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백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Lab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잔글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차이 없음)

2017년 6월 15일 (목) 11:57 기준 최신판

청백운
한자명칭 淸白雲
로마자명칭 Cheongbaekun
영문명칭 A full-length novel about a protagonist Dusangsung who lived both a secular an a godly life in the Song dynasty
작자 홍낙술(洪樂述, 1745∼1810)
간행시기 조선 후기 (18세기 말 - 19세기 초)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4-6847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32.7×21.9㎝
판본 필사본
수량 10책
표기문자 한글


정의

중국 송나라를 배경으로 세속의 길과 신선의 길을 모두 걷는 주인공 두쌍성의 내력을 그린 대장편소설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낙선재문고 중 하나이다. 제목인 청백운은 결혼과 입신양명 등 속세에서의 삶 혹은, 인간세계를 나타내는 청운(청운)과 수양과 득도를 위한 삶 혹은, 신선의 세계를 나타내는 백운(백운)을 합친 것이다. 대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명문가의 아들로 태어난 두쌍성은 편모슬하에서 자라다가 도사 진도남의 제자가 된다. 진도남두쌍성의 운명이 세속의 공명을 피할 수 없음을 알고 청운의 길을 권한다. 그는 훌륭한 아내를 얻었지만 여색에 빠지는 등 위기를 겪다 이를 극복하고 일찍 은퇴하여 일가가 한자리에 모여 복록을 누리다가 신선이 되어 세상을 떠난다. 작품의 처음과 끝에 백운의 길을 묘사하여 백운의 길이 청운의 길을 감싸고 있는 구조, 현숙한 정실부인을 모함하고자 다른 여인들이 유비・관우・장비가 도원결의를 맺은 것처럼 결의를 맺는 등 규중의 암투를 '삼국지연의'에서 차용하여 묘사한 점 등이 독특하다. 작가와 창작 연대는 미상이다. [1]

부연설명

주인공 두쌍성은 명문가에서 태어나, 뛰어난 재질을 갖추었으면서도 스스로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에 문제해결은 주인공이 아닌 막후인물 희이 선생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세속과 비세속을 청운(靑雲)백운(白雲)으로 상징하였고, 그 두 세계 사이를 연결하는 초월적 존재로 희이 선생·청녕 도사·묘현을 설정하여, 그들을 매개로 범상한 인물이 비세속으로 옮아가는 것을 결말로 삼았다. 주인공의 적대자로서 등장하는 권력 있는 천자나 간신은 그 의미가 약화되거나 거의 없다. 반면에 두 첩에게 매혹된 주인공 자신의 어리석음이 수난을 자초하게 된 결정적 이유가 된다. 그러나 수난은 부인 호씨에게 집중된다. 이 작품은 불가항력적인 장애보다, 스스로 자초한 장애를 설정함으로써 일상적이고 현실적인 인물의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청백운』은 가문소설적 구조라고 할 수 있는 ‘가문의 확립→가문의 번성’이라는 서사 수순을 따른다. 그러나 세대별로 가문 흥성 과정을 서술하기 보다는 주인공 1인에게 이야기를 집중시킨다. 또, 소설의 끝에 후속세대의 흥성을 중심에 놓기보다 주인공 부부의 복락을 중심에 놓고 있다. 이는 『청백운』이 전대 소설의 전통을 흡수하면서 뚜렷한 작가의식을 통해 새로운 작품을 창작한 결과이다. 『청백운』은 19세기 한문장편소설의 초기 양상을 보여주는 작품으로서 소설사적 의의를 지닌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청백운 낙선재문고 A은 B에 포함된다
두쌍성 청백운 A은 B에 언급된다
두쌍성 부인 호씨 A는 B의 남편이다
진도남 두쌍성 A은 B의 스승이다
청운 청백운 A은 B에 언급된다
백운 청백운 A은 B에 언급된다
청백운 삼국지연의 A은 B와 관련이 있다
희이 선생 청백운 A은 B에 언급된다
청녕 도사 청백운 A은 B에 언급된다
묘현 청백운 A은 B에 언급된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조선 후기 청백운이 간행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197 127.054387 청백운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61쪽.
  2. "청백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인용. 2017년 04월 12일 확인

참고문헌

  • 단행본
    1. 김기동, 「청백운」,『한국고전소설연구』, 교학사, 1981
  • 논문
    1. 전진아, 「『청백운』 연구」,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2007
    2. 조광국, 「『청백운』 한문본 연구: 서지 연구와 서문 분석을 중심으로」, 『고소설연구』18, 2004
    3. 정병욱, 「낙선재문고의 목록 및 해제」, 『국어국문학』44ㆍ45, 1969
    4. 정병욱, 「이조말기소설의 유형적특징」, 『문화비평』1-1, 19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