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tive Projects"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Lab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http://dh.aks.ac.kr/~khw/wiki/index.php/%EC%A0%84%ED%86%B5%EB%AC%B8%ED%99%94_%EC%9C%B5%EB%B3%B5%ED%95%A9_%EC%9E%90%EC%9B%90_%EC%8B%9C%EB%A7%A8%ED%8B%B1_%EB%8D%B0%EC%9D%B4%ED%84%B0_%EA%B0%9C%EB%B0%9C_%EC%97%B0%EA%B5%AC 전통문화 융복합 자원 시맨틱 데이터 개발 연구]''' <sub>Research and Development of Semantic Database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sub>==
+
__TOC__
  
<html>
+
=='''2022: [http://dh.aks.ac.kr/~gwangju/wiki 광주 문화예술 인문스토리 플랫폼]'''==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광주광역시에 산재한 문화예술자료와 근현대문화유적(1940년 이후, 역사의 격변기를 살아온 광주 시민들의 생활과 문화의 흔적을 담고 있는 문화재와 미래유산)을 발굴 및 기록하는 '''디지털 데이터 아카이브'''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정보 객체의 개별적인 속성 정보뿐 아나라 객체와 객체 사이의 관계 정보를 데이터로 기록함으로써 대상 정보의 의미적 맥락을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시맨틱(의미 기반) 데이터베이스'''
<iframe width="90%"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25/E02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글과 데이터로 표현되는 정보뿐 아니라 다양한 2D, 3D 어셋을 제공하고, 이를 자유롭게 활용토록 함으로써 새로운 디지털 콘텐츠의 창작을 촉진하는 '''디지털 어셋 공유 플랫폼'''
</html>
+
* 가치와 의미를 지닌 데이터 세계에서 자신의 흥밋거리를 발견하고 호기심을 유발하여 자유롭게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어가도록 하여, 주체적으로 지식 체계를 설계하는 미래세대(디지털 원어민)와 소통 가능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플랫폼'''
  
*전통문화 콘텐츠 창작 및 서비스 플랫폼 기능 향상을 위한 전통문화 융복합 자원 시맨틱 데이터 온톨로지 고도화
 
*전통문화 담론에 자주 등장하는 대표적인 키워드를 핵심 노드로 발굴. 이를 중심으로 관련 지식을 확장한 시맨틱 네트워크 구현
 
*기 구축된 시맨틱 데이터를 토대로 자유롭게 탐색하고 의미를 확장할 수 있는 지능형 질의 응답 시스템 Testbed 구현
 
  
 +
=='''2020-2022: [http://dh.aks.ac.kr/hanyang2/wiki/ 한양도성 타임머신 빅데이터 편찬연구]'''==
  
=='''[http://dh.aks.ac.kr/~heritage/wiki/index.php/%EC%9D%B8%EC%B2%9C%EA%B4%91%EC%97%AD%EC%8B%9C_%EB%AC%B8%ED%99%94%EC%9C%A0%EC%82%B0 인천광역시 문화재 안내판 해설문 작성]'''==
+
문화재청 한양도성 타임머신 사업<ref>‘한양도성 타임머신’ 프로젝트는  대한민국 정부가 추진하는 콘텐츠산업 3대 혁신전략 과제의 일환으로 문화재청에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수행한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개발 사업이다. “한양도성 600년 문화유산을 3D 데이터로 만들고,  그 데이터를 민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형 플랫폼으로 구축하여, 이동통신사·포털·게임사 등이 다양한 가상현실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ref>대상 고건축물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한양도성의 역사와 문화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필요한 지식 정보를 광범위하게 조사·추출하여 데이터화 하고, 데이터 요소 상호간의 관계를 명시적으로 표현함으로써 대상 자료의 내용을 분석·응용·확장할 수 있는 시맨틱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아카이브를 구현하는 것입니다.
  
