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DHLab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
|
대표명칭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
찬자 | 이경석(李景奭), 정두경(鄭斗卿), 이수인(李壽仁) |
서자 | 오준(吳竣) |
서체 | 해서(楷書) |
승려 | 도선(道詵), 수미(守眉) |
전라남도 영암군 도갑사(道岬寺)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인 도선(道詵)과 조선시대의 승려인 수미(守眉)의 행적을 기록한 탑비.[1]
관련정보
node | relation | node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는 -에 있다 | 영암 도갑사(靈巖 道岬寺)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는 -를 위한 비이다 | 도선(道詵)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는 -를 위한 비이다 | 수미(守眉)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는 -가 비문을 지었다 | 이경석(李景奭)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는 -가 비문을 썼다 | 오준(吳竣)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는 -가 비문을 지었다 | 정두경(鄭斗卿) |
왕건(王建) | 은 -에 언급되었다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참고자원
단행본
- 이지관,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조선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9.
- 朝鮮總督府,『朝鮮金石總覽』下, 朝鮮總督府, 1919.
논문
- 김민규, 「〈도선국사·수미선사비〉의 제작 장인과 양식 연구」,『문화재』Vol.48 No.1, 2015, 62-79쪽.
- 박준형, 「나의 첫 탁본(拓本) 여행인 도갑사(道岬寺)의 『월출산도선국사수미대선사비(月出山道詵國師守眉大禪師碑)』와 『수미왕사비(守眉王師碑)』의 탁본(拓本)을 다녀와서…」, 『전라금석문연구』Vol.1, 2003, 5-6쪽.
- 이영숙, 「영암 도갑사 도선·수미비의 조성배경에 대한 고찰」, 『문화사학』No.32, 2009, 173-193쪽.
웹자원
사료 및 자료
사전류
-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 (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학중앙연구원), 도갑사도선수미비
- 디지털영암문화대전, 영암 도갑사 도선 국사·수미 선사비
- 위키백과,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수미선사비
시각자료
갤러리
- 도선수미비01.JPG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 비각
- 도선수미비02.JPG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 안내판
- 도선수미비03.JPG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 제액
- 도선수미비04.JPG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 귀부
- 도선수미비05.JPG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 이수
- 도선수미비06.JPG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 측면
- 도선수미비07.JPG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 뒷면
V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