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구니 인명사전

"지행스님(智行, 1941生, 비구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bigun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화장사 주지를 맡아 사찰 면모를 일신하다)
(생애)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9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indicator name=인명사전>비구니 인명사전</indicator>
 
<indicator name=인명사전>비구니 인명사전</indicator>
 
{{인물정보
 
{{인물정보
|표제=지행(智行)스님
+
|표제= 지행(智行)스님
|사진=[[파일:지행스님.png|섬네일]]
+
|사진= 473 지행(智行).jpg
|법명=지행(智行)
+
|법명= '''지행(智行)'''
|속명=임순희(林順姬)
+
|법호=
|본관=나주
+
|속명= 임순희(林順姬)
|출생=1941. 10. 3
+
|출생= 1941.10.03.
|출가=
+
|출가= 1960년
|사찰= 세심사 (충남 아산시 염치읍 산양리 221)
+
|입적=  
 
+
|사찰= '''세심사'''</br>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산양리 220
 +
|특이사항=
 
}}
 
}}
 
+
 
==정의==  
 
==정의==  
  
지행(智行)스님은 1941년 10월 3일 아버지 임동출과 어머니 김해점 사이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나주이며, 이름은 임순희이다. 대한민국의 비구니스님이다.  
+
지행(智行)스님은 세심사에서 법연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여 어린이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포교활동에 전념한 대한민국 비구니 스님이다.
  
 
==생애==
 
==생애==
<pre>
 
1941 충남 당진 출생
 
1960 세심사에서 법연(法蓮)스님을 은사로 출가
 
1962 일현一玄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내원암, 동화사 등 선방에서 20여 안거 성만
 
1963 석암岩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
 
    세심사 주지 취임
 
    룸비니유치원 운영
 
2004 현재 세심사 주지
 
</pre>
 
  
*문 중 : 청해(靑海)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vertical-align: middle; text-align: left; background-color: white; width:64%"
*수행지침 : 어린이 포교
+
|-
*수계제자 : 덕수(德修)·인수·성수·연수
+
!연도 !! 내용
 +
|-
 +
|1941 || 충남 당진 출생
 +
|-
 +
|1960 || 세심사에서 법연(法蓮)스님 을 은사로 출가
 +
|-
 +
|1962 ||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150178 일현(一玄)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
|-
 +
| ||내원암, [http://www.donghwasa.net/ 동화사] 등 선방에서 20여 안거 성만
 +
|-
 +
|1963 ||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161062 석암(昔岩)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
 +
|-
 +
| ||세심사 주지 취임
 +
|-
 +
| ||룸비니유치원 운영
 +
|-
 +
|2004 || 세심사 주지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vertical-align:middle; text-align:left; background-color:white; width:64%"
 +
|-
 +
|문중|| [[청해(靑海)문중|청해문중(靑海)]]
 +
|-
 +
|수행지침|| 어린이 포교
 +
|-
 +
|수계제자(『한국비구니명감』)|| 덕수(德修)· 인수· 성수· 연수
 +
|-
 +
|문중계보(『한국의 비구니문중』) ||지언(智彦, 4)→[[성주스님(性主, 1825生, 비구니)|성주(性主, 5)]]→도삼(道三, 6)→법연(法蓮, 7)→[[지행스님(智行, 1941生, 비구니)|지행(智行, 8)]]→덕수(德修, 9)
 +
|}
  
 
==활동 및 공헌==
 
==활동 및 공헌==
  
 
===출가와 수행===
 
===출가와 수행===
 +
[[File:473-01.jpg|섬네일|[지행스님] </br>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78]]
 +
[[File:473-02.jpg|섬네일|[세심사 대웅전과 다층석탑] </br>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79]]
 +
[[File:지행스님1.jpg|섬네일|[세심사 다층석탑] </br> 사진출처:위키백과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C%82%B0_%EC%84%B8%EC%8B%AC%EC%82%AC_%EB%8B%A4%EC%B8%B5%EC%84%9D%ED%83%91]]
 
지행(智行)스님은 1941년 10월 3일 아버지 임동출과 어머니 김해점 사이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나주이며, 이름은 임순희이다.  
 
지행(智行)스님은 1941년 10월 3일 아버지 임동출과 어머니 김해점 사이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나주이며, 이름은 임순희이다.  
 