<center>
+
<references/>
<googlemap width="800" height="600" lat="37.609982" lon="126.555589" type="normal" zoom="10"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37.470007, 126.623305, 인천우체국
 
37.473187, 126.62056, 구)인천일본제1은행지점
 
37.474568, 126.622533, 구)제물포구락부
 
37.472754, 126.621418, 구)일본제58은행지점
 
37.357697, 126.511809, 팔미도등대
 
37.472896, 126.624365, 홍예문
 
37.472866, 126.621053, 구)인천일본제18은행지점
 
37.473985, 126.627477, 내동 성공회성당
 
37.497315, 126.527943, 용궁사 느티나무
 
37.494477, 126.536438, 양주성 금속비
 
37.474136, 126.620078, 청일조계지 경계계단
 
37.473735, 126.631032, 용동 큰우물
 
37.451239, 126.404567, 남북동 조병수가옥
 
37.471356, 126.641079, 인천창영초등학교 (구)교사
 
37.471219, 126.640405, 영화초등학교 본관동
 
37.479343, 126.640673, 송현배수지 제수변실
 
37.438986, 126.687723, 인천도호부청사
 
37.422848, 126.643277, 능허대지
 
37.403511, 126.704962, 논현포대
 
37.447244, 126.76804, 김재로 묘
 
37.414923, 126.729951, 조정만 묘
 
37.46037, 126.769695, 장수동 은행나무
 
37.437686, 126.770179, 이여발 묘
 
37.558333, 126.641667, 류사눌 묘
 
37.511038, 126.662666, 조서강 묘
 
37.629296, 126.657623, 검단 대곡동 지석묘군
 
37.602539, 126.671998, 한백륜 묘역
 
37.603359, 126.708941, 김안정 묘 및 출토 묘비
 
37.7479, 126.485201, 용흥궁
 
37.726417, 126.466819, 충렬사
 
37.770789, 126.511931, 연미정
 
37.752384, 126.485958, 강화유수부 동헌
 
37.752208, 126.485245, 강화유수부 이방청
 
37.688743, 126.321288, 보문사 석실
 
37.773599, 126.297214, 교동향교
 
37.68616, 126.317806, 보문사 마애석불좌상
 
37.746919, 126.477415, 강화 석수문
 
37.601106, 126.488474, 후애돈대
 
37.754059, 126.477711, 강화향교
 
37.704315, 126.359252, 삼암돈대
 
37.590573, 126.461822, 분오리돈대
 
37.737149, 126.410494, 적석사 사적비
 
37.641122, 126.49019, 강화 온수리 성공회 사제관
 
37.641122, 126.49019, 강화 온수리 성공회 성당
 
37.668119, 126.484535, 이규보 묘
 
37.730641, 126.40127, 강화 내가 오상리 고인돌
 
37.689158, 126.321996, 보문사 향나무
 
37.635917, 126.36789, 장곶돈대
 
37.682445, 126.517811, 강화전성
 
37.723325, 126.354209, 계룡돈대
 
37.768751, 126.295713, 교동읍성
 
37.738913, 126.487985, 갑곶나루 선착장 석축로
 
37.682386, 126.475568, 허유전 묘
 
37.659635, 126.432984, 강화 능내리 석실분
 
37.679175, 126.403511, 이건창 묘
 
37.616246, 126.457863, 이건창 생가
 
37.763306, 126.486055, 강화 대산리 지석묘
 
37.764975, 126.424334, 강화 부근리 점골 고인돌
 
37.748305, 126.484929, 김상용 순절비
 
37.685621, 126.392707, 건평돈대
 
37.667108, 126.405884, 굴암돈대
 
37.596009, 126.408012, 미루지돈대
 
37.612343, 126.373361, 북일곶돈대
 
37.709036, 126.514202, 용진진
 
37.773651, 126.436508, 부근리고인돌군
 
37.751304, 126.421502, 삼거리고인돌군
 
37.735299, 126.517918, 강화 통제영학당지
 
37.668633, 126.417378, 정제두 묘
 
37.689192, 126.322047, 보문사 맷돌
 
37.704228, 126.475591, 철종외가
 
37.772094, 126.37749, 원층사지
 
37.638124, 126.388925, 선수돈대
 
37.615789, 126.431566, 참성단 중수비
 
37.643601, 126.244808, 강화 서도 중앙교회
 
37.762964, 126.376311, 무태돈대
 
</googlemap>
 
</center>
 
  
*인천시 시 지정 문화재 안내판 75개의 영문 해설문 문안 정비
+
 
*국문 해설문을 그대로 번역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인 독자의 이해도를 고려하여 영문 해설문 작성
+
=='''2020-2021: [http://dh.aks.ac.kr/~mokpo/wiki/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근대문화자산 아카이브 구축]'''==
*각 문화유산의 기본 정보와 관련 지식, 그리고 해당 문화유산이 지니는 의미와 가치를 체계적으로 기술하고,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영문 해설문을 작성
+
 
