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인문학 강의 계획서(강훈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수업 일정 및 내용) |
|||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디지털 인문학 인식== | ==디지털 인문학 인식== | ||
*디지털 인문학의 기본 개념에 대한 설명 / 선행 사례 탐구 | *디지털 인문학의 기본 개념에 대한 설명 / 선행 사례 탐구 | ||
− | * | + | *위키 소프트웨어 사용법 학습 |
+ | *마인드맵 구성을 통한 온톨로지 설계 및 네트워크 그래프 제작 이해 | ||
+ | *팀 구성 및 주제 선정 진행 | ||
+ | |||
+ | ==온톨로지 설계== | ||
+ | *개체 탐색: 선정 주제에 관한 인물, 장소, 사건, 행사, 문헌 및 선행 연구 사례를 조사 | ||
+ | *그래프 제작 전 클래스, 관계성, 노드를 사전 구성 | ||
+ | *네트워크 그래프 제작 실습 | ||
+ | |||
+ | ==콘텐츠 제작 (팀 프로젝트 수행)== | ||
+ | *중심 노드 및 1차 문맥 노드 선정 / 데이터 시각화: 네트워크 그래프 | ||
+ | *중심 노드 및 1차 문맥 노드 위키 콘텐츠 제작 / 현장 답사: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 | ||
+ | *문맥 노드 추가 발굴 및 위키 콘텐츠 제작 | ||
+ | *멀티미디어 콘텐츠 보완 제작 | ||
+ | |||
+ | ==검증 및 평가== | ||
+ | *시맨틱 데이터 검증 - 데이터 시각화: 네트워크 그래프 | ||
+ | *텍스트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 보완 정리 | ||
+ | *인용 및 출처 표시 검토 | ||
+ | *결과물 발표 및 토론 |
2019년 8월 9일 (금) 15:08 판
목차
과목명: 디지털 인문학 콘텐츠 기획 및 제작 실습
교육 목표
- 한국사의 특정 인물 및 사건 등의 주제를 토대로 관련 정보와 지식을 탐색하고 그것을 디지털 콘텐츠로 기획 제작하는 과정을 학습한다.
교육 방법
- 학생들로 하여금 팀을 구성하고 관심 있는 주제를 선정하도록 하여 자체적인 디지털 콘텐츠의 기획안을 작성하도록 한다.
- 위키 소프트웨어와 네트워크 그래프를 사용하여 실제 콘텐츠 제작 과정을 경험케 하고, 이 과정에서 위키 사용법과 온톨로지 설계 및 상호작용적 콘텐츠 제작 능력을 교육한다.
평가 방법
- 조별 과제 결과물의 우수성
- 온톨로지 설계 및 항목 추출의 충실도
- 조별 콘텐츠 전체의 내용
- 기여도 및 개인 저작의 우수성
- 프로젝트 수행에 대한 기여도
- 개인이 작성한 보고서 및 위키 페이지의 충실도
- 콘텐츠 제작을 통해 배양한 인문정보학 지식
기대 효과
- 학생들이 스스로 선호하는 주제를 조사하고 그것을 디지털 콘텐츠로 만들게 함으로써 인문학의 연구와 성과에 대한 성취감을 고양할 수 있다.
- 위키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협업을 통해 공동 저작을 수행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 제작에 수반되는 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수업 일정 및 내용
디지털 인문학 인식
- 디지털 인문학의 기본 개념에 대한 설명 / 선행 사례 탐구
- 위키 소프트웨어 사용법 학습
- 마인드맵 구성을 통한 온톨로지 설계 및 네트워크 그래프 제작 이해
- 팀 구성 및 주제 선정 진행
온톨로지 설계
- 개체 탐색: 선정 주제에 관한 인물, 장소, 사건, 행사, 문헌 및 선행 연구 사례를 조사
- 그래프 제작 전 클래스, 관계성, 노드를 사전 구성
- 네트워크 그래프 제작 실습
콘텐츠 제작 (팀 프로젝트 수행)
- 중심 노드 및 1차 문맥 노드 선정 / 데이터 시각화: 네트워크 그래프
- 중심 노드 및 1차 문맥 노드 위키 콘텐츠 제작 / 현장 답사: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
- 문맥 노드 추가 발굴 및 위키 콘텐츠 제작
- 멀티미디어 콘텐츠 보완 제작
검증 및 평가
- 시맨틱 데이터 검증 - 데이터 시각화: 네트워크 그래프
- 텍스트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 보완 정리
- 인용 및 출처 표시 검토
- 결과물 발표 및 토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