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보
DHLab
금보(金寶) | |
분류 | 인장 |
---|---|
의례 | 책봉(冊封), 존숭(尊崇), 추증(追贈), 청시종묘(請諡宗廟) |
용도 | 국가, 왕실 의식에 사용 |
관련물품 | 옥책(玉冊), 보통(寶筒), 보록(寶盝), 호갑(護匣), 금보채여(金寶彩轝), 금보배안상(金寶排案牀) |
참조물품 | 옥보(玉寶) |
정의
- 국가·왕실 의례에서 사용된 금으로 만든 도장.
사용상황
- 책봉할 때와 존호(尊號)를 올릴 때 사용되었다.
기본정보
- 왕·왕비·왕대비·대왕대비의 도장은 보(寶)라고 높여 부르고, 왕세자·왕세자빈·왕세제·왕세제빈·왕세손·왕세손빈 등의 도장은 인(印)이라고 불렀다.
- 재질에 따라 금보(金寶)와 옥보(玉寶)로 구분되며, 주로 거북 혹은 용이 조각되어 있다.
- 보는 상자에 3중으로 담겨 보관되었다. 가장 안쪽 상자를 보통(寶筒), 보통을 담는 상자를 보록(寶盝), 그리고 마지막 바깥 상자를 호갑(護匣)이라고 하였다.
- 궁중기록화 물품 왕비지보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 중박.png
금보(왕비지보)[1]
- 궁중기록화 물품 금보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하 중박.png
금보[2]
- 궁중기록화 물품 금보 헌종효현왕후가례도감의궤하 중박.png
금보[3]
관련항목
물품 → 물품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금보 | 보통(寶筒) | A는 B에 담긴다 | |
보통(寶筒) | 보록(寶盝) | A는 B에 담긴다 | |
보록(寶盝) | 호갑(護匣) | A는 B에 담긴다 | |
금보 | 금보채여(金寶彩轝) | A는 B로 운반된다 | |
금보 | 금보배안상(金寶排案牀) | A는 B에 올려진다 | |
금보 | 옥책(玉冊) | A는 B와 같이 사용된다 |
물품 → 의궤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금보 |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肅宗仁顯王后嘉禮都監儀軌) | A는 B에 그려져 있다 | 1681년 |
금보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 A는 B에 그려져 있다 | 1759년 |
금보 | 헌종효현왕후가례도감의궤(憲宗孝顯王后嘉禮都監儀軌) | A는 B에 그려져 있다 | 1837년 |
참고문헌
저서
- 국립고궁박물관, 『조선왕실의 어보』, 문화재청, 2010.
- 국립고궁박물관, 『왕의 상징 어보』, 디자인인트로, 2012.
- 여찬영, 김동소, 남권희, 이은규,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Ⅰ-왕실 전례 편-』, 경인문화사, 2012.
-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 차자 표기 연구-규장각 소장 가례 관련 의궤를 중심으로-』, 경인문화사, 2015.
사이트
- 박봉주, '금보(金寶)',
『외규장각 의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이민아, '금보(金寶)',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금보(金寶)',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