*문화재청의 “문화재명칭 영문표기 기준 규칙” 등 문화재 안내판 해설문 작성에 관한 관련 기관의 가이드라인들을 참고하여 전문 용어 등의 표현에 일관성을 유지
+
목포시 근대문화유산의 체계적인 보전을 위해 근대건축자산에 대한 학술조사 및 실측조사를 통해 보존의 토대를 마련하고, 정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해 일원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합니다.
 +
 
 +
목포시 근대문화유산의 물리적 형상 및 지리적 환경과 역사적·문화적 배경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지식 정보 데이터와 이곳에서 살아 왔던 주민들의 이야기를 전하는 스토리텔링 자원을 디지털 콘텐츠로 제작하고 최첨단의 3D 가상현실 기술환경에서 서비스함으로써 목포 근대문화유산에 대한 범국민적인 이해, 국제적인 홍보, 교육·문화적 활용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
 
 +
 
 +
=='''2020-2021: [http://dh.aks.ac.kr/~tutor/wiki/index.php/광화문_현판 동양고전 AI 의미 기반 정보화 및 활용 방안 연구 - 古宮 懸板의 典故 지식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활용 -]'''==
 +
 
 +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 경운궁 등 조선시대의 왕궁에 있는 건축물을 대상으로 그것의 懸板에 담긴 지식을 누구나 쉽게 찾을 수 있는 지식 정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함으로써, 古宮을 관람하는 일반인들의 호기심을 漢文과 東洋古典에 대한 관심으로 연결시킬 수 있게 합니다.
 +
 
 +
 
 +
=='''2020-2021: [http://dh.aks.ac.kr/~metaArchive/wiki 경기도 공공박물관 메타아카이브 구축 연구]'''==
 +
 
 +
4차산업혁명 시대, 비대면 사회의 공공박물관 전시 서비스 혁신을 위해 경기도 지역 공공박물관들이 협력하여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수행하는 연구로서, 경기도 공공박물관 메타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데이터 모델 설계와 교육적 활용 전략 제시를 목표로 합니다.
 +
 
 +
* 공공박물관 메타 아카이브 큐레이션 모델 설계
 +
* 경기도 지역 공공박물관 소장 유물 및 관련 지식의 메타아카이브 구현 시범 콘텐츠 개발
 +
* 경기도 지역 공공박물관 메타아카이브의 교육적 활용 전략 연구
 +
 
 +
 
 +
=='''2020-2021: [http://dh.aks.ac.kr/~aksphoto/wiki 한국문화재 사진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연구]'''==
 +
 
 +
역사학자 장득진 선생이 촬영하여, 한국학중앙연구원에 기증한 “한국문화재 사진” 자료(사진 파일 개수: 약 24만 개, 데이터량: 1.66 TB, 이하 “한국문화재 사진”이라 함)의 내용을 검토하여 체계적인 구조의 디지털 아카이브로 구축함으로써 한국문화 교육·연구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하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콘텐츠와의 연계 서비스가 이루질 수 있게 합니다.
 +
 
 +
 
 +
=='''2015-2021: [http://dh.aks.ac.kr/~heritage/wiki 공공번역 프로젝트 - 문화유산 영문 해설문 편찬 연구]'''==
 +
 
 +
문화유산을 바르게 이해하여 그 내용이 체계적인 데이터로 기술되게 하고, 그 데이터가 올바른 외국어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문화유산 영문 해설문을 편찬합니다.
 +
 
 +
* 단순히 국문 해설문의 문장을 그대로 영어로 번역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인 독자가 한국의 문화유산을 제대로 이해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탐색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합니다.
 +
* 각 문화유산의 기본 정보와 관련 지식, 그리고 해당 문화유산이 지니는 의미와 가치를 체계적으로 기술하고, 전문 용어 등의 표현에 일관성을 유지하며,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영문 해설문을 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023년 9월 13일 (수) 13:27 기준 최신판

2022: 광주 문화예술 인문스토리 플랫폼

  • 광주광역시에 산재한 문화예술자료와 근현대문화유적(1940년 이후, 역사의 격변기를 살아온 광주 시민들의 생활과 문화의 흔적을 담고 있는 문화재와 미래유산)을 발굴 및 기록하는 디지털 데이터 아카이브
  • 정보 객체의 개별적인 속성 정보뿐 아나라 객체와 객체 사이의 관계 정보를 데이터로 기록함으로써 대상 정보의 의미적 맥락을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시맨틱(의미 기반) 데이터베이스
  • 글과 데이터로 표현되는 정보뿐 아니라 다양한 2D, 3D 어셋을 제공하고, 이를 자유롭게 활용토록 함으로써 새로운 디지털 콘텐츠의 창작을 촉진하는 디지털 어셋 공유 플랫폼
  • 가치와 의미를 지닌 데이터 세계에서 자신의 흥밋거리를 발견하고 호기심을 유발하여 자유롭게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어가도록 하여, 주체적으로 지식 체계를 설계하는 미래세대(디지털 원어민)와 소통 가능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플랫폼


