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KCC T0018
테마 이야기
진무공신(振武功臣)은 조선 인조 2년(1624)에 일어난 이괄(李适)의 난(亂)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준 공신호(功臣號)이다. 진무공신 정공신(正功臣) 가운데 정충신(1등), 이수일(2등), 유효걸(2등)과 원종공신(原從功臣) 가운데 임경업은 충청도의 무신이다. 정공신의 경우 왕으로부터 공신의 징표인 공신교서와 공신초상을 받았는데, 정충신, 이수일, 유효걸의 교서와 초상 또한 국가유산으로 현전하고 있다.
AI 스토리텔링
이괄의 난과 충청도의 진무공신
1624년, 이괄의 난이 발발했습니다. 혼란 속에서 충성스러운 신하들은 반란을 진압하기 시작했습니다. 그중에는 충청도의 무신 정충신, 이수일, 유효걸, 임경업이 있었습었다. 이들은 반란을 진압하는 데 큰 공을 세워 진무공신 또는 진무원종공신으로 임명되었습니다. 정충신은 과감하게 반란군에 맞서 싸웠고, 그의 용맹은 인조에 의해 높이 평가되었습니다. 인조는 그에게 공신교서를 하사하며 충성을 인정했습니다. 정충신은 이후 자신의 유품과 함께 정충신사당(진충사)에 모셔졌습니다. 그가 사용하던 갑옷, 사명기, 그리고 영정은 모두 사당에 보관되어 있으며, 그의 위대한 업적을 기리는 증거로 남아있습니다. 이수일 또한 이괄의 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그가 받은 진무공신교서와 초상은 지금 충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충주에 세워진 그의 신도비는 그가 남긴 흔적을 영원히 기억하게 합니다. 유효걸 역시 난을 진압하는 데 공헌했습니다. 인조는 그에게 초상과 교서를 하사하며 그의 충성심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임경업은 이괄의 난 이후 충주 임충민공 충렬사에 모셔졌으며, 그의 초상과 추련도는 그곳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그의 용맹함과 충성은 지금도 많은 이들에게 회자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이괄의 난은 여러 충성스러운 신하들의 활약으로 진압되었고, 그들은 진무공신, 진무원종공신으로 임명되어 역사에 길이 남게 되었습니다.
지식 요소 간 관계
A | B | 관계어 |
---|---|---|
이괄의 난 | 인조 | happenedAt |
진무공신 | 인조 | appointer |
진무원종공신 | 인조 | appointer |
정충신 | 이괄의 난 | suppresses |
이수일 | 이괄의 난 | suppresses |
유효걸 | 이괄의 난 | suppresses |
임경업 | 이괄의 난 | suppresses |
진무공신 | 이괄의 난 | isRelatedTo |
진무원종공신 | 이괄의 난 | isRelatedTo |
진무공신 | 정충신 | appointee |
정충신장군 유품 | 정충신 | isRelatedTo |
정충신 공신교서 | 인조 | grantor |
정충신 공신교서 | 정충신 | recipient |
정충신 | 정충신사당(진충사) | isEnshrinedIn |
정충신장군 유품 | 정충신사당(진충사) | currentLocation |
정충신 갑옷 | 정충신장군 유품 | isPartOf |
정충신 사명기 | 정충신장군 유품 | isPartOf |
정충신 영정 | 정충신장군 유품 | isPartOf |
정충신 영정 | 인조 | grantor |
정충신 영정 | 정충신 | recipient |
진무공신 | 이수일 | appointee |
충주 이수일 신도비 | 이수일 | isSteleOf |
이수일 진무공신교서 및 초상 | 인조 | grantor |
이수일 진무공신교서 및 초상 | 이수일 | recipient |
이수일 진무공신교서 및 초상 | 충주박물관 | currentLocation |
진무공신 | 유효걸 | appointee |
유효걸 초상과 교서 일괄 | 인조 | grantor |
유효걸 초상과 교서 일괄 | 유효걸 | recipient |
진무원종공신 | 임경업 | appointee |
임경업 초상 | 임경업 | depicts |
임경업 초상 | 충주 임충민공 충렬사 | currentLocation |
임경업 | 충주 임충민공 충렬사 | isEnshrinedIn |
임경업 추련도 | 충주 임충민공 충렬사 | currentLocation |
네트워크 그래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