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KCC T0019"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01번째 줄: | 101번째 줄: | ||
===테마 이야기=== | ===테마 이야기=== | ||
− | [[파일: | + | [[파일: 백일헌이삼장군과_분무공신교서.jpg]] |
− | * 이미지 출처 url: https://archives.ikcc.or.kr/ | + | * 이미지 출처 url: https://archives.ikcc.or.kr/kstudies/22015_A00257_XXX?tab=3&version=1 |
이삼 장군은 이인좌의 난(1782년)을 평정한 공로로 분무공식으로 책봉되었고, 그의 사후에는 ’백일헌‘이라는 호를 하사받았다. <br> | 이삼 장군은 이인좌의 난(1782년)을 평정한 공로로 분무공식으로 책봉되었고, 그의 사후에는 ’백일헌‘이라는 호를 하사받았다. <br> |
2024년 9월 2일 (월) 10:52 판
테마 이야기
이삼 장군은 이인좌의 난(1782년)을 평정한 공로로 분무공식으로 책봉되었고, 그의 사후에는 ’백일헌‘이라는 호를 하사받았다.
<이삼 분무공신교서>는 이삼장군을 분무공신으로 책봉한다는 내용이 적힌 교서로서 당시의 상황을 알 수 있는 대표적인 기록물이다.
또한 그의 문집 <백일헌유집>은 무인이면서도 문인적 소양을 갖춘 그의 성향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AI 스토리텔링
백일헌 이삼 장군과 분무공신교서
이삼 장군은 이인좌의 난을 진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영조로부터 양무공신으로 녹훈되었습니다.
이 공로가 인정받아 지은 백일헌종택은 현재 국가 민속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이삼의 역사적인 기록은 주로 '백일헌유집'에 기록되어 있으며, 그의 양무공신 칭호는 '이삼 양무공신교서' 문서에 상세히 담겨 있습니다.
이삼의 아버지 이사길은 윤선거를 스승으로 모셨고, 이삼은 윤선거의 아들 윤증에게서 학문을 배웠습니다.
이러한 학문적 연결은 이삼 가문의 교육적 전통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지식 요소 간 관계
A | B | 관계어 |
---|---|---|
이사길 | 이삼 | hasSon |
이삼 | 이사길 | hasFather |
이사길 | 윤선거 | hasMaster |
윤선거 | 윤증 | hasSon |
윤증 | 윤선거 | hasFather |
윤선거 | 이삼 | hasDisciple |
이삼 | 윤선 | hasMaster |
백일헌유집 | 이삼 | creator |
백일헌유집 | 이달헌 | editor |
백일헌유집 | 이계철 | contributor |
이달헌 | 이계철 | hasSon |
이인좌 | 이인좌의 난 | leads |
이삼 | 이인좌의 난 | suppresses |
분무녹훈도감의궤 | 양무공신 | documentes |
분무녹훈도감의궤 | 이인좌의 난 | documentes |
양무공신 | 이삼 | Appointee |
양무공신 | 조선 영조 | Appointer |
이삼 양무공신교서 | 조선 영조 | grantor |
이삼 양무공신교서 | 이삼 | recipient |
이삼 양무공신교서 | 상훈문서 | type |
이인좌의 난 | 백일헌유집 | isMentiondIn |
이삼 양무공신교서 | 백일헌유집 | isMentiondIn |
백일헌유집 | 이인좌의 난 | mentions |
백일헌유집 | 이삼 양무공신교서 | mentions |
백일헌유집 | 시문집 | type |
이삼 | 백일헌종택 | livesIn |
이삼 | 백일헌영당 | isEnshrinedIn |
백일헌유집 | IKCC_백일헌유집 | isShownAt |
이삼 양무공신교서 | IKCC_이삼_양무공신교서 | isShownAt |
백일헌종 | (국가민속문화재)논산_백일헌종택 | isDesignatedAs |
네트워크 그래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