1960년 친구와 함께 충남 마곡사 영은암으로 스님이 되겠다고 무작정 찾아간 것이 인연이 되어 충남 아산시 세심사에서 법련(法蓮)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였다.  
 
1960년 친구와 함께 충남 마곡사 영은암으로 스님이 되겠다고 무작정 찾아간 것이 인연이 되어 충남 아산시 세심사에서 법련(法蓮)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였다.  
출가 후 스님은 곧바로 동학사 강원에 들어갔지만 사정이 생겨 세심사로 돌아오게 되었다. 세심사에서 은사스님을 모시고 생활하던 스님은 어느 날 내원사로 가기 위해 무작정 걸망을 지고 나와 군용열차를 타고 부산역에 내렸다. 그때 내원사로 향하는 한 스님을 만나 동행하게 되었다. 내원사에서 그 스님과 함께 정진하며 생활했는데, 아쉽게도 도반스님은 아이를 낳아 키워보고 싶다며 속퇴하였다.  
+
출가 후 스님은 곧바로 동학사 강원에 들어갔지만 사정이 생겨 세심사로 돌아오게 되었다. 세심사에서 은사스님을 모시고 생활하던 스님은 어느 날 내원사로 가기 위해 무작정 걸망을 지고 나와 군용열차를 타고 부산역에 내렸다. 그때 내원사로 향하는 한 스님을 만나 동|행하게 되었다. 내원사에서 그 스님과 함께 정진하며 생활했는데, 아쉽게도 도반스님은 아이를 낳아 키워보고 싶다며 속퇴하였다.  
그 뒤 지행스님은 내원암, 동화사 등 제방의 선방에서 수선 정진을 하며 20안거를 성만하였다.  
+
그 뒤 지행스님은 내원암, 동화사 등 제방의 선방에서 수선 정진을 하며 20안거를 성만하였다.
 
 
  
 
===어린이 포교와 룸비니 유치원 개원===
 
===어린이 포교와 룸비니 유치원 개원===
 
공부를 하려고 단단히 마음을 먹고 있던 스님은 당시 세심사 주지였던 이청우 스님의 간곡한 부탁으로 주지를 맡아 살며 어린이 포교에 힘을 기울여 룸비니 유치원을 개원하였다. 유치원 건물은 신도가 지어서 기증을 하였다. 당시 세심사에는 중·고등부 학생회가 있었는데 유치원을 개원함으로써 장차 청년 포교의 발판을 굳건히 하는 계기가 되었다.  
 
공부를 하려고 단단히 마음을 먹고 있던 스님은 당시 세심사 주지였던 이청우 스님의 간곡한 부탁으로 주지를 맡아 살며 어린이 포교에 힘을 기울여 룸비니 유치원을 개원하였다. 유치원 건물은 신도가 지어서 기증을 하였다. 당시 세심사에는 중·고등부 학생회가 있었는데 유치원을 개원함으로써 장차 청년 포교의 발판을 굳건히 하는 계기가 되었다.  
 
현재 룸비니 유치원은 16회 졸업생을 배출하며 많은 새싹 불자들을 키워냈다. 유치원 법회에는 이곳을 졸업한 아이들부터 초등학교에서 고등학생에 이르는 다양한 연령의 청소년들이 함께 참여하여 법문을 들으며 불심을 키운다. 어릴 때부터 불심을 배우고 키워야 순수한 마음이 변하지 않고 법문도 잘 받아들인다는 스님의 생각은 이렇게 유치원을 통해 현실화되고 있다. 이 아이들이 평생 부처님을 믿고 의지하며 부처님 일을 하고 살았으면 하는 것이 스님의 바람이다.  
 
현재 룸비니 유치원은 16회 졸업생을 배출하며 많은 새싹 불자들을 키워냈다. 유치원 법회에는 이곳을 졸업한 아이들부터 초등학교에서 고등학생에 이르는 다양한 연령의 청소년들이 함께 참여하여 법문을 들으며 불심을 키운다. 어릴 때부터 불심을 배우고 키워야 순수한 마음이 변하지 않고 법문도 잘 받아들인다는 스님의 생각은 이렇게 유치원을 통해 현실화되고 있다. 이 아이들이 평생 부처님을 믿고 의지하며 부처님 일을 하고 살았으면 하는 것이 스님의 바람이다.  
스님은 늘 아이들과 함께 생활해서인지 온몸에 생기가 가득 차 도저히 나이가 믿기지 않을 정도로 젊음을 간직하고 있다.  
+
스님은 늘 아이들과 함께 생활해서인지 온몸에 생기가 가득 차 도저히 나이가 믿기지 않을 정도로 젊음을 간직하고 있다.
 
