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 교열예시

DHLab
Tutor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6월 15일 (목) 12:13 판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동령부 오라산성의 공함
작가 김태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전쟁기념관


개요

고려 공민왕이 원·명 교체기의 공백상태를 이용하여, 고려의 전통적인 북진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동녕부정벌을 일으켰다. 이에따라 이 작품은 1370년 1월에 이성계 지휘하의 고려군이 고구려의 도읍지였던 동녕부(東寧府)[1]. 우라산성(于羅山城)을 함락시키는 장면을 재현한 것이다.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왼편에서 백마를 탄 흰색 갑옷의 장군이 이성계이고, 오른편에 초록색 옷을 입은 사람이 동녕부 동지(東寧府同知) 이오로첩목아(李吾魯帖木兒)로 추정된다. 태조실록에 따르면, 이오로첩목아(李吾魯帖木兒)이성계가 온다는 말을 듣고서 우라산성(亐羅山城)으로 옮겨 그를 막으려 하였다. 그러나 이성계가 야돈촌(也頓村)에 이르자, 이오로첩목아가 와서 도전(挑戰)[2]하다가 "나의 선조(先祖)는 본래 고려 사람입니다. 신복(臣僕)[3]이 되기를 원합니다."라고 말하며 항복하였다고 한다. 그리하여 이오로첩목아는 3백여 호(戶)[4]를 거느리고 항복하였다.[5] 이 작품은 이러한 사건을 묘사하고 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인 오녀산성오녀산의 북쪽과 동쪽에 연결된 가장 높고 험한 800m의 산마루를 중심으로 그 둘레에 축조되어 있다고 한다. 이는 작품의 오른편에 그려진 오녀산성과 작품 뒤쪽에 배치된 높고 낮은 산봉우리의 모습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작품 구도

이 작품은 승자와 패자의 극명한 대립을 보여주고 있다. 대각선으로 나뉘는 화면 상단과 하단의 위치선정, 아래를 내려다보고 위를 올려다보는 시선의 대립, 기세등등한 포즈와 무릎을 꿇은 굴욕적인 포즈의 대립, 정면을 보여주고 있는 아군과 등을 보이고 있는 적군과 같이 전통적이고 도식화된 이분법을 따르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승리라는 메세지를 일차원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6]

참고문헌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년.
  • "동녕부정벌", 『두산백과 온라인 서비스』online, 두산백과. 2017년 04월 04일 확인.
  • "환인오녀산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04일.

주석

  1. 고려 원종(元宗) 11년(1270)에 원나라가 고려 서경(西京)에 설치한 관청이다.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온라인 참조: "동녕부(東寧府)", 사전, 『네이버 국어사전』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25일.
  2. 정면으로 맞서 싸움을 걺.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온라인 참조: "도전(挑戰)", 사전, 『네이버 국어사전』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25일.
  3. 임금을 섬기어 벼슬하는 사람.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온라인 참조: "신복(臣僕)", 사전, 『네이버 국어사전』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25일.
  4. 호적상의 가족으로 구성된 집.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온라인 참조: "호(戶)", 사전, 『네이버 국어사전』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25일.
  5. "태조실록 1권, 총서 47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온라인 서비스』online, 국사편찬위원회. 최종확인: 2017년 04월 04일.
  6.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년, 9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