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승징 개별과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주제'''== | =='''주제'''== | ||
+ | 병자호란 | ||
+ | =='''스토리'''== | ||
+ | 정의 | ||
+ | 1636년(인조 14) 12월부터 이듬해 1월에 청나라가 조선에 대한 제2차 침입으로 일어난 전쟁. 병자년에 일어나 정축년에 끝났기 때문에 병정노란(丙丁虜亂)이라 부르기도 한다. | ||
− | + | 경과 | |
+ | 청태종은 몸소 전쟁에 나설 것을 결심하고 1636년 12월 1일에 청군 7만, 몽골군 3만, 한군(漢軍) 2만 등 도합 12만의 대군을 심양에 모아 예친왕(禮親王) 대선(代善), 예친왕(睿親王) 다이곤(多爾袞), 예친왕(豫親王) 다탁(多鐸)과 패륵(貝勒) 악탁(岳託)·호격(豪格)·두도(杜度) 등을 이끌고 다음 날 몸소 조선 침입에 나섰다. | ||
+ | [네이버 지식백과] 병자호란 [丙子胡亂]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 ||
+ | 한편, 남한산성에서는 적의 포위 속에 있으면서 화(和)·전(戰) 양론이 팽팽이 맞서다가 주화론이 우세해 인조의 출성이 목전에 다가오자 예조판서 김상헌과 이조참판 정온이 화의를 반대 자결을 꾀하려다 실패했다. | ||
+ | [네이버 지식백과] 병자호란 [丙子胡亂]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 ||
+ | 드디어 1월 30일 인조는 세자와 함께 호곡(號哭) 소리가 산성 안을 가득히 채운 채 서문으로 출성해 한강 동편 삼전도(三田渡)에서 성하(城下)의 맹(盟)의 예를 행한 뒤 한강을 건너 서울로 돌아왔다. | ||
+ | [네이버 지식백과] 병자호란 [丙子胡亂]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 ||
+ | |||
+ | |||
+ | 결과 | ||
+ | 그리고 인조의 뒤를 이은 봉림대군은 왕위에 오른 뒤 볼모 생활의 굴욕을 되새기며 재야의 인사를 발탁하고 군비를 확장하는 등 북벌의 원대한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그 역시 재위 10년 만에 세상을 떠나자 실천에 옮기지 못했다. | ||
+ | [네이버 지식백과] 병자호란 [丙子胡亂]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f>[네이버 지식백과] 병자호란 [丙子胡亂]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10번째 줄: | 28번째 줄: | ||
===프로젝트명(Project)=== | ===프로젝트명(Project)=== | ||
− | + | 병자호란 | |
===클래스(Class)=== | ===클래스(Class)=== | ||
+ | 사건 | ||
+ | 지명 | ||
+ | 인물 | ||
===관계성(Relation)=== | ===관계성(Relation)=== | ||
− | + | 일으키다 | |
+ | 대항하다 | ||
+ | 피난하다 | ||
+ | 항복하다 | ||
+ | 볼모로_가다 | ||
+ | 빌미를_주다 | ||
+ | 등용하다 | ||
+ | 대립하다 | ||
+ | 낳다 | ||
+ | 미워하다 | ||
+ | 관계하다 | ||
===노드(Nodes)=== | ===노드(Nodes)=== | ||
− | + | 병자호란 사건 병자호란 | |
+ | 남한산성 지명 남한산성 | ||
+ | 삼전도 지명 삼전도 | ||
+ | 최명길 인물 최명길 | ||
+ | 인조 인물 인조 | ||
+ | 김상헌 인물 김상헌 | ||
+ | 누르하치 인물 누르하치 | ||
+ | 정묘호란 사건 정묘호란 | ||
+ | 소현세자 인물 소현세자 | ||
+ | 연경 지명 연경 | ||
=='''멀티미디어'''== | =='''멀티미디어'''== | ||
− | + | [[파일:심학도, 요순우전수심법도(화상회의 배경용).pdf|200px|심학도, 요순우전수심법도]] | |
− | |||
=='''주석'''== | =='''주석'''== |
2022년 2월 11일 (금) 14:20 기준 최신판
목차
주제
병자호란
스토리
정의 1636년(인조 14) 12월부터 이듬해 1월에 청나라가 조선에 대한 제2차 침입으로 일어난 전쟁. 병자년에 일어나 정축년에 끝났기 때문에 병정노란(丙丁虜亂)이라 부르기도 한다.
경과 청태종은 몸소 전쟁에 나설 것을 결심하고 1636년 12월 1일에 청군 7만, 몽골군 3만, 한군(漢軍) 2만 등 도합 12만의 대군을 심양에 모아 예친왕(禮親王) 대선(代善), 예친왕(睿親王) 다이곤(多爾袞), 예친왕(豫親王) 다탁(多鐸)과 패륵(貝勒) 악탁(岳託)·호격(豪格)·두도(杜度) 등을 이끌고 다음 날 몸소 조선 침입에 나섰다. [네이버 지식백과] 병자호란 [丙子胡亂]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편, 남한산성에서는 적의 포위 속에 있으면서 화(和)·전(戰) 양론이 팽팽이 맞서다가 주화론이 우세해 인조의 출성이 목전에 다가오자 예조판서 김상헌과 이조참판 정온이 화의를 반대 자결을 꾀하려다 실패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병자호란 [丙子胡亂]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드디어 1월 30일 인조는 세자와 함께 호곡(號哭) 소리가 산성 안을 가득히 채운 채 서문으로 출성해 한강 동편 삼전도(三田渡)에서 성하(城下)의 맹(盟)의 예를 행한 뒤 한강을 건너 서울로 돌아왔다. [네이버 지식백과] 병자호란 [丙子胡亂]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결과
그리고 인조의 뒤를 이은 봉림대군은 왕위에 오른 뒤 볼모 생활의 굴욕을 되새기며 재야의 인사를 발탁하고 군비를 확장하는 등 북벌의 원대한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그 역시 재위 10년 만에 세상을 떠나자 실천에 옮기지 못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병자호란 [丙子胡亂]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1]
네트워크 그래프=
프로젝트명(Project)
병자호란
클래스(Class)
사건 지명 인물
관계성(Relation)
일으키다 대항하다 피난하다 항복하다 볼모로_가다 빌미를_주다 등용하다 대립하다 낳다 미워하다 관계하다
노드(Nodes)
병자호란 사건 병자호란 남한산성 지명 남한산성 삼전도 지명 삼전도 최명길 인물 최명길 인조 인물 인조 김상헌 인물 김상헌 누르하치 인물 누르하치 정묘호란 사건 정묘호란 소현세자 인물 소현세자 연경 지명 연경
멀티미디어
주석
- ↑ [네이버 지식백과] 병자호란 [丙子胡亂]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