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인상

DHLab
Tutor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6월 15일 (목) 12:02 판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독인상(讀印牀)
분류 탁상
의례 가례(嘉禮), 책봉(冊封), 존숭(尊崇)
용도 인(印)을 올려놓음
관련물품 옥인(玉印)
참조물품 흑칠독인상(黑漆讀印床)




정의

  • 왕실 도장인 인(印)을 올려놓고 낭독할 때 사용된 상.

사용상황

  • 책봉(冊封), 존호(尊號)·시호(諡號)·휘호(徽號) 등을 올리는 의식에서 사용되었다.

기본정보

  • 검은색 옻칠을 칠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흑칠독인상(黑漆讀印床)이라고도 부른다.

관련항목

물품 → 물품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독인상 옥인(玉印) A에 B를 올린다

물품 → 의궤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독인상 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景宗端懿王后嘉禮都監儀軌) A는 B에 그려져 있다 1696년
독인상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孝章世子嘉禮都監儀軌) A는 B에 그려져 있다 1727년

참고문헌

저서

  • 여찬영, 김동소, 남권희, 이은규,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Ⅰ-왕실 전례 편-』, 경인문화사, 2012.
  •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 차자 표기 연구-규장각 소장 가례 관련 의궤를 중심으로-』, 경인문화사, 2015.

사이트

주석

  1. 『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景宗端懿王后嘉禮都監儀軌)』
  2.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하(孝章世子嘉禮都監儀軌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