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 Workshop 20211014 정송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52번째 줄: | 52번째 줄: | ||
<br/> | <br/> | ||
[[파일:Pdf-icon.png|60px|link=http://digerati.aks.ac.kr/DhLab/2021/학위논문중간발표/정송이_중간심사원고.pdf ]] | [[파일:Pdf-icon.png|60px|link=http://digerati.aks.ac.kr/DhLab/2021/학위논문중간발표/정송이_중간심사원고.pdf ]] | ||
− | [ | + | [https://digerati.aks.ac.kr/DhLab/2021/학위논문중간발표/정송이_중간심사원고.pdf 조선시대 도자공예 지식자원을 대상으로 한 박물관 소장품 메타 아카이브 구현(원고)] |
<br/> | <br/> | ||
<br/> | <br/> | ||
[[파일:Pdf-icon.png|60px|link=http://digerati.aks.ac.kr/DhLab/2021/학위논문중간발표/정송이_중간심사ppt.pdf ]] | [[파일:Pdf-icon.png|60px|link=http://digerati.aks.ac.kr/DhLab/2021/학위논문중간발표/정송이_중간심사ppt.pdf ]] | ||
− | [ | + | [https://digerati.aks.ac.kr/DhLab/2021/학위논문중간발표/정송이_중간심사ppt.pdf 조선시대 도자공예 지식자원을 대상으로 한 박물관 소장품 메타 아카이브 구현(ppt)] |
<br/> | <br/> | ||
2024년 3월 15일 (금) 08:42 판
목차
조선시대 도자공예 지식자원을 대상으로 한 박물관 소장품 메타 아카이브 구현
정송이 (인문정보학 석사과정)
연구 개요
연구 목적
조선시대 도자공예에 내포된 인문지식은 조선시대의 전반적인 생활상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지식자원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도자기와 해당 개체와 연계된 지식정보들을 관계망으로 살펴 볼 수 있는 메타 아카이브 구현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세종실록> 세종 29년(1447) 문소전, 휘덕전에 쓰는 은그릇을 백자기로 대신한다는 기록과 백자기의 일반사용을 금한다는 <세조실록> 세조 12년(1466)의 기록은 백자기가 조선왕실의 어용자기로 전용(全用)되는 흐름을 보여준다. 왕실용으로 쓰이게 된 고급 품질의 백자기는 경기도 광주에 설치된 관요들을 중심으로 15세기부터 생산되었다. 백자기가 조선 왕실에서 중요 그릇으로 사용된 것은 여러 문헌기록과 경기도 광주지역 가마터 그리고 가마터 출토 유물을 통하여 확인된다. 위의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조선의 건국과 함께 15세기 백자기가 왕실용 그릇으로 사용된 배경과 관요가 경기도 광주지역에 설치되는 시점 그리고 관요의 이동과정 등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본 연구들은 당시의 국내 정치, 경제, 외교 상황의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즉 음식을 담는 용도로 실생활에서 사용되었던 도자공예는 그 문양과 기형에서 당시 사람들의 미의식, 생활상 더 나아가 한 왕조의 통치 철학이 내포된 물질자료이자 지식정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박물관⦁미술관에서는 완전한 형태의 도자기가 독립적인 진열장이나 진열 공간에 위치한다면, 가마터 출토 도자기 편은 여러 편들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시구성은 전시기법에서의 측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하지만 가마터 출토 도자기 편은 조선시대 왕실용 자기 생산체제와 가마터 운영 방식 및 성격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인문지식의 자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마터 출토 도자기를 연구대상으로 개별 인문지식 간의 의미적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시맨틱 웹의 개념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조선시대 도자공예 메타 아카이브를 구현하고자 한다.