 
 
 
  
 
===불교대학 개설과 교육포교===  
 
===불교대학 개설과 교육포교===  
53번째 줄: 71번째 줄:
 
지금은 아산 불교의 모든 일을 그곳에서 할 정도로 활성화되었다. 또한 포교대학인 전통불교대학을 개설하여 교수님들 과 큰스님들을 초청하여 법회를 열고, 스님은 초급반과 중급반을 합하여 200여 명의 신도들에게 기초교리를 강의하고 있다.  
 
지금은 아산 불교의 모든 일을 그곳에서 할 정도로 활성화되었다. 또한 포교대학인 전통불교대학을 개설하여 교수님들 과 큰스님들을 초청하여 법회를 열고, 스님은 초급반과 중급반을 합하여 200여 명의 신도들에게 기초교리를 강의하고 있다.  
 
스님은 포교활동을 자원하는 젊은 스님들이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기를 바란다. 젊은 스님들이 직접 현장에서 일을 보고 배워 포교활동이 활성화되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희생정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스님은 포교활동을 자원하는 젊은 스님들이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기를 바란다. 젊은 스님들이 직접 현장에서 일을 보고 배워 포교활동이 활성화되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희생정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예전에 비하면 포교 여건이 훨씬 잘 갖추어져 있는 실정인데도 포교에 임하는 사람이 없어서 문제라며 힘이 부족한 자신을 도와줄 젊은 스님들을 찾고 있다. 바쁜 생활을 하는 지행스님은 하루에 2시간밖에 자지 않는다. 그런 속에서도 신도들에게 세심한 관심을 기울이는 스님을 보고 신도들은 ‘머슴’이란 별명을 붙여줄 정도이다. 부처님 은혜로 살기에 늘 감사하다는 스님은 ‘출가해서 왜 편히 살려고 하는지, 부처님 법을 펴는데 과연 힘을 다하고 있는지’ 한 번쯤 깊이 생각해야 한다며 출가란 편하게 살기 위한 것이 결코 아니라는 점을 강조한다.
+
예전에 비하면 포교 여건이 훨씬 잘 갖추어져 있는 실정인데도 포교에 임하는 사람이 없어서 문제라며 힘이 부족한 자신을 도와줄 젊은 스님들을 찾고 있다. 바쁜 생활을 하는 지행스님은 하루에 2시간밖에 자지 않는다. 그런 속에서도 신도들에게 세심한 관심을 기울이는 스님을 보고 신도들은 ‘머슴’이란 별명을 붙여줄 정도이다. 부처님 은혜로 살기에 늘 감사하다는 스님은 ‘출가해서 왜 편히 살려고 하는지, 부처님 법을 펴는데 과연 힘을 다하고 있는지’ 한 번쯤 깊이 생각해야 한다며 출가란 편하게 살기 위한 것이 결코 아니라는 점을 강조한다.  
 +
 
