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창(기록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
|
(차이 없음)
|
2017년 6월 15일 (목) 12:13 기준 최신판
김기창 [1] | |
한자명 | 金基昶 |
---|---|
영문명 | Kim Ki Chang |
출생 - 사망 | 1913.02.18-2001.01.23 |
출생지 | 서울 |
국적 | 대한민국 |
분야 | 동양화가 |
작가소개
1913년 서울에서 출생했다. 8세에 승동보통학교에 입학한 후 병으로 청각을 상실했고 언어장애를 얻었다.1930년 이당 김은호의 화숙인 이묵헌(以墨軒)에 들어가 그림을 배우기 시작했다. 1931년 제10회 조선미술전람회에 출품해 첫 입선을 했고, 1937년부터 1940년까지 4년 연속 특선을 해 추천작가가 되었다. 조선미술전람회 추천작가라는 위치와 김은호의 후원에 힘입어 일제강점기 유명 작가로 성장했다. 추천작가가 된 후 일제 군국주의에 동조하고 총독부 전시체제와 문예정책에 반복적으로 협조하기 시작했다. 1942년 친일미술전인 '반도총후미술전', '조선남화연맹전', '애국백인일수전람회' 등에 일제 군국주의를 찬양하는 작품을 출품했다. 또 강제 징집을 고무하는 시화 연재물 「님의 부르심을 받고」의 삽화를 그리는 등 적극적인 친일행위를 펼쳐 『친일인명사전』(2009)에 포함되었다.
해방 이후 1946년 5월 「해방과 동양화의 진로」, 12월 「미술운동과 대중화문제」 등의 글을 발표하며 동양화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1950년대에는 동양화가 추상 예술의 풍조를 따라 시대성에 발맞춰 전진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김영기와 함께 ‘현대동양화’ 운동을 주창했다. 1946년 한국화가인 우향 박내현과 결혼했고 다음 해 제1회 '우향-운보 부부전'을 개최했다. 이 전시회는 한국 미술계 최초의 부부전이었으며 1971년 제17회전까지 꾸준히 이어졌다. 특히 하와이 호놀룰루 동서문화교류센터와 뉴욕 동남아시아 박물관의 초청으로 개최한 부부전은 해외미술시찰의 계기가 되었다. 홍익대와 수도여자사대 교수로 후진 양성에도 힘을 기울였고, 김은호 제자들의 모임인 후소회 회장직을 역임하기도 했다. 1957년에는 당시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 비판적이었던 작가들과 함께 새로운 동양화 모색을 주창하며 백양회를 결성하였다.
일제강점기 김기창의 작품은 김은호의 화풍을 충실하게 수용한 채색인물화였다. 그러나 1950년대에 들어서면서 부인 박내현과 함께 서양 입체주의의 영향을 보여주는 실험적인 작품을 제작했다. 1960년대 중반 이후에는 완전한 추상화 단계에 접어들었는데 1967년 상파울루 비엔날레 한국대표로 미국과 멕시코 등을 시찰한 후 다시 작품에 변화를 보였다. 당시 그의 작품들은 강렬한 필선과 적색, 황색이 두드러졌으며 1970년대의 청록산수 연작과 바보산수, 민화풍의 화조화 등으로 이어졌다. 또한 1973년부터 세종대왕, 김정호, 을지문덕 등 역사적 위인들의 영정 제작을 담당했다. 청각장애우들을 위한 활동도 활발하게 펼쳤는데 1979년 한국농아복지회를 창설해 초대회장에 취임했고, 1984년에는 서울 역삼동에 청각장애인을 위한 복지센터인 청음회관을 설립했다. 2001년 1월 23일 사망했다.
