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다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Lab
(새 문서: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이미지= |사진출처= |대표명칭= 광다회 |한자표기= 廣多繪 |이칭별칭= |복식구분= 대 |착용신분= 왕...) |
잔글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
(차이 없음)
|
2017년 6월 15일 (목) 12:02 기준 최신판
광다회 | |
한자표기 | 廣多繪 |
---|---|
복식구분 | 대 |
착용신분 | 왕,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
착용성별 | 남성 |
관련복식 | 철릭 |
목차
정의
광다회는 폭이 넓고 납작한 모양의 띠로 비단실을 두가닥 혹은 세가닥, 네가닥 등으로 엮어서 짠 것이다. 광다회는 조선시대 문무관료들이 왕의 행차를 수행하거나 외국에 사신으로 파견되는 경우 등에 입는 융복인 철릭에 주로 사용하였다.[1]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착용상황
도포, 학창의 등 포류를 입을 때 착용한다.
형태
실을 엮어 끈을 짠 것으로 광다회에 비해 얇고 좁으므로 세조대라 한다. 끝에 딸기술이나 봉술을 매달아서 마무리를 했는데 주로 도포, 전복 등과 같은 남자 옷 위에 착용하였다.[2]
기타
품계에 따라 색상을 달리 하였는데 『경국대전』에 따르면 1품에서 3품은 홍조아를, 4품에서 9품은 청조아를 띠도록 하였다. 또한 『고종실록』 고종 21년(1884)에는 당상관의 띠는 홍색과 자색, 당하관은 청색과 녹색, 유생은 혁대를 사용하도록 한 기록이 있다. 그러나 이 밖에도 수많은 색이 있어 제도를 떠나 자유로이 선택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
광다회 | 왕 | A는 B를 착용하였다 |
광다회 | 왕세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광다회 | 왕세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광다회 | 도포 | A는 B에 착용한다 |
광다회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120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446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446~447쪽.