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忠州 淨土寺址 法鏡大師塔碑) |
|
대표명칭 |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Buddhist Monk Beopgyeong at Jeongtosa Temple Site, Chungju |
한자 | 忠州 淨土寺址 法鏡大師塔碑 |
이칭 | 정토사 법경대사 자등탑비 |
주소 |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하천리 177-6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17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찬자 | 최언위(崔彦僞) |
서자 | 구족달(仇足達) |
각자 | 광예(光乂), 장초(壯超), 행총(幸聰), 행초(行超) |
서체 | 해서(楷書) |
승려 | 현휘(玄暉) |
건립연대 | 943년 |
비문 |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문 |
|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정토사지(淨土寺址)에 있는 신라말 고려초의 승려 법경대사 현휘(法鏡大師 玄暉, 879-941)의 탑비.
내용
개요
이 비의 규모는 비신 높이 3.15m, 폭 1.42m로서, 충주댐 건설로 인하여 수몰 대상 지역에 있던 비를 1983년 원래 위치 북동쪽에 현 위치로 옮겼다.[1]
정토사 터에 있는 신라말 고려초의 선사 법경대사 현휘(法鏡大師 玄暉)의 비이다. 941년(태조 24) 63세로 입적하자 태조가 시호를 ‘법경(法鏡)’, 탑 이름을 ‘자등(慈燈)’이라 내리어 943년(태조 26) 법경대사의 공덕을 칭송하는 탑비를 세웠다.[2] 문인 최언위(崔彦撝)가 짓고 제액(題額)은 태조가, 비문은 구족달(仇足達)이 비면에 정간(井間)을 치고 해서(楷書)로 써서 광예(光乂)·장초(壯超)·행총(幸聰)·행초(行超)가 새겨 대사가 입적한 2년 후인 943년(태조 26)에 세웠고 후면은 944년에 썼다.[3]
이 비는 귀부(龜趺), 비신, 이수(螭首)가 완전하게 남아 있는데, 한국전쟁 시 이 지역에서 격전을 치러 빗돌에는 많은 총탄자국이 남게 되었다.[4]
비문은 41행에 1행 89자의 구성으로 된 대형 비이다.[5] 비 앞면에 3,200여 자를 새기고 비 뒷면에 300여 자가 있으나 마모가 심하다.[6]
비문
전면
비문 내용은 법경대사가 전주에서 태어나 출가한 후 당에 건너가 도건(道虔)의 법을 받고 돌아와 태조에 의해 국사 대우를 받고 정토사(淨土寺)에 머물며 이 지역 호족 유권열(劉權說)의 귀의를 받고 활동하다 입적한 사실을 기술하였다.[7]
후면
후면에 도속(道俗)의 많은 사람들을 열거하여 대덕, 대통 등 승려와 좌승, 원보, 원윤, 좌윤, 그리고 지방 자체의 집사부, 병부, 창부 등의 조직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에 원주, 전좌, 사, 직세, 도유나의 확대된 삼강직이 보인다.[8]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충주 정토사지 | A는 B에 있다 | |
태조 |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A는 B의 이름을 지었다 | |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현휘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최언위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구족달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광예, 장초, 행총, 행초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2 - 충북』, 돌배게, 1998. 온라인 참조: "정토사 법경대사 자등탑비", 답사여행의 길잡이12 - 충북,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서동형,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토사법경대사자등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원. - ↑ 한국사전연구사 한국불교미술대전, "정토사법경대사자등탑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정토사법경대사자등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원. - ↑ 서동형,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토사법경대사자등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원. - ↑ "정토사법경대사자등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원.
참고문헌
- 서동형,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2 - 충북』, 돌배게, 1998. 온라인 참조: "정토사 법경대사 자등탑비", 답사여행의 길잡이12 - 충북,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한국사전연구사 한국불교미술대전, "정토사법경대사자등탑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정토사법경대사자등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