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 운문사 석조사천왕상

DHLab
Tutor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6월 15일 (목) 12:22 판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청도 운문사 석조사천왕상
(淸道 雲門寺 石造四天王像)
답사 이후 추가 예정
대표명칭 청도 운문사 석조사천왕상
영문명칭 Stone Reliefs of Four Guardian Kings at Unmunsa Temple, Cheongdo
한자 淸道 雲門寺 石造四天王像
소장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길 264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318호
문화재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분류 유물/불상
소유자 청도 운문사
관리자 청도 운문사
시대 통일신라
수량 4기



정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운문사 작압전(鵲鴨殿) 내부에 있는 석조 사천왕상.[1]

내용

청도 운문사 석조사천왕상은 운문사작압전(鵲鴨殿) 안에 석조여래좌상(雲門寺石造如來坐像) 좌우 2기씩 4개가 배열되어 있으며, 각 석주 1면에 사천왕상을 1구씩 조각하였다.[2] 현재 석조사천왕상이 안치되어 있는 곳은 원래의 위치가 아니고, 이곳에 세워진 벽돌탑의 1층 탑신 몸돌 4면에 모셔져 있던 것으로 보인다.[3] 석조사천왕상은 모두 갑옷을 입고 있으며, 손에는 각각 삼고저, 탑, 불꽃, 칼 등의 무기를 들고 있고[4] 머리 뒷쪽으로 둥근 광채를 띤 채 악귀를 발로 밟고 있다.[5]

석조사천왕상은 불교 세계관에서 우주의 중심에 서 있다고 말하는 수미산(須彌山) 중턱의 동서남북 네 하늘나라를 지키는 사천왕을 표현한 것이다. 사천왕이란 동방 지국천왕(持國天王), 서방 광목천왕(廣目天王), 남방 증장천왕(增長天王), 북방 다문천왕(多聞天王)을 말한다.[6]

사천왕상은 신체의 높이에 비해 체구는 약해 보이고, 얼굴 생김새가 부드러운 것으로 보아 880년에 만들어진 보조선사탑(普照禪師塔) 사천왕상 등 9세기 승려들의 묘탑에 조각되어 사천왕상과 흡사하다. 9세기에 들어와 석탑, 부도, 석등 등에 표현되는 사천왕상의 얼굴은 중국인 또는 한국인의 얼굴과 비슷한데, 운문사사천왕상도 이와 흡사하고 석굴암 사천왕상을 계승한 것으로 보아 9세기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7]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청도 운문사 석조사천왕상 청도 운문사 A는 B에 있다
청도 운문사 석조사천왕상 사천왕 A는 B에 포함된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진관스님, "청도 운문사 석조 사천왕상",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운문사 사천왕 석주(雲門寺四天王石柱)", 『두산백과』online.
  3. "청도 운문사 석조사천왕상",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4. "운문사 사천왕 석주(雲門寺四天王石柱)", 『두산백과』online.
  5. "청도 운문사 석조사천왕상", 문화재정보,『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6. 배재호, "청도 운문사 석조사천왕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7. 진관스님, "청도 운문사 석조 사천왕상",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