조선시대 도자공예 지식자원 메타 아카이브는 오픈 아카이브(Open Archives) 또는 링크드 오픈 데이터(Linked Open Data)를 구현을 목표로 한다. 오픈 아카이브는 디지털 자원을 개방적으로 교환하여 재이용하는 것이다. 아카이브 기능을 갖는 기관들이 표준적인 메타데이터를 생산하고 공유하면서 이용자는 필요한 데이터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다. 즉 이용자의 관점에서는 모든 디지털 자원이 하나의 아카이브에 수장되어 있는 것 같은 효과를 준다. 링크드 오픈 데이터는 디지털 자원들 서로가 의미를 명시적으로 기술함으로써 인터넷상에 유관한 자원들로 엮인 광대한 의미망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제안이다.
기대 효과 및 활용 방안
조선시대 도자공예 아카이브는 ICOM에서 제정한 LIDO, 유로피아나의 EDM, 한국문화 엔사이브의 EKC에서 추구하는 시맨틱 웹 개념을 기반으로 하였다. 조선시대 도자공예 지식정보를 온톨로지 설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관련 디지털 콘텐츠들과 연계하여 서비스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가장 일반적인 온톨로지 설계 방법을 사용한 EKC 데이터 모델을 적용하여 조선시대 도자공예 지식정보와 기존 디지털 콘텐츠들을 OAI-ORE 모델을 적용한 EDM의 ore:Aggregation 클래스의 구조를 적용하여 연결하였다. 특정 유형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는 조선시대 도자공예 데이터는 장르별 세부사항을 분류한 국립중앙박물관의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과 한국 문화⦁역사 정보라는 특화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한 엔사이브의 EKC 데이터 모델의 구조를 참고하였다. 클래스 간의 연관성을 명시하는 관계 기술 어휘는 기존 데이터 모델의 어휘를 적용하되 조선시대 도자공예 데이터에 적합한 어휘를 생성하기도 하였다.
조선시대 도자공예 메타 아카이브는 박물관 소장품, 유적지의 건물, 조형물 등 물리적인 대상의 형상을 디지털 데이터로 기록할 뿐 아니라, 그 유물이나 유적에 관한 인문지식과 그 지식 정보 속에 포함된 역사적 인물, 장소, 사건, 문헌 등이 웹상에서 상호 참조될 수 있게 하는 디지털 큐레이션 기반의 백과사전적 아카이브를 지향한다.
또한 조선시대 도자공예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네트워크 그래프라는 데이터 시각화 기술을 통해 선행 연구 내용을 총 망라하고, 연구자는 그 과정에서 새로운 사실과 과제를 인식할 수 있다.
연구 논문 목차(논문원고)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대상 및 방법 Ⅱ. 조선시대 도자공예 지식자원과 메타 아카이브 1. 조선시대 도자공예관련 선행 연구 2. 현행 도자공예 디지털 아카이브 검토 3. 메타 아카이브 Ⅲ. 조선시대 도자공예 메타 아카이브 온톨로지 설계 1. 조선시대 도자공예 지식자원 수집 및 정리 2. 대표적인 문화유산 관련 데이터 스키마 3. 조선시대 도자공예 데이터베이스 설계 Ⅳ. 조선시대 도자공예 메타 아카이브 구축과 활용 1. 조선시대 도자공예 데이터베이스 구축 2. 조선시대 도자공예 메타 아카이브 활용 Ⅴ. 맺음말
연구 논문 목차(중간심사용 자료물)
Ⅰ. 조선시대 도자공예 메타 아카이브의 구현 목표 Ⅱ. 조선시대 도자공예 메타 아카이브 설계와 구축 Ⅲ. 조선시대 도자공예 메타 아카이브 활용
발표 자료 (PDF Download)
조선시대 도자공예 지식자원을 대상으로 한 박물관 소장품 메타 아카이브 구현(원고)
조선시대 도자공예 지식자원을 대상으로 한 박물관 소장품 메타 아카이브 구현(ppt)
※ 인문정보학 FTP 서버의 /DhLab/2020/학위논문중간발표 폴더에 pdf 파일(ppt 파일을 pdf 파일로 export)을 저장하고, 위와 같이 호출하면 됩니다.
시맨틱 데이터 구현 예시
- 조선시대 백자 출토지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