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재후-여진정벌

DHLab
AKS김지선 (토론) 사용자의 2017년 6월 14일 (수) 04:12 판 (참고문헌)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여진정벌
작가 안재후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전쟁기념관


정의

1107년(예종2) 윤관(尹瓘) 장군의 여진정벌을 담은[1] 안재후 화백의 민족기록화.

설명

작품 소재

해당 작품은 윤관의 지휘하에 출병한 고려 17만 대군이 함흥평야여진족 소굴을 급습하여, 적 5천을 죽이고 5천여 명을 포로로 잡았으며, 350개 부락을 수복하고 동북 9성을 설치한 장면을 재현하였다.
작품 왼편에서 백마를 탄 장군이 윤관으로, 여진족의 부락을 북쪽으로 몰아내고, 윤관의 주위에는 말을 타고 있는 신기군(神騎軍)이 중심이 된 별무반이 그의 지휘를 따르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작품 오른편에는 포로로 잡힌 여진족동북 9성의 성곽을 쌓는 장면이 담겨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함흥평야로, 함흥평야에 위치한 여진족 소굴이 묘사되어 있다. 함흥평야는 북쪽으로는 함경산맥, 서쪽으로는 낭림산맥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이는 작품의 뒤쪽에 그려진 산맥의 모습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작품 구도

전쟁을 소재로 한 대부분의 민족기록화들은 아군과 적군을 선 대 악, 승리 대 패배라는 고정된 틀에 따라 관계를 설정하고 이야기를 풀어가며, 죽음에 대해서도 굴욕적이고 무의미한 적군 병사들의 죽음과 숭고하고 영웅적인 아군 병사와 지도자의 죽음의 대비로만 다루고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은 화면의 전경을 비참하게 살해되어 여기저기 널브러진 여진족의 시체와 살아남은 자들의 고통과 체념으로 채우고 이를 전투로 인해 불타오른 민가와 피폐해진 황량한 들판, 핏빛의 저녁노을과 대비시킴으로써 전쟁의 승리보다는 공포와 비참함, 비인간적인 상황을 표현하고 있다.[2]

그림 읽기

오류: 그림이 잘못되었거나 존재하지 않습니다.

지식 관계망

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안재후 안재후-여진정벌 A는 B를 그렸다 1975년
안재후-여진정벌 윤관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안재후-여진정벌 별무반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안재후-여진정벌 여진정벌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1107년
안재후-여진정벌 여진족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안재후-여진정벌 함흥평야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전쟁기념관 안재후-여진정벌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1998년-현재
국회사무처 안재후-여진정벌 A가 B를 대여하였다 1991년 1월 8일-1992년 1월 7일
윤관 여진정벌 A는 B를 지휘하였다 1107년
윤관 동북 9성 A는 B를 설치하였다 1107년-1108년
동북 9성 척경입비도 A는 B와 관련이 있다
윤관 척경입비도 A는 B와 관련이 있다
윤관 여진족 A는 B를 공격하였다
윤관 별무반 A는 B와 관련이 있다 1104년
별무반 신기군 A는 B를 포함한다
별무반 신보군 A는 B를 포함한다
별무반 항마군 A는 B를 포함한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5년 안재후가 안재후-여진정벌를 제작하였다.
1991년 1월 8일-1992년 1월 7일 국회사무처가 안재후-여진정벌를 대여하였다
1998년-현재 전쟁기념관이 안재후-여진정벌를 소장하고 있다
1104년 윤관이 건의한 별무반이 설치되었다
1107년 윤관여진정벌을 지휘하였다
1107년-1108년 윤관동북 9성을 설치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32103 126.914133 국회사무처가 안재후-여진정벌을 대여하였다
37.532103 126.914133 전쟁기념관이 안재후-여진정벌을 소장하고 있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

갤러리

영상

주석

  1. "기록화 : 여진정벌", e뮤지엄, 『e뮤지엄』online,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기록화 : 여진정벌", e뮤지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년, 93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자원
    • "동녕부정벌, 『두산백과 온라인 서비스』online, 두산백과.
    • "환인오녀산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유용한 정보

  1. "기록화 : 여진정벌", e뮤지엄, 『e뮤지엄』online,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기록화 : 여진정벌", e뮤지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