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그림 읽기) |
잔글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
(차이 없음)
|
2017년 6월 15일 (목) 12:13 기준 최신판
삼별초의 대몽항전 | |
작가 | 김서봉 |
---|---|
제작연도 | 1975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전쟁 |
분류 | 유화 |
소장처 | 미상 |
목차
정의
배중손이 지휘하는 삼별초의 전선들이 진도에서 고려·몽고 연합군을 격퇴하는 장면을 그린 민족기록화이다. 왼쪽 위에 작게 고려·몽고의 연합군이 삼별초를 혁파하기 위해 진도의 맞은 편에서 진을 치고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그러나 평소 강화도 지역의 수비를 맡아 해상 전투에 익숙한 삼별초에 의해 연합군의 배는 속수무책으로 가라앉고 있는 상황이다. 침몰하고 있는 전선(戰船)들에서 검은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는데, 삼별초 항쟁이 벌어진 1270년대 당시에는 화포와 화약 개량이나 보급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극적 효과를 노리기 위한 미술적 장치로 보아야 할 것이다. 좌우로 양분된 화면 오른편에는 진군하는 삼별초의 모습이, 왼편에는 연기로 뒤덮인 채 바다로 침몰하고 있는 연합군의 모습이 대비를 이루고 있다.
설명
작품 소재
삼별초의 대몽 항쟁은 1270년 6월 삼별초 해산령에 불만을 가진 삼별초 장병들이 몽골과 고려 연합군을 상대로 펼친 3년간의 항쟁이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해상전투가 벌어지는 진도 앞 바다로 설정되어 있다. 진도 내에는 배중손이 삼별초를 이끌고 진도로 남하하여 대몽항쟁의 근거지로 삼기 위해 쌓았다는 남도석성이 남아 있다.
그림 읽기
- 그림 위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클릭되는 지점을 찾아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오류: 그림이 잘못되었거나 존재하지 않습니다.
- 민족기록화 작품 삼별초의대몽항전 전시실01.jpeg
김종필 국무총리 민족기록화 전시장 관람 [1]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윤중식 |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A는 B를 그렸다 | 1975년 |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A가 B를 대여하였다 |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삼별초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삼별초항쟁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배중손 | 삼별초 | A는 B를 지휘하였다 | |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진도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삼별초 | 남도석성 | A는 B를 건설하였다 | |
남도석성 | 진도 | A는 B에 위치한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5년 | 김서봉이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을 그렸다. |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이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을 대여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423111 | 126.973591 |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이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을 대여하였다. |
관련 민족기록화
- 이용환-귀주대첩(강감찬)-1975s.jpg
1019년 이용환-귀주대첩
- 안재후-여진정벌(윤관)-1975s.jpg
1107년 안재후-여진정벌
- 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
1270년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문학진-쌍성수복(유인우)-1975s.jpg
1356년 문학진-쌍성수복
- 김태-오라산성함락(이성계)-1975s.jpg
1370년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 박창돈-홍산전투(최영)-1976s.jpg
1376년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 민족기록화 작품 삼별초의대몽항전 전시실01.jpeg
김종필 국무총리 민족기록화 전시장 관람 [2]
영상
주석
- ↑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전시장관람4",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전시장관람4",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