 +
==세심사==
 +
세심사(洗心寺)는 전통사찰 제61호이며,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로 영인산 기슭에 있는 절로써 백제 때 창건해 654년(신라 선덕여왕 14년) 자장스님이 중창했다고 하지만 입증할 문헌은 아직 찾지 못했다. 1530년(중종25)에 편찬한《신증동국여지승람》과 조선 후기 의《여지도서》《범우고》등에 ´신심사(神心寺)´라는 이름으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 후기까지 꾸준히 명맥을 이어 왔음을 알 수 있다.
 +
1968년 일타와 도견이 절 입구에 있는 ´세심당(洗心堂)´이라는 부도에서 이름을 따와 세심사로 고쳤다.
 +
현존하는 건물은 대웅전을 비롯해 영산전 · 산신각 · 범종각 · 요사채가 있다.
 +
대웅전 안에는 소조아미타좌상이 봉안되어 있고, 불화로는 영산회상후불탱화와 신중탱화가 있다.
 +
신중탱화는 1794년(정조18)에 조성한 것으로 승초·원정·보심·품관·대운 등이 그렸다.
 +
영산전에는 석가삼존불과 16나한상 및 판관상 1위가 봉안되어 있다. 불화로는 영산회상도와 나한도 2점, 독성도 2점 등이 있다.
 +
산신각에는 1935년에 조성한 칠성탱화와 1937년에 조성한 산신탱화가 있으며, 절의 중심부에는 고려시대에 유행하던, 청석으로 만든 9층석탑(충남문화재자료231호)이 있는데, 상륜부가 없으며 1968년 일타와 도견이 옥신(屋身) 등의 새로운 부재를 가미하여 원래의 모습을 잃었다.
 +
부도는 본래 절 입구에 3기가 있었는데 지금은 대웅전에서 영산전으로 오르는 계단 옆에 송매당부도 2기만 있다.
 +
이 밖에 1563년(명종18)에 판각된 부모은중경판과 불교의식집인 청문판 4매가 남아 있다.
 +
* 출처 : 아산시 문화관광 https://www.asan.go.kr/tour/develop/m_tour/?m_mode=view&pds_no=2019111514555772380
 +
 
 +
===아산 세심사 다층석탑===
 +
 
 +
아산 세심사 다층석탑(牙山 洗心寺 多層石塔)은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산양리에 있는 신라의 다층탑이다.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231호로 지정되었다.
 +
 
 +
고려시대에 창건된 세심사는 원래 ‘신심사’였다가 최근에 세심사라 그 이름이 바뀌었다. 절안에 자리하고 있는 이 탑은 3층 기단(基壇) 위로 9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로, 기단은 화강암으로 만들었고 탑신부는 벼루를 만드는 돌인 점판암으로 제작하였다.
 +
 
 +
3층을 이루는 기단은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으며 곳곳에 연꽃무늬를 새겨놓았다. 탑신부는 1층 몸돌만 4단의 널돌로 만들었고, 나머지 여덟 층의 몸돌은 모두 1매의 널돌로 만들었으며, 각 몸돌마다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새겼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2단씩이고, 윗면의 경사가 완만하게 처리되어 있으며, 네 귀퉁이는 들려 있지 않고 깎여 있다. 꼭대기에 놓인 점판암의 머리장식들은 후대에 새로 조각하여 얹어놓은 것이다.
 +
 
 +
전체적으로 돌을 다듬은 수법과 재질의 특수성·조각양식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탑으로 짐작된다. 원래는 탑신의 몸돌이 없어져 기단 위에 지붕돌만이 남아 있었는데, 1956년 일타·도견 두 스님이 현재의 모습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
* 출처: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C%82%B0_%EC%84%B8%EC%8B%AC%EC%82%AC_%EB%8B%A4%EC%B8%B5%EC%84%9D%ED%83%91
  
===활발한 포교를 펼치다===
+
==참고 자료==  
 +
* 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p. 76~79.
 +
* 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명감』. 뜨란출판사, 2007, p. 473.
 +
* 하춘생. 『한국의 비구니 문중』. 해조음, 2013, p. 130, 340.
 +
* 법보신문, 아산 세심사, 소장 ‘부모은중경’ 학술세미나 (2019년)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205825
 +
* 충청일보, 세심사 25일 학술세미나 개최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주제 (2019년) http://www.ccdail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13759
 +
* 유튜브, 마음을 씻어 주는 아산 세심사 (2021년) https://www.youtube.com/watch?v=9ALTS4X6wqs
  
 +
===노드 데이터===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style="width:150px" | 식별자 || 범주 || 유형 || 표제 || 한자 || 웹 주소
 +
|-
 +
| [[지행스님(智行, 1941生, 비구니)| 지행(智行)스님]] || 본항목 ||  || 지행스님(智行, 1941~)|| 智行 || http://dh.aks.ac.kr/~biguni/wiki/index.php/지행(智行,_1941生,_비구니)
 +
|}
  
