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무량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 사찰명 : 부여 무량사(無量寺) ''' * ''' 주소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116 ''' </br>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麻谷...)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 출처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1899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무량사 </br> | ※ 출처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1899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무량사 </br> | ||
</br> | </br> | ||
− | * ''' 지도 ''' : [https://map.kakao.com/?q=부여군_외산면_만수리_116 무량사] | + | * ''' 지도 ''' : [https://map.kakao.com/?q=부여군_외산면_만수리_116 무량사]</br></br> |
+ | [[분류 : 사찰]] |
2024년 5월 8일 (수) 07:28 판
- 사찰명 : 부여 무량사(無量寺)
- 주소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116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麻谷寺)의 말사로서 여러 차례의 중건, 중수를 거쳤으나 자세한 연대는 전하지 않는다.
다만, 신라 말기의 고승 무염(無染)이 일시 머물렀고, 고려시대에 크게 중창하였으며, 김시습(金時習)이 이 절에서 말년을 보내다가 입적하였고, 조선 중기의 고승 진묵(震默)이 아미타불을 점안하고 나무 열매로 술을 빚어서 마시면서 도도한 시심(詩心)을 펼쳤던 사찰이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무량사극락전(極樂殿)을 비롯하여 산신각(山神閣)·요사채 등이 있다. 보물 제356호로 지정된 극락전에는 동양최대의 불좌상이라 하는 아미타여래삼존상이 봉안되어 있으며, 산신각에는 김시습의 영정이 모셔져 있다.
중요문화재로는 보물 제233호로 지정된 무량사석등과 보물 제185호로 지정된 무량사오층석탑, 절 문 앞에 있는 거대한 당간지주(幢竿支柱), 김시습의 부도 등이 있다. 또한, 김시습이 1493년(성종 24) 이곳에서 죽자 승려들이 그의 영각(影閣)을 절 곁에 짓고 초상을 봉안하였다.
그 뒤 읍의 선비들이 김시습의 풍모와 절개를 사모하여 학궁(學宮) 곁에 사당을 짓고 청일사(淸逸祠)라 이름하고 그 초상을 옮겨 봉안하였다. 이 절에서는 조선시대 상당수의 경판이 간행되었다.
1498년(연산군 4) 『법계성풍수륙승회수재의궤(法界聖風水陸勝會修齋儀軌)』를, 1522년(중종 17) 『몽산화상육도보설(夢山和尙六道普說)』을, 1470년에서 1494년 사이 『지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源經)』을 간행하였다.
※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무량사
- 지도 : 무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