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범

DHLab
Tutor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6월 15일 (목) 11:56 판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곤범
한자명칭 壼範
로마자명칭 Gonbeom
영문명칭 A Korean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selected passages from the Classics of exemplary women.
작자 미상
간행시기 18세기후반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3-9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26.1×17.2㎝
판본 필사본
수량 3책
표기문자 한글


정의

유교 경전인 사서삼경(四書三經) 및 『근사록(近思錄)』 등에서 집안의 법도와 부인의 규범이 될 만한 구절을 발췌하여 한글로 번역하고 해설한 책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유교 경전인 사서삼경(四書三經) 및 『근사록(近思錄)』 등에서 집안의 법도와 부인의 규범이 될 만한 구절을 발췌하여 한글로 번역하고 해설한 책이다. 책의 체재는 내편과 외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편은 사서삼경 및 『통서(通書)』, 『심경(心經)』, 『근사록』, 『속근사록(續近思錄)』, 『성리대전(性理大全)』 등에서 교훈적인 내용을 뽑아 엮었고, 외편은 모범이 되는 12명의 여성에 관한 전(傳), 묘지(墓誌), 행장 등을 수록하였다. 이 중 중국 유학자 정이(程頤)와 구양수(歐陽修)가 지은 글이 각각 3편과 1편이고, 송시열의 글이 4편, 김창흡(金昌翕, 1653~1722), 신경(申暻, 1696~?), 윤봉구(尹鳳九, 1683~1767), 김종정(金鍾正, 1722~1787)의 글이 각 1편이다. 청풍김씨(淸風金氏) 김종정의 할머니, 어머니, 아내 3대에 걸친 내용이 수록된 점으로 볼 때 18세기 후반에 편찬한 책으로 추정된다. 장서각 소장 유일본으로 유교의 경전과 송대 성리학자의 저술을 수용하고, 문헌별로 편집했다는 점이 다른 여성 교훈서와 구별되는 특징이다. 서명인 곤범(壼範)의 곤(壼)은 ‘대궐의 안길, 문지방의 안쪽’이라는 뜻으로 왕실여성을 비롯한 부녀자를 대상으로 한 규범서임을 알 수 있다. [1]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내편 곤범 A은 B에 포함된다 18세기 후반
외편 곤범 A은 B에 포함된다 18세기 후반
사서삼경 내편 A은 B에 포함된다
통서 내편 A은 B에 포함된다
심경 내편 A은 B에 포함된다
근사록 내편 A은 B에 포함된다
속근사록 내편 A은 B에 포함된다
성리대전 내편 A은 B에 포함된다
정이의 글 곤범 A은 B에 포함된다
구양수의 글 곤범 A은 B에 포함된다
송시열의 글 곤범 A은 B에 포함된다
김창흡의 글 곤범 A은 B에 포함된다
신경의 글 곤범 A은 B에 포함된다
윤봉구의 글 곤범 A은 B에 포함된다
김종정의 글 곤범 A은 B에 포함된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8세기후반 곤범이 간행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197 127.054387 곤범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83쪽.

참고문헌

  • 단행본
    1. 황문환, 김주필, 박용만, 박재연, 임치균, 『역주 곤범 (자료편)』, 장서각 소장 한글필사본 자료총서 7 ,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2. 황문환, 김주필, 박용만, 박재연, 임치균, 『역주 곤범 (역주편)』, 장서각 소장 한글필사본 자료총서 7 ,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 논문
    1. 류준경, 기획논문 : 여성 문집의 텍스트 문제와 해석 ; 『의유당유고』의 형성배경과 문학사적 가치, 韓國漢文學硏究, Vol.61 No.- [2016], 79-118(40쪽)
    2. 우갑순, 杞園 魚有鳳의 散文世界에 對한 硏究, 학위논문 (석사)-- 경북대학교 대학원 : 한문학과 2008. 8
    3. 김언순, 『壼範』을 통해 본 조선후기 女訓書의 새로운 양상, 장서각, Vol.- No.16 [2006], 159-193(35쪽)
    4. 강혜선, 조선후기 女性 墓主 墓誌銘의 문학성에 대한 연구, 韓國漢文學硏究, Vol.30 No.- [2002], 7-36(30쪽)
    5. 허원기, 『壼範』에 나타난 여성 독서의 양상과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Vol.6 No.- [2003], 231-257(2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