===필리핀 최초의 비구니 한국사찰 ‘마닐라선원’의 주지를 맡다===
+
===릴레이션 데이터===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항목1 ||  항목2 ||  관계 || style="width:300px" | 속성
 +
|-
 +
| [[지행스님(智行, 1941生, 비구니)|지행스님(智行)]] || [[청해(靑海)문중|청해문중(靑海)]] || ~의 일원이다 ||
 +
|-
 +
| [[지행스님(智行, 1941生, 비구니)|지행스님(智行)]] || [[법연(法蓮)스님|법연스님(法蓮)]] || ~의 수계제자이다 ||
 +
|-
 +
| [[지행스님(智行, 1941生, 비구니)|지행스님(智行)]] || [[아산 세심사]] || ~에서 출가하다 ||
 +
|-
 +
| [[지행스님(智行, 1941生, 비구니)|지행스님(智行)]] || [[취담일현(翠潭一玄)|일현스님(一玄)]] || ~(으)로부터 계를 받다 || 사미니계
 +
|-
 +
| [[지행스님(智行, 1941生, 비구니)|지행스님(智行)]] || [[석암혜수(昔巖慧秀)|석암스님(昔巖)]] || ~(으)로부터 계를 받다 || 비구니계
 +
|-
 +
| [[지행스님(智行, 1941生, 비구니)|지행스님(智行)]] || [[아산 세심사]] || ~에서 직임을 수행하다 || 주지(감원)
 +
|-
 +
| [[지행스님(智行, 1941生, 비구니)|지행스님(智行)]] || [[룸비니유치원]] || ~을(를) 건립하다 ||
 +
|-
 +
| [[지행스님(智行, 1941生, 비구니)|지행스님(智行)]] || [[안거]] || ~을(를) 성만하다 || 대구 동화사 내원암(도학동) 등
 +
|}
  
 +
==지도==
 +
* '''세심사'''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산양리 220
 +
{{구글지도 | 위도= 36.842155 | 경도=126.926914 | 줌=17}}
  
 +
==다른 비구니 스님==
 +
<poem>
 +
  '''☞ [[한국비구니 | 대한민국(한국) 주요 비구니 스님]]'''
 +
  '''☞ [[비구니 인물사전 데이터 아카이브|대한민국(한국) 비구니 인물사전 데이터 아카이브]]'''
 +
</poem>
  
==참고문헌==  
+
==지식관계망==
* 한국비구니연구소 저.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 뜨란출판사, 2007, pp. 413~417.
+
{{SemanticGraph | key=지행스님(智行,_1941生,_비구니)}}
* 한국비구니연구소 저. 『한국비구니명감』. 뜨란출판사, 2007, p. 149.
+
{{AINarrative | key=지행스님(智行,_1941生,_비구니)}}
* 연합뉴스 2011.4.11. 필리핀 마닐라선원 개원 및 점안 대법회 (https://www.yna.co.kr/view/RPR20110411014500353)
 
* 불교신문 주말 건강법회 여는 청주 화장사 2004.09.15.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61441)
 
* 불교신문 가을 청소년문화마당’ 연 청주 화장사 주지 무진스님. 2005. 9. 20.(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68304)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61441)
 
* 청주 화장사 가침박달나무(blog.naver.com›wybshj)
 
* 화장사 홈페이지(https://화장사.com)
 
  
 +
==주석==
 +
<references/>
  
[[분류: 비구니 인명사전]]
+
[[분류 : 비구니스님]]

2024년 9월 18일 (수) 06:41 기준 최신판



정의

지행(智行)스님은 세심사에서 법연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여 어린이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포교활동에 전념한 대한민국 비구니 스님이다.

생애

연도 내용
1941 충남 당진 출생
1960 세심사에서 법연(法蓮)스님 을 은사로 출가
1962 일현(一玄)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내원암, 동화사 등 선방에서 20여 안거 성만
1963 석암(昔岩)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
세심사 주지 취임
룸비니유치원 운영
2004 세심사 주지
문중 청해문중(靑海)
수행지침 어린이 포교
수계제자(『한국비구니명감』) 덕수(德修)· 인수· 성수· 연수
문중계보(『한국의 비구니문중』) 지언(智彦, 4)→성주(性主, 5)→도삼(道三, 6)→법연(法蓮, 7)→지행(智行, 8)→덕수(德修, 9)

활동 및 공헌

출가와 수행

[지행스님]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78
[세심사 대웅전과 다층석탑]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79
[세심사 다층석탑]
사진출처:위키백과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C%82%B0_%EC%84%B8%EC%8B%AC%EC%82%AC_%EB%8B%A4%EC%B8%B5%EC%84%9D%ED%83%91

