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 거돈사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Lab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차이 없음)

2017년 6월 15일 (목) 12:22 기준 최신판


원주 거돈사지
(原州 居頓寺址)
대표명칭 원주 거돈사지
한자 原州 居頓寺址
주소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정산리 189
문화재 지정번호 사적 제168호
문화재 지정일 1968년 12월 19일
관리자 원주시
경내문화재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



정의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정산리에 있는 신라시대의 절터.[1]

내용

거돈사지의 대체적인 윤곽은 1989~1992년에 한림대학교박물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본격적인 발굴조사과정에서 드러났다. 7,500평 넓이의 절터는 건물의 배치와 규모를 잘 알 수 있을 정도로 보존이 잘 되어 있었다. 발굴조사결과, 거돈사는 신라 후기인 9세기경에 창건된 후 고려 초기에 중창돼 대찰의 면모를 갖추었으며, 조선 전기까지 존속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2]1530년에 간행된 《신증동국여지승람》 에서는“거돈사 현계산(玄溪山)에 있다. 고려 최충(崔沖)이 찬술한 중 승묘의 비가 있다.”라는 기록으로 전하고 있다.[3]

거돈사의 창건시기로 추정되는 신라말기는 구산선문이 개창되어 선종의 번성과 함께 지방불교가 중흥하던 시기이다. 이러한 사회변화와 맞물려 고려 초기를 기점으로 남한강 유역에 여주 고달사, 원주 법천사, 원주 흥법사 등을 포함하는 크고 작은 수많은 절들이 지어졌고, 거돈사 또한 그 무렵 중창되고 사세를 확장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4]

거돈사는 비롯한 이런 남한강 유역의 여러 절들처럼 본래는 지방 호족들과 연결된 법안종 계통의 선종가람이었다.[5] 하지만 이후 교학과 천태학을 집대성한 대각국사 의천이 고려의 천태종을 창종했을 때 거돈사는 영암사, 지곡사 등의 5대 교종사찰과 함께 천태종의 기반사원이 되었다고 한다. 고려의 고승 지종 또한 천태학승이었으며, 이곳 거돈사에서 열반을 맞이하였기 때문에 경내에서 탑비를 통해 만나볼 수 있다. 거돈사는 고려 후기에 다시 선종도량이 되어 수행승들이 머물렀으며 지겸 등이 법맥을 이어왔다.[6]

거돈사는 신라말 고려초의 절터로서 보기드문 일탑식 가람이다.절터에는 중문터, 탑, 강당터, 승방터, 회랑 등이 확인되었는데, 금당의 규모는 앞면 5칸, 옆면 3칸으로 2층 건물이었을 것으로 보인다.경내 문화재로는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이 있고,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의 경우 일제시대에 반출됐는데, 광복 후 되찾아와 현재 서울 용산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다. 거돈사지에는 원주시가 국·도·시비 2억원을 들여 중요무형문화재 120호 석장 이재순 씨에게 의뢰해 제작한 재현품이 세워져 있다.[7]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원주 거돈사지 A는 B에 있다
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 원주 거돈사지 A는 B에 있다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있다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지종 A는 B를 위한 비이다
지종 원주 거돈사지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지겸 원주 거돈사지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최충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1025년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김거웅 A는 B가 비문을 썼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018년 지종원주 거돈사에서 열반을 맞이했다.
1025년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가 건립되어 최충이 비문을 짓고 김거웅이 글씨를 썼다.
1948년 일본인 집에 있던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이 경복궁으로 옮겨졌다.
1968년 원주 거돈사지가 문화재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1984년 원주 거돈사지에 대한 정비공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1989년 한림대학교박물관을 중심으로 원주 거돈사지에 대한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박상국, "거돈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거돈사지",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3. 홍대한, "잃어버린 가람 터를 찾아 4 - 조운선(漕運船), 뱃노래 소리 드높던 거돈사", 『월간 불광』, 불교문화산책 94, 384쪽.
  4. 한국문화유산답사회, "거돈사터, 『답사여행 길잡이7- 경기남부와 남한강』, 돌배게, 2012. 온라인 참조: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5. 김봉렬, "원주 거돈사터", 『한국미의 재발견 - 불교건축』, 솔출판사, 2004. 온라인 참조: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6. 한국문화유산답사회, "거돈사터, 『답사여행 길잡이7- 경기남부와 남한강』, 돌배게, 2012. 온라인 참조: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7. 이강식, "원주 거돈사지", 『금강신문』, 2011년 2월 18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