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큐레이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새 문서: =='''디지털 큐레이션''': 데이터 시대의 인문학 공부 방법== ==='디지털 큐레이션(Digital Curation)'이란?=== ☞ 디지털 환경에서 수행하는 자기...) |
(→디지털 큐레이션 교육의 목표) |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디지털 큐레이션 교육의 목표=== | ===디지털 큐레이션 교육의 목표=== | ||
− | + | ☞ ‘의미있는’ 데이터의 세계에서 자신의 흥밋거리를 발견하고, 호기심을 키워가며, 자유롭게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어 가는 능력의 배양 <br/> | |
− | ☞ 미래의 인문학 교육·연구자, 데이터 기반 지식 세계의 큐레이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의 육성 교육. | + | ☞ 미래의 인문학 교육·연구자, 데이터 기반 지식 세계의 큐레이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의 육성 교육. |
===입문 단계의 디지털 큐레이션 교육 과정=== | ===입문 단계의 디지털 큐레이션 교육 과정=== |
2022년 2월 11일 (금) 03:36 기준 최신판
목차
디지털 큐레이션: 데이터 시대의 인문학 공부 방법
'디지털 큐레이션(Digital Curation)'이란?
☞ 디지털 환경에서 수행하는 자기주도적 지식의 탐구와 표현
이성적인 이해나 감성적인 체험의 가치가 있는 대상을 발견했을 때, 그 발견을 홀로 즐기기보다는 다른 이들과 함께 공유하고 공감하는 것을 더 의미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인간의 모든 문화적 활동의 저변에 놓인 사고이다. 큐레이터의 큐레이션이나 인문학자들의 저술 활동은 모두 자신이 얻은 앎과 느낌을 공유하고 확산하고자 하는 노력이라는 점에서 유사하다. 아울러 그 활동들은 단편적인 사물이나 정보를 무차별적으로 나열하기보다는 그 요소들의 연결고리를 만들어 맥락이 있는 이야기를 만듦으로써 잘 이해하고 더 많이 공감하게 하려 하는 공통점이 있다. 다만 그 이야기의 구성 요소가 역사적인 유물이나 미술작품과 같은 유형의 실물 위주인 경우 그 이야기 구성의 행위를 큐레이션이라고 불렀고, 언어로 기술된 정보와 지식으로 이야기를 만드는 경우 ‘저술’이나 ‘강의’ 등의 이름으로 차별화 했을 뿐이다.[1] |
디지털 큐레이션 프로젝트 예시
- AKS Gallery: 기록문화유산 백과사전적 아카이브: 민족기록화
-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데이터 아카이브
- 한양도성 타임머신 데이터 아카이브
디지털 큐레이션 교육
디지털 큐레이션 교육의 목표
☞ ‘의미있는’ 데이터의 세계에서 자신의 흥밋거리를 발견하고, 호기심을 키워가며, 자유롭게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어 가는 능력의 배양
☞ 미래의 인문학 교육·연구자, 데이터 기반 지식 세계의 큐레이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의 육성 교육.
입문 단계의 디지털 큐레이션 교육 과정
- 전통적인 인문학 공부와 내용적으로 상응하는 스몰 데이터(Small Data)의 편찬
- 이것이 다수의 협업 공간에서 빅 데이터(Big Data)로 발전할 수 있게 하는 데이터 모델(온톨로지, Ontology)의 설계
- 데이터로 전환된 인문지식을 시각화여 그 정확성과 명시성을 검증하는 데이터 시각화 기술
- 학술적 이론과 아카이브의 유물, 현장의 활동을 하나의 가상 공간에서 융합하고 감성적으로 체험하게 할 수 있는 하이퍼미디어 응용 기술
디지털 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 온톨로지 설계 교육
- 디지털 콘텐츠로 제작할 대상 자원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균형적으로 조직화하는 능력을 배양
- 온톨로지로 표현할 대상 세계를 깊이 있게 탐구하는 인문 지식 교육
§ 위키 콘텐츠 편찬
- 저작물을 다수의 이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도구로뿐 아니라,
- 각자의 조사·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종합해 가는 협업의 수단으로 위키를 활용하는 능력을 배양.
§ 데이터의 시각화
- 인문 연구의 분야에서 탐구하는 사실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교육
- 온톨로지 설계 과정에서 개체와 개체 사이의 관계성을 파악하고, 그 관계성을 효과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
§ 하이퍼미디어 콘텐츠 제작
- 사진과 동영상, 파노라마 영상, 3D 모델, 전자지도 등 다양한 형식의 콘텐츠를 활용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인문지식 스토리의 문맥을 시각화하는 방법을 교육
우리가 디지털 인문학의 이름으로 하려는 일
- 디지털 인문학은 인문학 탐구 과정에서 지식을 "데이터"로 기술하여 인간 사회의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디지털 인문학의 1차적 관심사는 우리 역사와 문화에 의미 있는 '인간 이야기'가 담긴 '작은 데이터'를 만들고, 작은 이야기가 '빅 데이터'가 될 수 있는 열린 소통 방식을 만드는 것입니다.
- 디지털 큐레이션은 디지털 환경에서 인문학을 공부하는 방법이며, 전통적인 인문학 지식을 디지털 세계에서 소통할 수 있는 "데이터"로 전환하려는 노력입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우리의 인문학 지식은 전통 인문학의 경계를 넘어 포스트 휴면 사회의 다양한 영역에서 의미 있게 활성화될 것입니다.
참고
디지털 인문학 교육 교과목 예시
디지털 인문학 교육 실습을 위한 Open-source curriculum
주)
- ↑ 金炫, 「유교문화 디지털 아카이브를 위한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 세계유교문화박물관 디지털 아카이브 마스터플랜 연구, 2020. 3. 국학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