지행(智行)스님은 1941년 10월 3일 아버지 임동출과 어머니 김해점 사이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나주이며, 이름은 임순희이다. 1960년 친구와 함께 충남 마곡사 영은암으로 스님이 되겠다고 무작정 찾아간 것이 인연이 되어 충남 아산시 세심사에서 법련(法蓮)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였다. 출가 후 스님은 곧바로 동학사 강원에 들어갔지만 사정이 생겨 세심사로 돌아오게 되었다. 세심사에서 은사스님을 모시고 생활하던 스님은 어느 날 내원사로 가기 위해 무작정 걸망을 지고 나와 군용열차를 타고 부산역에 내렸다. 그때 내원사로 향하는 한 스님을 만나 동|행하게 되었다. 내원사에서 그 스님과 함께 정진하며 생활했는데, 아쉽게도 도반스님은 아이를 낳아 키워보고 싶다며 속퇴하였다. 그 뒤 지행스님은 내원암, 동화사 등 제방의 선방에서 수선 정진을 하며 20안거를 성만하였다.

어린이 포교와 룸비니 유치원 개원

공부를 하려고 단단히 마음을 먹고 있던 스님은 당시 세심사 주지였던 이청우 스님의 간곡한 부탁으로 주지를 맡아 살며 어린이 포교에 힘을 기울여 룸비니 유치원을 개원하였다. 유치원 건물은 신도가 지어서 기증을 하였다. 당시 세심사에는 중·고등부 학생회가 있었는데 유치원을 개원함으로써 장차 청년 포교의 발판을 굳건히 하는 계기가 되었다. 현재 룸비니 유치원은 16회 졸업생을 배출하며 많은 새싹 불자들을 키워냈다. 유치원 법회에는 이곳을 졸업한 아이들부터 초등학교에서 고등학생에 이르는 다양한 연령의 청소년들이 함께 참여하여 법문을 들으며 불심을 키운다. 어릴 때부터 불심을 배우고 키워야 순수한 마음이 변하지 않고 법문도 잘 받아들인다는 스님의 생각은 이렇게 유치원을 통해 현실화되고 있다. 이 아이들이 평생 부처님을 믿고 의지하며 부처님 일을 하고 살았으면 하는 것이 스님의 바람이다. 스님은 늘 아이들과 함께 생활해서인지 온몸에 생기가 가득 차 도저히 나이가 믿기지 않을 정도로 젊음을 간직하고 있다.

불교대학 개설과 교육포교

평소 아산에 불교회관이 없는 것을 안타깝게 여기던 스님은 룸비니 유치원을 개원한 뒤 힘을 기울여 회관을 지어 현재 아산불교연합회 사무실로 쓰고 있다. 지금은 아산 불교의 모든 일을 그곳에서 할 정도로 활성화되었다. 또한 포교대학인 전통불교대학을 개설하여 교수님들 과 큰스님들을 초청하여 법회를 열고, 스님은 초급반과 중급반을 합하여 200여 명의 신도들에게 기초교리를 강의하고 있다. 스님은 포교활동을 자원하는 젊은 스님들이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기를 바란다. 젊은 스님들이 직접 현장에서 일을 보고 배워 포교활동이 활성화되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희생정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예전에 비하면 포교 여건이 훨씬 잘 갖추어져 있는 실정인데도 포교에 임하는 사람이 없어서 문제라며 힘이 부족한 자신을 도와줄 젊은 스님들을 찾고 있다. 바쁜 생활을 하는 지행스님은 하루에 2시간밖에 자지 않는다. 그런 속에서도 신도들에게 세심한 관심을 기울이는 스님을 보고 신도들은 ‘머슴’이란 별명을 붙여줄 정도이다. 부처님 은혜로 살기에 늘 감사하다는 스님은 ‘출가해서 왜 편히 살려고 하는지, 부처님 법을 펴는데 과연 힘을 다하고 있는지’ 한 번쯤 깊이 생각해야 한다며 출가란 편하게 살기 위한 것이 결코 아니라는 점을 강조한다.