2020-2022: 한양도성 타임머신 빅데이터 편찬연구

문화재청 한양도성 타임머신 사업[1]대상 고건축물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한양도성의 역사와 문화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필요한 지식 정보를 광범위하게 조사·추출하여 데이터화 하고, 데이터 요소 상호간의 관계를 명시적으로 표현함으로써 대상 자료의 내용을 분석·응용·확장할 수 있는 시맨틱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아카이브를 구현하는 것입니다.

  1. ‘한양도성 타임머신’ 프로젝트는 대한민국 정부가 추진하는 콘텐츠산업 3대 혁신전략 과제의 일환으로 문화재청에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수행한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개발 사업이다. “한양도성 600년 문화유산을 3D 데이터로 만들고, 그 데이터를 민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형 플랫폼으로 구축하여, 이동통신사·포털·게임사 등이 다양한 가상현실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2020-2021: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근대문화자산 아카이브 구축

목포시 근대문화유산의 체계적인 보전을 위해 근대건축자산에 대한 학술조사 및 실측조사를 통해 보존의 토대를 마련하고, 정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해 일원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합니다.

목포시 근대문화유산의 물리적 형상 및 지리적 환경과 역사적·문화적 배경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지식 정보 데이터와 이곳에서 살아 왔던 주민들의 이야기를 전하는 스토리텔링 자원을 디지털 콘텐츠로 제작하고 최첨단의 3D 가상현실 기술환경에서 서비스함으로써 목포 근대문화유산에 대한 범국민적인 이해, 국제적인 홍보, 교육·문화적 활용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2020-2021: 동양고전 AI 의미 기반 정보화 및 활용 방안 연구 - 古宮 懸板의 典故 지식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활용 -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 경운궁 등 조선시대의 왕궁에 있는 건축물을 대상으로 그것의 懸板에 담긴 지식을 누구나 쉽게 찾을 수 있는 지식 정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함으로써, 古宮을 관람하는 일반인들의 호기심을 漢文과 東洋古典에 대한 관심으로 연결시킬 수 있게 합니다.


2020-2021: 경기도 공공박물관 메타아카이브 구축 연구

4차산업혁명 시대, 비대면 사회의 공공박물관 전시 서비스 혁신을 위해 경기도 지역 공공박물관들이 협력하여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수행하는 연구로서, 경기도 공공박물관 메타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데이터 모델 설계와 교육적 활용 전략 제시를 목표로 합니다.

  • 공공박물관 메타 아카이브 큐레이션 모델 설계
  • 경기도 지역 공공박물관 소장 유물 및 관련 지식의 메타아카이브 구현 시범 콘텐츠 개발
  • 경기도 지역 공공박물관 메타아카이브의 교육적 활용 전략 연구


2020-2021: 한국문화재 사진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연구

역사학자 장득진 선생이 촬영하여, 한국학중앙연구원에 기증한 “한국문화재 사진” 자료(사진 파일 개수: 약 24만 개, 데이터량: 1.66 TB, 이하 “한국문화재 사진”이라 함)의 내용을 검토하여 체계적인 구조의 디지털 아카이브로 구축함으로써 한국문화 교육·연구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하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콘텐츠와의 연계 서비스가 이루질 수 있게 합니다.


2015-2021: 공공번역 프로젝트 - 문화유산 영문 해설문 편찬 연구

문화유산을 바르게 이해하여 그 내용이 체계적인 데이터로 기술되게 하고, 그 데이터가 올바른 외국어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문화유산 영문 해설문을 편찬합니다.

  • 단순히 국문 해설문의 문장을 그대로 영어로 번역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인 독자가 한국의 문화유산을 제대로 이해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탐색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합니다.
  • 각 문화유산의 기본 정보와 관련 지식, 그리고 해당 문화유산이 지니는 의미와 가치를 체계적으로 기술하고, 전문 용어 등의 표현에 일관성을 유지하며,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영문 해설문을 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