김기창의 이상과 같은 활동은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13호에 해당하는 친일반민족행위로 규정되어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Ⅳ-4: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이유서(pp.7∼28)에 관련 행적이 상세하게 채록되었다.[2]
학력
- 1927 승동보통학교 졸업
- 1930 이당(以堂) 김은호 사사(師事)
- 1988 세종대 명예문학박사
경력
- 1940 조선미술전람회 추천작가
- 1947 국립민속박물관 미술부장
- 1954 홍익대 미술학과 전임강사
- 1955 국전 심사위원, 부위원장, 운영위원 (~79)
- 1962 수도여사대 교수 및 회화과장
- 1970 한국미술협회 부이사장 및 고문
- 1979 한국농아복지회 회장
- 1982 제1~2회 대한민국 미술대전 심사위원
전시
- 1934 [대표작품] <가을>
- 1956 [대표작품] <보리타작>
- 1957 현대 한국화 초대전 월드하우스 화랑 (미국 뉴욕)
- 1960 현대 한국화가 중국전 (대만, 대남, 홍콩)
- 1962 한국미술 초대전 (필리핀)
- 1963 [대표작품] <새와 여인>
- 1963 상파울로 비엔날레, 한·일·태 3개국 3인전 (스위스)
- 1965 [대표작품] <소와 여인>
- 1965 뉴욕 국제 미술전, 초청 부부전 (오벨리스크 화랑, 워싱턴)
- 1967 한국미술 순회전 (프랑스 류네빌, 니스시렌느, 칸)
- 1968 [대표작품] <나비의 꿈>
- 1968 [대표작품] <태양을 먹은 새>
- 1968 세계 문화자유 초대전
- 1970 [대표작품] <군마도>
- 1970 [대표작품] <웅(雄)>
- 1970 EXPO-70 한국관 미술전 (오사카)
- 1971 프랑스 한국 현대회화제
- 1972 한국 현대회화전 초대 (아시아 화랑, 샌프란시스코)
- 1973 한국 현역화가 100인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8 [대표작품] <달밤>
- 1978 한국 동양화 유럽 순회전
- 1980 서도 50년 기념 회고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2 한·중 현대 서화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5 현대미술 4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6 한국 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6 한국화 100년전 (호암 갤러리)
- 1988 국제 현대회화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1 한국 근대미술 명품전 (호암 갤러리)
- 1991 현대 한국회화전 (호암 갤러리)
- 1993 팔순 기념 회고전 (예술의전당)
- 1994 서울 국제현대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 2002 바보 천재 운보 그림전 (국립현대미술관)
수상
- 1931 선전 입선, 특선 연4회, 최고상 (~40)
- 1937 제16회 선전 창덕궁상
- 1938 제17회 선전 총독상
- 1963 5월 문예상
- 1971 3·1 문화상
- 1977 대한민국 은관문화훈장
- 1981 국민훈장 모란장
- 1982 대한민국예술원상
- 1982 중앙문화대상 대상
- 1986 5·16 민족상, 서울시 문화상
- 1991 인촌상
- 1996 의제 허백련 미술상
주요작품
- 민족기록화 작가 김기창 투계 01.jpg
- 민족기록화 작가 김기창 군마도 01.jpg
- 민족기록화 작가 김기창 태양을 먹은 새 01.jpg
"김기창의 태양을 먹은 새", 중부일보 온라인서비스 (2017년 3월 10일 확인)
민족기록화
- 김기창-명량대첩(이순신)-1975s.jpg
관련항목
A항목 | B항목 | 관계 |
---|---|---|
김기창(기록화) | 김기창-명량대첩 | A는 B를 그렸다 |
김기창(기록화) | 대한민국예술원 | A는 B의 회원이다 |
김기창(기록화) | 박래현 | A는 B의 배우자이다 |
김기창(기록화) | 김은호 | A는 B의 제자이다 |
시간정보
중심 | 시간정보명 | 시간값 |
---|---|---|
김기창(기록화) | 김은호 사사연도 | 1930년 |
김기창(기록화) | 김기창-명량대첩 제작연도 | 1973년 |
김기창(기록화) |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가입연도 | 1981년 |
공간정보
중심 | 연결정보 | 공간정보이름 | 경도 | 위도 |
---|
그래프
참고문헌
- 사이트
- "김기창", 『대한민국예술원 온라인 서비스』, 대한민국예술원. 2017년 03월 10일 확인
- 국립현대미술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운보문화재단
- "김기창", 『대한민국예술원 온라인 서비스』, 대한민국예술원. 2017년 03월 10일 확인
주석
- ↑ 이미지 출처 : "김기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서비스에서 인용. 2017월 03월 10일 확인
- ↑ "김기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서비스. 2017월 03월 10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