세심사

세심사(洗心寺)는 전통사찰 제61호이며,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로 영인산 기슭에 있는 절로써 백제 때 창건해 654년(신라 선덕여왕 14년) 자장스님이 중창했다고 하지만 입증할 문헌은 아직 찾지 못했다. 1530년(중종25)에 편찬한《신증동국여지승람》과 조선 후기 의《여지도서》《범우고》등에 ´신심사(神心寺)´라는 이름으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 후기까지 꾸준히 명맥을 이어 왔음을 알 수 있다. 1968년 일타와 도견이 절 입구에 있는 ´세심당(洗心堂)´이라는 부도에서 이름을 따와 세심사로 고쳤다. 현존하는 건물은 대웅전을 비롯해 영산전 · 산신각 · 범종각 · 요사채가 있다. 대웅전 안에는 소조아미타좌상이 봉안되어 있고, 불화로는 영산회상후불탱화와 신중탱화가 있다. 신중탱화는 1794년(정조18)에 조성한 것으로 승초·원정·보심·품관·대운 등이 그렸다. 영산전에는 석가삼존불과 16나한상 및 판관상 1위가 봉안되어 있다. 불화로는 영산회상도와 나한도 2점, 독성도 2점 등이 있다. 산신각에는 1935년에 조성한 칠성탱화와 1937년에 조성한 산신탱화가 있으며, 절의 중심부에는 고려시대에 유행하던, 청석으로 만든 9층석탑(충남문화재자료231호)이 있는데, 상륜부가 없으며 1968년 일타와 도견이 옥신(屋身) 등의 새로운 부재를 가미하여 원래의 모습을 잃었다. 부도는 본래 절 입구에 3기가 있었는데 지금은 대웅전에서 영산전으로 오르는 계단 옆에 송매당부도 2기만 있다. 이 밖에 1563년(명종18)에 판각된 부모은중경판과 불교의식집인 청문판 4매가 남아 있다.

아산 세심사 다층석탑

아산 세심사 다층석탑(牙山 洗心寺 多層石塔)은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산양리에 있는 신라의 다층탑이다.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231호로 지정되었다.

고려시대에 창건된 세심사는 원래 ‘신심사’였다가 최근에 세심사라 그 이름이 바뀌었다. 절안에 자리하고 있는 이 탑은 3층 기단(基壇) 위로 9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로, 기단은 화강암으로 만들었고 탑신부는 벼루를 만드는 돌인 점판암으로 제작하였다.

3층을 이루는 기단은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으며 곳곳에 연꽃무늬를 새겨놓았다. 탑신부는 1층 몸돌만 4단의 널돌로 만들었고, 나머지 여덟 층의 몸돌은 모두 1매의 널돌로 만들었으며, 각 몸돌마다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새겼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2단씩이고, 윗면의 경사가 완만하게 처리되어 있으며, 네 귀퉁이는 들려 있지 않고 깎여 있다. 꼭대기에 놓인 점판암의 머리장식들은 후대에 새로 조각하여 얹어놓은 것이다.

전체적으로 돌을 다듬은 수법과 재질의 특수성·조각양식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탑으로 짐작된다. 원래는 탑신의 몸돌이 없어져 기단 위에 지붕돌만이 남아 있었는데, 1956년 일타·도견 두 스님이 현재의 모습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참고 자료

노드 데이터

식별자 범주 유형 표제 한자 웹 주소
지행(智行)스님 본항목 지행스님(智行, 1941~) 智行 http://dh.aks.ac.kr/~biguni/wiki/index.php/지행(智行,_1941生,_비구니)

릴레이션 데이터

항목1 항목2 관계 속성
지행스님(智行) 청해문중(靑海) ~의 일원이다
지행스님(智行) 법연스님(法蓮) ~의 수계제자이다
지행스님(智行) 아산 세심사 ~에서 출가하다
지행스님(智行) 일현스님(一玄) ~(으)로부터 계를 받다 사미니계
지행스님(智行) 석암스님(昔巖) ~(으)로부터 계를 받다 비구니계
지행스님(智行) 아산 세심사 ~에서 직임을 수행하다 주지(감원)
지행스님(智行) 룸비니유치원 ~을(를) 건립하다
지행스님(智行) 안거 ~을(를) 성만하다 대구 동화사 내원암(도학동) 등

지도

  • 세심사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산양리 220



다른 비구니 스님

지식관계망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