락료 등을 신축하여 사찰의 면모를 일신케 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석남사에 들어간 이후 그곳에서 오로지 참선으로 일관한 도문스님은 1998년부터 12대, 13대 중앙종회의원을 역임하였다. 스님은 2021년 명사법계를 품수 했다.
스님의 수계제자로는 명진(明珍)·명오(明悟)· 팔공(八功)·정만(淨滿)·일원(一源)·석등(石燈)·공지(空智)·천연(千然)·중관(中觀)스님 등이 있다.
울주 석남사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인 통도사의 말사이다. 이 절은 824년(헌덕왕 16) 우리 나라에 최초로 선(禪)을 도입한 도의(道義)가 호국기도도량으로 창건한 선찰(禪刹)이다.
창건 당시 화관보탑(華觀寶塔)의 빼어남과 각로자탑(覺路慈塔)의 아름다움이 영남 제일이라고 하여 석남사(碩南寺)라 하였다고 하며, 일설에는 가지산의 별명이 석안산(碩眼山)이기 때문에 석안사라고 하였다고도 한다.
임진왜란으로 전소된 뒤 1674년(현종 15)에 언양현감 강옹(姜甕)의 시주로 탁령(卓靈)·자운(慈雲)·의철(義哲)·태주(泰珠)가 중창하였고, 진혜(振慧)·쌍원(雙遠)·익의(益儀)·성진(性眞)이 단청을 하였으며, 동시에 종과 북 등의 불구(佛具)를 마련하였다. 이어 정우(淨佑)·각일(覺日)·석맹(碩孟) 등이 극락전·청풍당·청운당·청화당·향각(香閣)을 증축하였고, 희철(熙哲)이 명부전을 세웠다.
1803년(순조 3)에는 침허(枕虛)와 수일(守一)이 중수하였고, 1912년에는 우운(友雲)이 중수하였다. 그러나 6·25전쟁 이후에 크게 폐허가 되었던 것을 1957년 비구니 인홍(仁弘)스님이 주지로 부임하면서 크게 증축하였다. 이 때부터 비구니 수도처로서 각광을 받은 이 절에는 항상 100명이 넘는 비구니 스님들이 엄격한 계율을 준수하면서 수도에 정진하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을 중심으로 하여 극락전·설선당(說禪堂)·조사전(祖師殿)·심검당(尋劍堂)·침계루(枕溪樓)·정애루(正愛樓)·종루(鐘樓)·무진료(無盡寮)·대방(大房) 등 30여 동이 있다. 이들 가운데 극락전은 1791년(정조 15)에 세운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문화재로는 도의국사의 사리탑으로 전해지는 보물 제369호의 석남사 팔각원당형부도(石南寺八角圓堂形浮屠)와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2호인 삼층석탑, 조선 초기에 제작된 엄나무구유와 돌구유 등이 있다.
삼층석탑은 824년에 도의가 호국의 염원 아래 15층으로 세운 것이라 하나, 임진왜란 때 파괴되어 방치되어 오다가 1973년 스리랑카의 승려가 사리 1과를 봉안하면서 3층으로 개축한 것이다. 이 밖에도 절 입구에 4기의 부도가 있다.
참고자료
- 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중권. 뜨란출판사, 2007, pp. 606~609.
- 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명감』. 뜨란출판사, 2007, p.81 .
- 하춘생. 『한국의 비구니 문중』. 해조음, 2013, p. 164, 365, 373.
- 법보신문, 석남사 특별수도원 지정 가시화 (2004년)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24110
- 현대불교, 스승 살려낸 석남사 스님들 절수행 (2017년) http://www.hyunbu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91703
- 불교저널, "올곧은 수행풍토 조성에 진력" (2013년) http://www.buddhism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8225
- 주간불교, 전국비구니회 원로회의 제2차 비구니 원로의원 새로 추대 (2020년) http://m.bulgyonews.co.kr/news/35846
- 법보신문, 조계종 비구 66·비구니 16명, 대종사·명사 품서(2021년)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303917
시맨틱 데이터
노드 데이터
식별자 | 범주 | 유형 | 표제 | 한자 | 웹 주소 |
---|---|---|---|---|---|
도문(道門)스님 | 본항목 | 도문스님(道門, 1942~) | 道門 | http://dh.aks.ac.kr/~biguni/wiki/index.php/도문스님(道門,_1942生,_비구니) |
※ 범례
- 범주: 본항목, 문맥항목
- 문맥항목 유형: 승려(비구니), 승려(비구), 인물, 단체, 기관/장소, 사건/행사, 물품/도구, 문헌, 작품, 개념/용어,
릴레이션 데이터
항목1 | 항목2 | 관계 | 속성 |
---|---|---|---|
도문스님(道門) | 법기문중(法起) | ~의 일원이다 | |
도문스님(道門) | 인홍스님(仁弘) | ~의 수계제자이다 | |
도문스님(道門) | 울산울주 석남사 | ~에서 출가하다 | |
도문스님(道門) | 석암스님(昔巖) | ~(으)로부터 계를 받다 | 사미니계 |
도문스님(道門) | 자운스님(慈雲) | ~(으)로부터 계를 받다 | 비구니계 |
도문스님(道門) | 명사법계(明師法階) | ~을(를) 품수하다 | |
도문스님(道門) | 울산울주 석남사 | ~에서 직임을 수행하다 | 주지(감원) |
도문스님(道門) | 안거 | ~을(를) 성만하다 | 양산 내원사, 영천 은해사 백흥암, 의정부 회룡사, 합천 해인사 삼선암, 미얀마 마하시 수도원 등 |
지도
- 석남사 :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덕현리 1064
다른 비구니 스님
지식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