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조대
DHLab
Monica-jang (토론) 사용자의 2017년 6월 11일 (일) 18:37 판
세조대 | |
한자표기 | 細絛帶 |
---|---|
이칭별칭 | 세조아(細條兒), 사대(絲帶), 조대(條帶) |
복식구분 | 대 |
착용신분 | 황제, 왕,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
착용성별 | 남성 |
관련복식 | 도포, 전복 |
목차
정의
실을 엮어 끈을 짠 것으로 광다회에 비해 얇고 좁으므로 세조대라 한다.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착용상황
도포, 학창의 등 포류를 입을 때 착용한다.
형태
실을 엮어 가늘게 끈을 짠 것으로 끝에 딸기술이나 봉술을 매달아서 마무리를 했는데 주로 도포, 전복 등과 같은 남자 옷 위에 착용하였다.[1]
기타
품계에 따라 색상을 달리 하였는데 『경국대전』에 따르면 1품에서 3품은 홍조아(紅條兒)를, 4품에서 9품은 청조아(紅條兒)를 띠도록 하였다. 또한 『고종실록』 고종 21년(1884)에는 당상관의 띠는 홍색과 자색, 당하관은 청색과 녹색, 유생은 혁대를 사용하도록 한 기록이 있다. 그러나 이 밖에도 수많은 색이 있어 제도를 떠나 자유로이 선택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
세조대 | 왕 | A는 B를 착용하였다 |
세조대 | 왕세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세조대 | 왕세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세조대 | 도포 | A는 B에 착용한다 |
세조대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446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446~44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